아산 현충사 이순신 정려

선조가 내린 이순신 정려

날짜와 내용 불일치


아산 현충사에는 1604년에 선조가 내린 이순신 장군 정려가 있다. 그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충신
忠臣
유명수군도독
有明水軍都督
조선국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朝鮮國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겸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兼
경연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상감 사
經筵 弘文館 藝文館 春秋館 觀象監
덕풍부원군 정헌대부 전라좌도수군절도사 겸
德豊府院君 正憲大夫 全羅左道水軍節度使 兼
충청 전라 경상 삼도통제사
忠淸 全羅 慶尙 三道統制使
충무공 이순신지려
諡 忠武公 李舜臣之閭

선묘 갑진 시월  일  명정
宣廟 甲辰 十月 日 命旌
. . . . . . . . . . . .
(해석)
충신이며
명나라 수군도독이자
조선의 1등선무공신으로 의정부 영의정을 겸하여 영경연사, 영홍문관사,  영예문관사, 영춘추관사, 영관상감사로 추서된

덕풍부원군 이순신은 생전에 정헌대부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겸 충청 전라 경상 삼도통제사를 지냈다. 이에 충무라는 시호를 받은  이순신을 정려하노라.
선조 갑진년 1604년 10월 명정

주)
유명수군도독(有明水軍都督)
이순신이 전사하자 명나라 황제 신종 만력제가 수군도독 벼슬과 함께 8가지의 하사품을 보내왔다.  그래서 이순신을 명나라 수군도독이라고 했다.  '유'는 문장을 시작할 때 쓰는 발어사로 별 의미는 없다.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은 선무 1등공신을 말한다. 권율,  이순신,  원균이 책록되었다. 2등공신은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이라 하고, 3등은 효충장의선무공신이라 한다.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대광보국숭록대부는 정1품 최고품계 중에서도 상계인 3정승이 여기에 해당된다. 정1품도 상계와 하계로 나누어 진다.  이순신은 사후에 의정부 영의정은 물론  영경연사, 영홍문관사, 영예문관사, 영관상감사로 추증 되었다.

벼슬이름 앞에 '증'이 붙으면 사후에 증직(승진)된 것이고,  '행'이 붙으면 생전의 실제 품계를 말한다.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
덕풍부원군은 덕수와 개풍 출신의 부원군이란 뜻이다.  부원군은 왕의 장인과 정1품 공신에게 주는 작호다. 덕수이씨의 본관은 판문점 인근의 개풍군 덕수이므로 이순신을 덕풍부원군이라 했다.

정헌대부(正憲大夫)
정헌대부는 정2품 상계를 말한다. 그 아래 자헌대부는 같은 정2품이라도 하계에 해당되는 호칭이다. 각도의 관찰사(감사)가 정2품인데,  정3품인 전라좌수사 이순신을 전라 경상감사와 동급인 정2품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하여 독자적인 작전수행을 가능하게 했다.

이순신이 1598년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자  조정은 우의정으로 추증했다.  1604년에 선무공신1등으로 녹훈되었으며, 좌의정으로 증직되어 덕풍부원군으로 봉해졌다. 1643년 인조 때에는 ‘충무’라는 시호를 받았고, 1707년 숙종은 아산에 세워진 사당에 ‘현충사’라는 현판을 내려주었다. 1793년 정조 때에 이순신은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시충무공(諡忠武公)
'시충무공'은 이순신 사후에 충무공이란 시호를 내려 정려각을 세웠다는 말이다. 정려는 충신,  효자, 열녀에게 왕이 내려주는 것이다.

현충사(顯忠祠)
숙종이 내려준 '현충사' 현판은 현충사 경내의 구현충사에 걸려 있다.

문제제기
위 정려는 선조 때인 1604년에 이순신을 선무공신1등으로 책록하고, 좌의정으로 추증할 시기에 내려진 것으로 말미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본문에는 의정부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충무공 시호를 받은 것으로 되어 있다. 충무공 시호는 인조 때 받았고 영의정 추증은 정조 때인데 1604년 선조가 명정했다는 것은 사실에 맞지 않다.  근자에 보수공사를 하면서 수정한 것은 아닌지 의문점이 남는다.




이해산 기자
작성 2018.07.09 11:23 수정 2018.07.10 15:1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해산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