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길은 우리 모두가 가야할 길

(Cosmian Way is the way for us all to seek)

이태상

 

'인생 예술'이 뭐냐고 누가 묻는다면 '()를 닦는 것'이라고 나는 답하고 싶다. 내가 아는 그 실례 하나 들어보리라.

 

나에게는 괴짜 형님이 한 분 있었다. 나보다 열 살이나 위인 형님은 일정시대 평안북도 신의주고보를 다니다 말고 중퇴, 도 닦는 길에 나서 팔도강산 방방곡곡으로 여러 스승을 찾아다니셨다. 깊은 산 속 굴에 들어가 단식(斷食)이나 생식(生食)을 하면서 여러 날 여러 밤 묵상에 잠기기도 하고 방랑하는 김삿갓처럼 떠돌아 다니면서 병든 사람들을 고쳐주기도 했다.

 

그가 처방하는 '()'이래야 별것도 아니었다. 폐병(폐결핵) 또는 해수병 환자에게는 솔잎을 뜯어다 꿀물에 담가 보름쯤 뒀다가 그 쩌르르 사이다 같은 물을 공복에 마시라고 했다. 이런 약을 써서 병이 낫는 사람도 있고 낫지 않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는 언제나 자기가 병을 고쳐주는 것이 아니고 환자 자신이 고치는 것이라 했다. 그가 처방하는 약재의 효험을 믿는 사람에겐 약효가 있고 믿지 않는 사람에게는 효력이 없다고 했다.

 

그리고 사람 몸은 자연치유가 가능한 자구력(自救)을 갖고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베면 피가 좀 나다 저절로 아물지 않느냐며 그 어떤 의사도 그 어느 누구의 병을 고쳐주는 것이 아니고 환자 스스로 고치도록 좀 도와줄 수 있을 뿐이라 했다. 다른 사람들한테서는 '도사(導師/道師/道士)'님 소리를 듣기도 했지만 홀어머니와 우리 형제들 눈에는 집안 망신이나 시키는 '미친놈' 일 뿐이었다. 장발에다 거지처럼 누더기 옷을 걸치고 가끔 집에 들르면 동네가 창피하다고 어머니는 야단이셨다.

 

정신 좀 차리고 농사나 지으면서 제발 사람답게 살아보라고 집안 논밭전지 다 주고 장가까지 보냈으나 농사일은 색시에게 맡기고 여전히 떠돌이 신세였다. 그야말로 예수가 말했다는 것 같이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않고, 먼저 그 나라와 의()를 구하는' 삶이었으리라.

 

어머니 말씀으로는 형이 게으르고 일하기 싫어 '() 닦는다'는 핑계로 그렇게 산다는 거였다. 하기는 신부, 목사, 중들도 그렇다고 할 수 있겠지만. 왜냐하면 남들은 다 애써 일하고 땀 흘려 먹고 사는데 '성직자(聖職者 )'라는 그들은 쉽게 입으로 하나님이나 예수와 석가모니 이름이나 부르면서 기도 팔아먹고 사는 셈이니까.

 

여러 해 전에 돌아가셨지만 살아생전 언젠가 이 형님께서 서울에 있는 조계사에 들러 청담 스님과 토론을 하셨다고 한다. 한 참 열띤 토론 끝에 더 이상 말로 이야기가 될 수 없자 형님이 한 스님을 보고 뒷간에 가서 똥물 한 바가지만 퍼갖다 달라 하시고는 바가지에 댬긴 똥물을 천천히 쭈욱 들이키셨단다. 모르긴 해도 그 자리에 있던 스님들은 하나같이 옛날에 원효대사가 해골바가지에 고인 빗물을 마시고 크게 깨달음을 얻으셨다는 일화를 생각하게 되었으리라.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선도 악도 없다. 사람의 생각이 선도 악도 만든다고 했다는 것처럼 형님도 세상에 깨끗한 것도 더러운 것도 없다는 것을 말 대신 행동으로 역설하셨나 보다. 어머님 말씀에 세뇌되어서였는지 나도 이 도 닦는 형님을 사람 취급하지 않으면서도 간혹 만나는 기회에 그의 도깨비 같은 소리에 흥미를 조금은 갖게 되었다.

 

내가 국민학교(초등학교) 다닐 때 하루는 형님보고 축지법(縮地法)’이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냐교 물었다. 그랬더니 형님은 나를 조그만 시냇가로 데리고 갔다. 냇물 폭이 2미터도 넘어 보였다.

 

태상아, 너 이 냇물 건너뛸 수 있겠니?”

