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이젠 코스미안 시대다

이태상

 

202085일 걸그룹 소녀시대의 데뷔 13주년을 맞았다. 이제 때는 바야흐로 소녀시대를 넘어 코스미안시대이다.

 

국내적으로는 폭염, 장마, 홍수에다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남북대화에 기반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축이 무너진 상황이고, 이웃 나라 일본과는 8.15 75주년을 맞아 양국 정부나 국민의 인식이 한쪽에선 이미 사과를 했다이고 또 한쪽에선 진정한 사과를 하라는 양국의 주장이 아직도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그리고 세계적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 역병으로 온 인류가 멘붕상태가 아닌가.

 

이럴 때일수록 그 해법은 큰 틀에서 찾을 수 있고, 혼돈과 암흑의 카오스 시대의 종언을 고하고, 밝고 아름다운 코스모스 시대가 열리는 우주사적인 계기와 환골탈태(換骨奪胎)의 시점(時點)이 도래하였어라.

 

약육강식(弱肉强食)’갑과 을’, ‘정복자와 피정복자’, ‘가해자와 피해자’, ‘백과 흑’, ‘남과 여그리고 만물(萬物)의 영장(靈長)’이라고 자부해온 오만방자한 인류와 우주 자연 사이의 임계점(臨界)이 증발(蒸發)하고 있지 않은가 말이다.

 

우리 동양 선인들이 일찍부터 주장했듯이 문자 그대로 물아일체(物我一體)요 피아일체(彼我一體)임을 깨달아 홍익인간 (弘益 人間)과 홍익만물(弘益萬物)의 인내천(人乃天) 사상이 우리 모두의 상식(常識)이 되는 코스미안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리라. 이를 어쩌면 내가 반세기 전 지난 1970년대 하나의 계시(啓示)나 예시(豫示)처럼 일별(一瞥)할 수 있었는지 모를 일이다.

 

내 직장 관계로 우리 가족이 런던 교외(郊外)에 살 때였다. 하루는 지붕에 올라가 비가 오면 빗물이 잘 흘러내리도록 기왓고랑을 깨끗이 청소하다 내가 발견한 것이 있었다. 식물인지 광물인지 알 수 없는 딱딱하고 작은 별 모양의 물체가 고랑에 낀 흙 위에 자라고 있는 것을 보고 너무도 신기하고 신비스러워 곱게 뜯어 아이들에게 주면서 학교에 갖고 가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보여주라고 했다.

 

그때 나는 생각을 했다. 밤낮으로 하늘을 우러러 별들을 바라보며 속삭이고 노래하다 보니 별들을 닮아 별모양이 되었으리라고. 그러면서 어렸을 때 내가 읽은 동화책 속에 나오는 페르시아의 꼽추공주 이야기를 떠올렸었다. 꼽추가 아닌 자기 동상 앞에 매일같이 서서 등허리를 똑바로 펴보다가 제 동상처럼 허리가 펴진 몸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이것은 하나의 깨달음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육지 공간에서만 아니라 저 깊은 바닷물 속에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해바라기 꽃이 해 모양이듯 바닷속에서 살며 별 모양을 한 극피동물(棘皮動物)의 하나인 불가사리 스타피쉬(starfish)를 보면 말이어라.

 

해바라기가 햇빛을 쏘이려고 해를 향하고 있는 건 우리가 다 아는 바이지만, 그 당시엔 몰랐다가 그 후에 내가 알게 된 사실은 해가 나지 않고 구름이 뜬 날은 해바라기들이 서로를 바라보면서 서로에게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어 축 처지지 않고 똑바로 꼿꼿이 선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들도 그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았으랴!

 

또 어릴 때부터 듣고 자란 흥부와 놀부 이야기에서처럼 새가 사람에게 복이나 화를 정말 갖다 줄 수 있는지 몰라도,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뿌리는 대로 거두게 되는 것만큼은 확실한 것 같다.

 

40여 년 전, 1980년대 한여름에 우리 가족이 카리브해에 있는 섬나라 바베이도스(Barbados)에 휴가 갔을 때 일이다. 아침 일찍 바닷가 산책하러 나갔다가 썰물에 밀려 나가지 못하고 팔딱거리고 있는 작은 열대어 한 마리를 두 손으로 받쳐 바닷물 속에 넣어 줬다.

