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서울의 130개 관청 이야기 책으로 발간

《조선시대 서울의 관청》발간

사진=서울시



텔레비전을 켜면 사극 한 편쯤은 볼 수 있을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극이란 장르를 좋아한다. 요즘은 정통 사극보단 신세대 취향에 맞게 퓨전 사극을 제작하곤 한다. 사극을 보다 보면 의정부나 사헌부 같이 우리에게 제법 잘 알려진 관청이나 영의정, 이조판서처럼 친숙한 관직 이름이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온다. 그런데 평시서, 전옥서 같은 관청이나 한성판관(漢城判官), 통례원정(通禮院正)처럼 매우 낮선 관직 이름이 등장하면 약간 당혹스러움을 느끼곤 한다. ‘고등학교 때 국사공부를 열심히 할 걸’, 같은 생각도 들지만, 열심히 공부했어도 이런 관청과 관직명은 알기가 어렵다. 국사 교과서에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의 역사를 전문으로 연구하고 관련 책자를 지속적으로 발간해온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에서 이번에 조선시대 서울의 관청(이하 관청’)이란 책을 발간했다. 서울 시민들이 서울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또 위 사례 같은 당혹감을 느낄 때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관청은 그동안 편찬원이 9권까지 발간한 내고향 서울시리즈의 하나다.

 

관청에 따르면, 조선왕조 500년 간 서울에 있었던 관청은 대략 130개 안팎이다. 물론 잠시라도 서울에 있었던 모든 관청을 다 계산한 건 아니고, 경국대전≫ ≪대전회통등 주요 법전에 올라 있는 관청만 따진 숫자다. 130개 안팎의 관청은 각자의 성격과 기능에 맞게 궁궐 안, 도성 안, 도성 밖 등에 밀집되어 또는 흩어져 존재했다.

 

관청에선 조선시대 서울에 소재했던 관청을 궐내각사, 이전호전예전병전형전공전의 육전(六典), 도감으로 구분해 정리했다. 궐내각사는 궁궐 안에 있는 관청이다. 궁궐은 왕과 그의 가족들이 사는 사적 공간일 뿐 아니라 나라의 중요한 일이 결정되는 공적 공간이기도 했다. 이런 궁궐의 이중적 성격에 맞게 궁궐 안에는 왕실 구성원들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는 관청들도 있었고, 왕이 국정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관청들도 있었다. 이들이 바로 궐내각사였다.

 

육전은 조선시대 법전 편찬의 기본 형식이었다. 관청의 분류도 관청의 성격과 기능에 맞게 육전별로 구분했다. ‘관청에서도 이런 관행을 존중해 육전을 관청 분류의 기준으로 채택했다. 다만, 궐내각사는 궁궐 안에 있다는 소재지의 특수성을, 도감은 일시적 필요에 따라 설치했다가 이내 해체되는 특수성을 감안해 별도로 다뤘다. 그리고 독자들이 관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관청의 명칭, 분류 방식, 청사 배치와 관청의 분포 상황, 운영 방식, 관청의 기록물을 정리해 1장에 서론 격으로 배치했다.

 

각론에 해당하는 28장에 수록한 관청들은 관청의 주된 역할 내지는 성격에 따라 정치행정, 학술, 의례, 군사, 왕실 생활 지원, 경제, 재정, 외교, 의료, 사당, 군영, 치안 등의 소항목으로 묶어 정리했다. 개별 관청은 역할, 연혁, 명칭, 위치, 인적 구성 순서로 정리했으며, 끝에 해당 관청과 관련 있는 조선왕조의 문화를 짧게 덧붙였다.

 

조선시대에 도성을 쌓는다거나 불에 탄 궁궐을 다시 짓는다거나 왕이 사망하는 등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면 도감이란 임시관청을 설치했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이런 도감을 1천 회 가까이 설치했기 때문에 국장 때 설치하는 도감, 토목 공사 때 설치하는 도감, 중국 사신을 접대할 때 설치하는 도감 등을 대표적인 도감으로 다뤘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 책은 조선시대 서울에 있었던 관청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 시민들이 조선의 수도 서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오랜 역사를 지닌 역사문화도시 서울에 대한 애정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19.12.18 08:53 수정 2019.12.18 10:1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