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의 항간세설] 어떻게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일까

이태상

 


조건을 먼저 따지는 요즘 세태에선 결혼도 직업도 사치가 되었다고 한다. 하나의 공동체인 가정을 꾸리고 자식을 낳아 제대로 키우기 위해서는 유능하고 적합한 배우자를 찾아 동업자 파트너로 삼아야 하기에 상응하는 조건을 따질 수밖에 없으리라.

 

세상이 바뀌어 완전고용은 보장되지 않고 원하는 직업은커녕 아무 직업 자체를 가지기가 어렵다고 한다. 어려서 어른들한테서 듣던 말이 넌 장차 커서 뭐가 될래란 것이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사람이 될래요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형편에 따라 이런 일도 저런 일도 하게 될 텐데, 어떻게 대통령이나 장군, 과학자나 사업가, 또는 작가, 시인... 이라고 하는 게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는 게 과학자라면 인생을 사는 일이 사업이고 삶 자체가 작품이며 숨 쉬는 게 가 될 텐데 무슨 소리인가 의문을 품게 되었다. 직업이란 수단에 불과하지 결코 목적이 될 수 없다고.

 

가령 서울에서 부산까지 간다고 하자. 기차나 버스 또는 비행기로 갈 수도 있고, 자동차나 자전거도 없으면 걸어서 가면 될 텐데, 어떻게 한 가지 방법만 고집할 수 있겠는가. 어른이 되어서는 직업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게 되고 외국에 나와서는 흔히 What do you do for living? 이란 말을 듣게 되었다.

 

1970년대 초 영국에 가 살면서 영국 사람들이 사람을 여러가지로 지칭하는 것이 이상했다. 자동차 운전자는 motorist, 자전거 타는 사람은 bicyclist/cyclist, 걷는 사람은 pedestrian, 등은 그런대로 이해가 되었으나 심지어 대화자 conversationalist란 말까지 쓰는 것을 보고 놀랐었다.

 

사람이 살면서 수많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이토록 일일이 세밀하게 분류해야 하느냐는 회의가 생겼다. 그 중에서도 시인이란 말이 제일 눈과 귀에 거슬렸다. 시인이라면 하루 24시간 시만 쓰고 산단 말인가. 그리고 글로 쓰는 것만 시란 말인가. 또 시 쓰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 아무나 쓸 수 있는 것이 시고, 손으로만 쓰는 게 아니라 눈과 귀, 코와 입, 온몸과 마음으로 쓰는 글이 시라고 할 수 있지 않나. 삶이 시가 되듯이 죽음조차도 시가 되지 않던가. 김소월과 윤동주가 그렇고 슈베르트와 모차르트가 그러하지 않은가.

 

그러니 우리 모두 시로 태어나 시로 살다가 시로 죽으리라. ‘허세 부리지 마라는 닉네임을 가진 사람이 쓴 최민수 시리즈중에 레스토랑 편이 있는데 소개하자면 이런 것이다.

 

여자: 오빠, 일단 와인부터 시킬까?

남자: , 레드와인 중에 꼬드 드 뉘 46년산 있습니까?

최민수: 꼬 뭐요?

남자: ... 꼬드 뉘 46산이요.

최민수: , 꼬드겨... 허세 부리자 마.

남자: ???

최민수: 내가 언제까지 네 주문을 받아줄 거라고 생각하나.

남자: 아 그럼, 그냥 추천 와인으로 아무거나 가져다주세요.

최민수: (테이블에 병을 내려치며) 이게 뭐라고 생각하나?

남자: ???

최민수: 엄마의 양수!

 

우리 태양계에 얼음에 덮인 대양이 있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고 그중 하나인 토성의 한 작은 달 엔셀라두스(Enceladus)에 있는 바닷물은 뜨겁기가 섭씨 90도 화씨로는 194도 이상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고 한 팀의 과학자들이 최근 네이처(Nature) 저널에 발표했다.

 

그리고 목성 최대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큰 달인 가니메데 (Ganymede)에는 지구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따라서 태양계 내 또 다른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녕 우주의 축소판이 이슬방울이라면 이 우주의 양수(羊水)인 사랑의 이슬방울에서 코스모스 피어나고 너도나도 만물이 생겼으리라.

 

해금 연주자 꽃별 씨는 2015319일자 한국일보 엄마랑 벚꽃놀이이란 제목의 칼럼을 다음과 같은 글로 끝맺음을 했다.

 

신기하게도 그해에는 엄마와 꽃놀이를 세 번 했다. 그리고 그해 가을, 나는 결혼했다. 정말이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것이 인생이다. 그저 그 순간을 살아야 한다. 이왕이면 행복하게! 지금 가지고 있지 않은 것만 바라면서 행복해질 수 없다. 내게로 와야 하는 것들은 반드시 온다. 그 순간이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 그 알 수 없음 때문에 재미있지 않은가?”

 

옳거니, 그렇고 말고, 물론이리라. 그런데 언제 어디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려면 온 우주가 공모하고 협조해야 한다는 뜻으로 영어로는 ‘For anything to happen anytime anywhere, the whole universe, Cosmos, has to conspire.’라 한다.

 

그러려면 뭣보다 먼저 상상의 씨부터 뿌려야 하리라. 이렇게 상상부터 하려면 또 자기최면이나 자기암시부터 걸어야 하지 않을까. 같은 한 컵의 물이라도 약이라 생각하고 마시면 약이 되지만 독이라고 믿고 마시면 독이 되리라. 사우나나 한증막 찜질방에 들어가서도 , 시원하다라고 생각하면 시원해지고, ‘어이, 뜨거워하면 견디지 못하고 튀어나오게 되듯이 말이다. 심지어는 상상만으로도 정신을 초집중하면 성적 오르가슴이나 영적 열반지경(涅槃之境)의 희열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일체유심조이리라.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코리아헤럴드 기자

뉴욕주법원 법정통역관

 

전명희 기자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3.19 11:24 수정 2020.09.14 12:5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