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옷과 금박金箔”개최

영친왕비 당의 등 20건 22점

사진=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은 오는 74()부터 테마전시실에서 "우리 옷과 금박金箔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테마전시는 국립대구박물관이 한국 전통 공예를 주제로 기획하고 있는 연속 전시의 첫 번째 주제이다. 화려하게 멋을 낸 조선시대 궁중 복식을 통해 한복에 표현한 금박의 문양과 기술을 소개하고, 금박 공예의 전통과 계승 과정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전시품은 국립고궁박물관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출품한 궁중 한복과 금박을 붙이는 데 사용한 문양판 등 모두 22점이다. 이 중 국가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의 작품 4점은 전시 후반 일정에 교체로 전시할 예정이다.


주요 전시품은 영친왕비 당의와 치마이다. 영친왕 일가족의 복식은 조선 왕실의 마지막 장인들이 남긴 작품으로, 당대 최고의 솜씨와 정성이 담긴 궁중 복식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문화재청은 영친왕 일가족의 복식이 조선 왕실의 복식사와 의장의례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여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 제265)로 지정하였다.

영친왕비 당의唐衣는 궁중에서 평상시에 소례복小禮服으로 입는 옷이다. 옥색의 도류불수문단桃榴佛手文緞으로 지은 겹당의이며, 당의의 앞과 뒤 그리고 깃에는 ""두 글자를 부금付金하였다. 궁중에서 사용하는 도류불수문桃榴佛手文은 복숭아·석류·불수감(부처의 손을 닮았다는 불수감나무)무늬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것으로, 각 과실의 꽃과 잎을 화려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대란치마는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여성이 적의翟衣나 원삼圓衫 등으로 예복 차림을 할 때 하의下衣로 갖추어 입는 옷이다. 치마를 장식하기 위한 스란단이 치마의 아래쪽에 2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스란단에는 한 쌍의 봉황이 보주寶珠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여백에는 구름이 가득한 운봉문雲鳳文(구름과 봉황무늬)을 부금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옷에 금가루를 사용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금박공예는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6두품과 5두품 여인의 바지에 금니金泥 사용을 금지했다는 기록이 있고(잡지2 색복),고려사高麗史에는 문종 26(1072)에 사신 편으로 송에 보낸 물건 목록 중 어의御衣와 황계삼黃罽衫 등을 금박 장식한 붉은 비단 겹보에 싸서 봉했다는 기록이 전한다(세가 권8). 조선시대에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등 여러 기록에 금박일을 하는 업무(금박장, 도다익장, 부금장, 금장, 니금장 등)가 더욱 세세하게 나뉘어져 있었다.

 

우리 옷을 장식한 금박 공예는 오랫동안 신분과 부귀를 나타내는 상징물이었다. 조선시대에는 화려한 궁중 복식으로 전승되었다. 금박 공예는 근대에 들어 기계로 금박을 만들고 복식 유행의 흐름이 바뀌면서 금박장의 역할은 줄어들어 부금장付金匠(금을 입히는 장인)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전시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의 작품도 함께 전시하여 금박공예의 현대적 전승과정도 엿볼 수 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0.07.04 09:37 수정 2020.07.04 09:5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