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운위연합회, 방과후강사에 대한 '인증'이 아닌 '소양교육' 의미

전국학운위연합회, 방과후강사에 대한 '인증'이 아닌 '소양교육' 의미

사)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에서 질의한 관련 자료

사)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에서 질의한 관련 자료

사)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에서 질의한 관련 자료

 

 

1. 사단법인과 관련 사항

 

질의 1-1) 학교운영위원이 모여서 사단법인을 설립 할 수 있는지의 여부

-공무원도 관련 사단법인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으며, 단지 ‘학교운영위원’이라는 신분을 가지고 있거나 위원을 역임한 자로 사단법인을 만드는 것은 아무런 법적 하자가 없다.

 

질의 1-2) 학교운영위원으로 이권개입 여부

-단위학교 운영위원 신분으로 단위학교의 심의사항에 대해 이권은 당연히 금지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학교운영위원회 제도 도입 후 단 한건도 이권에 개입한 사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권에 개입할 여건 자체가 안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단법인은 ‘권익단체’가 아니라 ‘공익단체’이며, 공익단체로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법인격을 부여한 것이며, 사단법인으로 공익활동을 하는 것과 단위학교의 운영위원으로서의 활동을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2. 방과후 강사 관련사항

 

질의 2-1) 연합회가 인증사업을 하는 것이 적법한지의 여부

-방과후강사에 대한 선발은 단위학교에 있으며, 단위학교에서 심의할 때 소양교육을 받았는지에 대한 자료를 주어 심의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음. 초중등교육법 제 21조 ‘교원의 자격’에 대해 인증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부모가 부담하는 방과후 ‘강사’에 대한 소양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강사인증에 대한 것은 법령에 의해 규정된 것이 없으며(불법이라는 명칭은 잘못된 것임), 대학생, 군인, 학원 강사, 교사자격증이 없는 외래강사 등이 방과후수업을 담당하므로 소양교육이 절실히 필요함

 

-사단법인의 활동에 관한 사항은 사단법인의 정관에 목적, 사업이 기재되어 있는데,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발전방안에 대한 교류 협력’이 정관에 있으며, 단위 학운위 심의내용 중 실제 방과후강사에 대한 심의가 진행될 때 해당 강사가 소양교육을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어 의사결정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음.

(실제 운영위원으로 단위학교에서 회의를 진행해 보면 강사가 어떤 연수를 받았는지, 어떤 소양교육 받았는지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이 의사결정이 되고 있음)

 

-심의료나 연수에 대한 비용은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미래교육개발원이 인건비, 임대료 등 운영비 명목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차 본 회의 재정이 좋아지면 무상으로 소양교육을 실시하고 필증을 교부 할 예정이었으며, 현재 발급된 연수증이나 수료증은 없는 상태임.

 

질의 2-2) 도서 선정 등 임의단체에서 대행이 가능한지의 여부

-수요자인 학부모들이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방과후 교실에 들어가는 교재‧교구나 참고서 및 각종 도서에 대해서는 방과후강사가 교재를 선택하기 때문에 대학교수나 전문가가 미리 심의를 해두면 방과후 강사가 교재, 교구의선택 시 도움을 주고자 함

알파뉴스 기자
작성 2018.01.12 09:51

RSS피드 기사제공처 : 스킨1 / 등록기자: 알파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