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배터리 문제 태양광으로 해결한다

태양광 AI 드론 제주 해안선 147km 완주 성공

전파맵 구축까지 완료해

원희룡 지사 “제주가 드론 기술실증 메카로 성장기반 마련할 터”

(사진제공=제주도) 비행경로
(사진제공=제주도)태양광 드론

(전국=한국드론뉴스닷컴) 정천권기자 = 드론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공중에 오랜 시간 동안 촬영과 환경 감시등의 역할을 위해서는 소모되는 배터리의 성능과 가격 등이 만만치 않은 현실이라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제주시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드론이 선을 보여 큰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스마트 드론 기술을 활용해 도심의 현안을 해결하고,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는 등 전국 최초로 제주 해안선 비행을 완주했다고 밝혔다제주특별자치도는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의 하나인 해양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과정에서 태양광 AI 드론을 활용한 제주 해안선 비행을 지난 830일 성공적으로 완주했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제주도) 태양광드론 비행 사진

제주도는 태양광 드론을 활용해 괭생이 모자반, 해양쓰레기, 공유수면 불법점용 등 현안사항을 AI 기반으로 자동 분석하는 해양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이번 해안선 일주는 태양광 드론을 제작·운용하는 한국항공대학교(에이미파이)AI 처리 분석 활용을 담당하는 이노팸과 협업해 추진됐다.


보안 및 안전상 이유로 비행금지구역(제주공항 반경 9.3km)을 제외, 구좌체육관에서 이륙해 147km 4시간 비행하고 곽지해수욕장에 안전하게 착륙이 이뤄졌다.

특히 이번 비행에서는 LTE 기반으로 실시간 동영상 전송 테스트를 완료해 기존 정사영상(항공사진을 수직으로 내려본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만 가능하던 것을 좀 더 고도화해 현장감 있게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구현했다.


또한 향후 안정된 드론 서비스 및 UAM 실증 기반 마련을 위해 대정읍 송악산 인근과 구좌읍 월정리해변 일원을 대상으로‘21년도 사업 목표에 해당하는 전파맵 구축까지 완료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제주도는 드론 규제샌드박스와 물류 배송 실증을 통해 드론 산업의 기술을 고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원희룡 지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동력, 핵심기술 중 하나를 드론산업으로 꼽으며 지난 8212020년 하반기 정기인사에서도 디지털융합과 스마트시티팀에 드론업무 담당자 1명을 보강해 스마트시티·드론팀으로 명칭을 변경한 바도 있다.

원 지사는 앞서 드론 기술실증 메카로 제주도가 성장 기반을 마련해 다양한 민관 협업 모델 추진에 나설 계획이라며 드론 행정 서비스도 발굴해 미래산업에 드론을 융합, 제주를스마트시티로 변모시키겠다고 밝혔다.

          kdnews@daum.net

 

 

 


정천권 기자
작성 2020.09.17 06:35 수정 2020.09.17 06:35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드론뉴스닷컴 / 등록기자: 정천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