 

못한다고 대답하자 형님이 나를 데리고 같이 냇가로부터 뒷걸음 하다 보니 냇물 폭이 시각적으로 점점 좁혀져 갔다. 그러다 그 폭이 완전히 없어진 듯 물줄기가 하나의 은빛 흰 선처럼 보이는 지점까지 가서 너 저 선()은 뛰어넘을 수 있지?” 또 형님이 물으셨다. ‘물론이라고 내가 대답하자 그럼 됐다. 네 머리속에 저 하얀 선을 고정시키고 그 선만 보면서 물가로 달려가다 뛰어넘거라. 물가에 가까이 갈 때 네 눈에 냇물 폭이 다시 넓어지는 것 보지 말고 네 머릿속에 박힌 그 선만 보거라.”

 

이렇게 일러주셨지만, 그 당시에는 형님의 말씀이 얼토당토않은 엉터리 같아 나는 형님이 시키는 대로 해보지도 않았다. 훗날에 와서 생각해보니 형님께서 하나의 메타포로 빗대어 말씀하셨던 것 같아 수긍할 수 있을 법했다.

 

그렇지만 지금 와서 생각해도 한 가지 정말 이상한 것은 6.25 한국동란이 나기 꼭 일 년 전에 형님이 집에 들러 일 년 후에 큰 난리가 날 테니 양식을 좀 미리 땅속에 묻어두라고 했다. 어머니는 미친놈 미친 소리 한다고 형을 나무라셨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는 생각에서 양식을 준비했다가 전쟁 때 양식 걱정을 안 할 수 있었다.

 

또 한 가지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은 우리 가족이 1972년 한국을 떠나 영국에 가 살다가 어느 날 밤 꿈에 나는 형님을 보았다. 꿈에서도 생시처럼 온다 간다는 말없이 왔다 가셨다. 그런 꿈을 꾼 다음 날 나는 형님의 부고를 받았다. 아마도 나에게 작별인사하러 꿈에 나타나셨으리라.

 

산속 굴에 있다가 한국동란시에는 북한 인민군으로부터는 남한의 스파이로, 남한 국군으로부터는 북한 빨치산으로 오해받아, 이가 다 빠지도록 매를 맞고, 그 어떤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단 한 번도 그 누구를 원망하거나 탓하시는 걸 나는 본 일이 없다. 내가 보기에는형님께선 평생토록 링컨 대통령의 생활지침 아무에게도 악의를 품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자비/인애심 (慈悲/仁愛心)’을 베푸는 삶을 사신 것 같다. 폴란드계 미국 학자 알프레드 코집스키(1879-1950)가 남긴 명언이 있다.

 

인생을 쉽게 사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모든 것을 믿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것이다. 두 가지 모두 우리가 사고하고 고민할 필요가 없게 만든다.”

 

그가 개발해 1933년 발표한 일반 의미론이 있는데 그 첫 번째 원칙은 아무도 모든 것에 대해 다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1989년부터 3년간 중앙일보에 연재됐던 최인호(1945-2013)의 작품으로 전 4권으로 출간된 구도소설 길 없는 길이 있고, 궁극적으로 아지못게라(알 수 없어라)’이지만, 모름지기 우리 모두가 가야 할 길은 코스미안의 길임에 틀림없어라.

 

 

My brother Myung-Sang was ten years older than me. While my family and I were living in England, one night in my dream he came and went without saying much as usual. The next day, I got the news that he passed away. It must have been a ‘good-bye’ from him.

 

He dropped out of school in his adolescence and went on a life-long journey, seeking after ‘the way’ or ‘the truth,’ whatever it might mean.

 

From then on he was never concerned what to eat, what to wear, or how to make a living. He wandered around the country, always on foot, visiting different spiritual teachers and reading books about different philosophies and religions of the world.

 

He stayed in caves of the mountains, for days, meditating and nibbling uncooked grains and pine nuts. Like a tramp, he was dressed in rags with his hair grown long, a disgrace to his family.

 

To his widowed mother, he was simply a crazy and lazy bum, irresponsible to no end but not quite irredeemable. So she got him married so he could have a family and wake up to reality on earth, off from his highfalutin mumbo jumbo, once and for all. But it was to no avail, and he was a vagabond all the same, spreading words of love and peace.

 

Although he was written off as a good-for-nothing guy by his family, he was regarded by some people as a guru and a healer. He was even credited for having cured some incurable, by prescribing herbal medicine, such as pine needles brewed in honeyed water for coughing, asthma, pneumonia, and tuberculosis.

 

But he was saying that whatever he suggested worked only for those who believed in the efficacy, and that our body has the built-in self-healing mechanism.