 

그 다음날 아침 조금 더 일찍 일어나 같은 곳에 나가보았더니 그 전날 물 빠진 모래사장에서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고기를 발견했던 그 자리에 아주 크고 보기 좋은 왕소라가 하나 있었다. 그때 내가 아이들에게 말한 대로 아무리 두고두고 다시 생각해 봐도 내가 살려준 그 물고기가 고맙다고 그 좋은 선물을 갖다 준 것만 같았다. 어렸을 때 읽은 동화 속의 바다나라 용왕님께 그 물고기가 말씀드려 용왕님께서 그 소라를 보내주셨는지 모를 일이었다. 불현듯 생시인지 꿈에선지 본 것만 같은 우리 모두의 자화상(自畵像)’이 떠오른다.

 

개구리 너는!

 

얼마나 놀라운 새냐,

개구리, 너는!

 

네가 일어설 때

너는 거의 앉지.

 

네가 뛸 때

너는 거의 날지.

 

너는 분별도 거의 없고

넌 꼬리 또한 거의 없지.

 

네가 앉을 때면

네가 갖고 있지 않은 것 위에

너는 앉지.

 

인간사(人間事)에서 무엇이고 확실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바보의 특권이다. 세상에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밖에 우리가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없다. 한 사람의 인생이 어떤 출발점에서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전하는가를 결정해준 것은 제 선택이 아니라 하늘의 섭리일 것이다.

 

독수리가 저는 독수리로 태어났다고 달팽이로 태어난 달팽이를 보고 너도 나처럼 하늘 높이 빨리 좀 날아보지 못하고 어찌 그리 느리게 땅에서만 가까스로 기어 움직이느냐고 비웃을 수 있을까. 어쩌면 너무도 독수리처럼 되고 싶었던 달팽이가 오랜 세월 죽도록 날아보려다 개구리로 진화한 것인지 모를 일 아닌가. 마치 신()이 되려던 동물이 인간으로 발전한 것 같이또 그 누가 독수리의 삶이 달팽이의 삶보다 낫다고 할 수 있으랴. 나는 습관처럼 자작시를 지었다.

 

그러고 보면 세상은 별일 천지다.

그 가운데서도 별일 중에 별일이

네가 있고 내가 있다는 것일 테고

그 더욱 한없고 끝없는 불가사의로

너무너무 신비롭고 경이로운 것이

네 가슴 내 가슴 우리 가슴 뛰는 것이리.

 

그러니 일찍이 영국의 한 자연파 계관시인도 독백하듯 읊었으리라. 소년 시절 내가 이 유명한 무지개시를 처음 읽는 순간, 이 나 자신의 독백을 윌리엄 워즈워스란 사람이 백 오십여 년 전에 읊었다는 사실이 무척 놀랍고 반가워 그에게 친밀한 동류의식을 느꼈다.

 

내 가슴 뛰놀다

 

하늘에 무지개 볼 때

내 가슴 뛰노나니

어려서 그랬고

어른 된 지금 그렇고

늙어서도 그러하리라.

그렇지 아니 하다면

차라리 죽어버리리라.

어린애는 어른의 아버지

내 삶의 하루하루가

이 가슴 설레임으로 이어지리.

 

하지만 나는 하늘에 선 무지개를 바라볼 뿐인 이 시에 결코 만족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영어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내가 처음으로 만들어 쓰기 시작했다. 무지개를 바라보며 좇는 대신 그 무지개를 올라탄다는 뜻으로, ‘무지개(rainbow)’ 앞에 접두사(接頭辭) ‘a’를 붙여 어레인보우(arainbow)’라고. 따라서 이 신조어(新造語) ‘어레인보우(arainbow)’와 함께 우리 모두 우주 나그네란 의미로 코스미안(Cosmian)’이란 새 단어까지 태어나게 되었어라!

 

우린 모두 사랑이란 무지개를 타고 이 지구별을 방문해 잠시 머무는 코스미안 어레인보우(Cosmian Arainbow of Love)’로서 이제 코스미안시대(Cosmian Age)’를 열어보리라. 독일 가수 헬레네 피셔(Helene Fischer, 1984 - )가 부르는 노래 사랑의 힘(The Power of Love)’를 우리 다 함께 부르면서.

 

 

One day, while clearing a blocked gutter under the edge of the roof of my house in a suburb of London in the seventies, I found something strange growing there. I couldn’t tell if they were plants or mineral deposits. They were hard, in the shape of tiny stars; strange objects of curiosity, wonder and mystery.