 

Although he was deemed and dismissed as insane, I was curious about what he was saying about many things, especially about ‘chukjipob,’ 축지법 in Korean alphabet and 縮地法 in Chinese characters, ‘a method of making a long distance close in by the magic of contracting space.’

 

One day, I asked him how I could do it. He took me to a small brook. Holding his hand as I walked backward from the water, the width of the stream grew narrower to the point of appearing to be a silvery line. Then I was told to run toward the edge of the water, and then to jump.

 

He forewarned me that as I came closer to the water, its width would look wider.

 

“Don’t look at the widening stream of water. If you just fix the image of that silvery line in your head and focus on it, you can easily jump over the brook.”

 

Then, of course, I didn’t even try, thinking that what he said was nonsensical. Much later I’ve come to realize that it must have been metaphorical.

 

Once he was debating metaphysical issues with top-ranking Buddhist monks at Jogyesa in Seoul, the head temple of Korea.

 

When they got to the point beyond which they couldn’t discuss further with words, he politely asked one of the monks to fetch a gourd-full of night soil from the outhouses. When his request was obliged, he swallowed it to the last drop.

 

All those Buddhists were reminded of the well-known episode of Wonhyo, I was told later by one of those monk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debate.

 

The story ‘Water in a Skull’ goes like this:

 

About fourteen hundred years ago, there was a famous monk named Wonhyo(617-686) in Korea. He thought he would become a better monk if he went to China to attain more knowledge about Buddhism. He embarked on a long journey to China with his fellow seeker/student Euisang.

 

He continued his journey on foot and, one day, he was passing through one region in Baekje (one of the three kingdoms: Koguryo in the north, Baekje in the middle and Silla in the south of the peninsula).

 

They faced heavy rain, so they sought some shelter. They took shelter in a very safe-looking cave and decided to stay the night inside the cave.

 

While he was sleeping, Wonhyo woke up and felt extremely thirsty. He was searching, in the darkness, for something to drink. He found water in a gourd and drank it without hesitation. The water was cool and refreshing, and quenched his thirst. He fell asleep again.

 

Next morning, Wonhyo and Euisang woke up and were frightened by the skulls scattered around them. The shelter they had spent one night in was not a cave but an old grave. Also, Wonhy realized that the fresh water in the gourd that quenched his thirst was actually some stagnant water in a skull. The moment he realized this, he threw up.

 

Through this experience, Wonhyo attained a big enlightenment about how important one’s mind was. He then reflected and realized that he had been trying to become a good monk by attaining more knowledge about

Buddhism.

 

Wonhyo then cancelled his plan to study in China and abandoned his position as a monk. He became a laity again and reverentially devoted himself to meditation throughout his entire life. He gave inspiration to many laity.

 

I think my brother Myung-Sang paraphrased by his action, not in words, what William Shakespeare said:

 

‘There is nothing either clean (good) or dirty (bad) but thinking makes it so.’

 

I should add that no matter how ill-treated by some people, beaten up, mistaken as espionage agent, by both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n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I have never seen my brother speak ill of anybody.

 

I believe he literally practiced all his life this famous phrase: “With malice toward none, with charity for all,” as quoted from Abraham Lincoln’s second inaugural address.

 

One thing I still cannot comprehend by any sense and wits is how he could have predicte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exactly one year ahead of time.

 

One day he came to our mother to tell her to stock up some extra supply of provisions in preparation for the hard times to face. After dismissing his warning as a ‘madman talk,’ she nevertheless prepared just in case. We were surprised that it indeed did happen as he had pre-warned. Was it a kind of prophecy, or a case of clairvoyance, I would never know.

 

We may call it a supernatural phenomenon, but such things must be really and truly extra, or rather ultra-scheme of things.

 

There’s the first principle of the so-called General Semantics:

 

‘Nobody knows everything about anything.’

 

 

This is one of the principles of General Semantics launched in 1933 by Polish American originator Alfred Korzybski (1879-1950) with the publication of ‘Science and Sanity: An Introduction to Non-Aristotelian systems and General Semantics.

 

In other words: “We cannot imagine, think, say, understand, know all about anything or anyone including ourselves.”

 

His famous quote is:

 

”There are two ways to slide easily through life: to believe everything or to doubt everything; both ways save us from thinking.”

 

길 없는 길’ (The Way Without A Way) is a four-volume narrative written by (South) Korean writer Choi In-ho(1945-2013) about the life journey of the famous Korean Buddhist Seeker 경허 (Kyunghuh 1849-1912).

 

Even so, truth be told, Cosmian Way is the way for us all to seek.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전) 코리아타임즈 기자

전) 코리아헤럴드 기자

현) 뉴욕주법원 법정통역관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8.09 12:29 수정 2020.08.09 12:4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