 

I gave some of them to my children so that they could show them to their teachers and friends. Whatever their substance might have been, I thought, they must have come to bear an uncanny resemblance to the stars. They were singing and whispering through night and day. It recalled a fairy tale of a hunchback Persian princess who became straight and tall by stretching herself daily in front of her straight-backed statue.

 

I had a sudden awakening to the natural phenomena common everywhere, in the air, on land and beneath the ocean, with sunflowers and starfish serving as constant reminders. We all know that sunflowers look for the sunlight. But what I didn’t know was that on a cloudy day, they looked at each other, standing high and tall. How better it would have been, if humans could have done the same!

 

One summer day, years ago in the eighties, my family vacationed in the Caribbean island, Barbados. Early one morning, I went out for a walk on the shore. It just so happened that I spotted a tropical fish jumping up and down, unable to return to the water after the ebb tide. I quickly scooped the fish up in my two hands formed into a bowl and let it go back to the sea.

 

The next morning, I found a beautiful conch shell at the same spot where I’d rescued the fish. To me, the conch shell seemed to be a ‘thank-you gift’ from the fish.

 

Suddenly, I could see our ‘froglike’ self-portrait. I can’t recall whether I saw this lyrically unflattering and ungrammatical portrait drawn by someone, of humans from the swamplands in a dream or in my waking hours:

 

What a wonderful bird

The frog are!

 

When he stand, he sits

Almost.

 

When he hops

He fly almost.

 

He ain’t got no sense hardly,

He ain’t got no tail hardly,

Either.

 

When he sit,

He sit on what

He ain’t got almost.

 

As someone once said, ‘to be certain about anything in life was the privilege of a fool, because there was only one thing to be certain about: that there was nothing to be certain of.’

 

What decided how you started in life and how you developed? Was it happenstance or heavenly providence? Be that as it may, there is no denying that you are a product of birth and circumstance. If you were eagle-born, how could you laugh at a snail for being so low and slow? It might have been possible that the snail dying to be an eagle became a frog after trying so hard for so long, just as animals wishing to be godlike developed into humans.

 

At the same time, who’s to say that an eagle’s life is better than a snail’s lot?

 

I composed a little poem, as is my wont:

 

So I see,

The world is full of wonders,

The most wonderful among them

Is the fact that you and I exist.

What’s more miraculous and mystical

Is the reality that our hearts beat.

 

When I first read this famous poem “The Rainbow” (1802) as a boy, I felt my own soliloquy was voiced by a kindred spirit by the name of William Wordsworth (1770-1850), the celebrated English poet laureate, about one hundred fifty years earlier.

 

My Heart Leaps Up

 

My heart leaps up,

When I behold

A rainbow in the sky.

 

So was it when I was a Child,

So is it now I am a Man,

So be it when I shall grow old,

Or let me die!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

And I could wish my days to be

Bound each to each

By natural piety.

 

Truth to tell, I wasn’t satisfied with this poem, just looking up to behold a rainbow in the sky. So I created a new word ‘arainbow’ to be right on The Rainbow, ‘upgressing,’ or rather ascending on top of the rainbow, by adding a prefix ‘a’ in front of ‘rainbow.’ Hence, together with this new word ‘arainbow,’ another one I also coined ‘Cosmian,’ as we all are interstellar travelers/visitors as brief sojourners on this planet earth.

 

Now is the time for all of us Cosmians born arainbow of love to start a new cosmic ‘Cosmian Age,’ singing the song ‘The Power of Love,’ as sung by German singer Helene Fischer, 1984 - ).

 

The whispers in the morning

Of lovers sleeping tight

Are rolling by like thunder now

As I look in your eyes

 

I hold on to your body

And feel each move you make

Your voice is warm and tender

A love that I could not forsake

 

‘Cause I’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that I can

 

Lost is how I’m feeling lying in your arms

When the world outside’s too much to take

That all ends when I’m with you

 

Even though there may be times

It seems I’m far away

Never wonder where I am

‘Cause I am always by your side

 

‘Cause I’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that I can

 

We’re heading for something

Somewhere I’ve never been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The sound of your heart beating

Made it clear

Suddenly the feeling that I can’t go on

Is light years away

 

‘Cause I’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I can

 

We’re heading for something

Somewhere I’ve never been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love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love, ooh ooh

(As I look into your eyes)

The power of love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전) 코리아타임즈 기자

전) 코리아헤럴드 기자

현) 뉴욕주법원 법정통역관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8.08 10:51 수정 2020.08.08 11:0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