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54개 (163 페이지)
[항간세설] 탯줄 끊어주기
과유불급이라고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말이 있지만 어쩌면 지나침은 못 미침보다 못한 것 아닐까? 언젠가 한 일간지 모 언론인이 그의 고정 칼럼에서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는 우리 속담과 쉘 실버스타인의 동화 ‘아낌없이 ...
[양동규 기자의 눈] 자사고 폐지 논란과 교육의 목적
2019년 7월 9일,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이하 자사고) 재지정평과결과가 인천과 서울의 발표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전체 24개의 대상 학교 중 14개 학교에게는 발표가 난 7월 9일이 존폐의 갈림길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인천의 ...
[양동규 기자의 눈] 교육의 정의는 무엇인가
“대한민국 사람들은 전부다 교육전문가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누구나 가볍게 교육을 이야기 한다. 하지만 그 정의는 각기 다르다. 교사들 및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학자와 활동가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교육을 정의 내린다. 전문가가 아닐지...
[항간세설] 눈 뜬 장님과 ‘달리 보기’
평소에 “나는 재벌이 아닌 성공한 노동자”라고 했다는 정주영이 성공한 노동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달리 보기’ 때문 아니었을까. 정주영뿐 아니고 어느 시대 어느 분야에서든 크게 성공하고 업적을 남긴 사람들은 하나같이 매사에 달리 보기를 한 사...
[양동규 기자의 눈]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다
흔히 연예인, 스포츠스타, 유튜버를 공인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공인의 사전적 정의는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인데, 이들이 공적인 일에 종사한다고는 보기 힘들다. 이들은 전적으로 사적인 영역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사전적 정의상 공인은 이들이 아닌 대...
[항간세설] 마음의 미스터리
마음(정신 또는 영혼)이 몸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는가는 아직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최근에 와서는 ESP(extrasensory perception) 즉 영감, 꿈, 최면상태, 유체이탈遺體離脫이라는 out of body experience, ...
[사설] 세계인의 화두, 자유
일찍이 패트릭 헨리는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명연설을 했다. 자유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이며 민주국가에서 보장해야 할 가장 중요한 기본권이다. 홍콩에서 200만 명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겉으로 보면 범죄인인도 법안에 반대하는 것이지만, 그 본질은 자...
[항간세설] 로맨스의 라벨과 품질
마트에 가면 수많은 가공 식료품 라벨이 있듯이 남녀 간 관계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라벨이 붙는 것 같다. 그냥 지인, 막연히 호감을 느끼는 ‘썸’한 사이, 사귀는 사이, 고정 남자 친구 또는 여자 친구, 약혼자, 동거하는 남녀의 내연 관계, 법적으로 결혼한 ...
[양동규 기자의 눈] 경고와 주의를 받은 교감과 교사를 위한 변명
6월 13일 서울시교육청은 학적변동서류를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해 대통령 손자의 이민을 유추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 교사와 교감에게 주의와 경고를 내렸다고 발표했다. 사실 이러한 처분은 교사와 교감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처분이다. &nb...
[항간세설] 사랑의 원형질原形質 상사병
2008년 9월 25일 태어난 내 피 한 방울도 안 섞인 외손자 Elijah 때문에 나는 '상사병'을 앓느라 계속 신음하고 있다. 상사병이란 주로 사춘기 때 특정 이성에 대한 연정에 사로잡혀 생기는 병인 줄로만 알았었는데 겪어 보니 그게 아닌 것 같다. ...
[항간세설] 미치도록, 취하도록, 죽도록
현대 서양 문학사상 가장 정열적이고 감동적인 시를 썼다는 영국 웨일즈의 시인 딜란 토마스(1914-1953)가 ‘런던에서 타죽은 한 어린애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겠노라’는 글에서 “너 좀 기다려 봐. 난 폭발할 때까지 죄를 지을 거야. 사람이 한 번 죽지 또 ...
[양동규 기자의 눈] 외고와 자사고 존폐문제
자사고를 비롯한 외고, 국제고의 일반고 전환은 서울지역을 기준으로 조희연 교육감이 부임한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외고, 자사고, 국제고가 주로 서울에 많고 대한민국 교육정책은 서울이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서울의 흐름이 전국에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
[항간세설] 타타타 가슴 타는 대로
우리말에 안 쓰면 녹슨다는 말이 있듯이 영어로는 쓰지 않으면 잃는다.Use it or lose it라는 말이 있다. 잘 알다시피 몸과 머리는 물론 마음까지도 말이다. 상대성 이론을 창안한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뇌 일부 영역에는 일반인 뇌보다 많은 주름...
[항간세설] 하루살이의 환생
30여 년 전만 해도 서양 과학계에선 인간의 의식작용consciousness은 진지한 연구과제가 되지 않았었다. 너무 애매모호하고 복잡 미묘해 구름잡이 같은 추측에 불과할 뿐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인간의 의식작용을 천착할 수 있는 분야로는 철학, 심리학 그리고...
[양동규 기자의 눈] 고정관념화된 선입견, 본질을 가리는 가면
MBC ‘복면 가왕’과 SBS ‘백종원의 미스터리 키친’을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키워드는 선입견의 타파이다. 각각 음악과 음식의 분야에서 참가자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기존 대상에 대해 가졌던 선입견을 버리고 객관적 시선으로 대상을 파악할 수 있게 ...
다 괜찮아요
‘좋아요’만 있던 페이스북에 ‘싫어요’ 버튼이 추가됐다고 한다. 나라면 ‘좋아요’와 ‘싫어요’ 말고 ‘다 괜찮아요That’s O.K’ 버튼도 추가하리라. 우리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늘 이쪽과 저쪽을 강요당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다 괜찮다는 선택은 ...
[양동규 기자의 눈] 이순신 장군의 작품 읽기
5월 14일 현재 ‘어벤져스 : 엔드게임’이 1200만 명의 관객을 돌파하며, 1700여만 명이 관람한 한국 영화 흥행 1위 ‘명량’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물론 ‘어벤져스 : 엔드게임’의 상승세가 꺾이는 추세라 명량의 한국영화 흥행 1위의 기록을 넘기는 ...
[항간세설] 자연미를 살리자
옛말 틀린 거 하나 없다는 어른들 말처럼 ‘제 눈에 안경’이라는 속담이 최근 사실로 판명됐다. 아름다움 또는 매력에 대한 개념은 개개인의 성향과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버드대학 등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미美의 기준은 개개인 별로 다른 것...
[항간세설] 자연치유라는 것
요즘 서양 의학계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가 ‘지료법(地療法, Ecotherapy)이다. 우울증 등 많은 질병 치료에 ‘자연치유The Nature Cure’ 이상 없음이 의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어서이다. 물론 의약계에서 회의론이나 반론이 없지 않지만 이는 ...
[사설] 분노와 용서
체 게바라는 분노하라고 했고 달라이 라마는 용서하라고 했다.젊은 시절에는 분노하기 쉽고나이가 들면 용서할 줄 안다.혁명가는 분노를 부추기고성인은 용서를 권장한다.분노의 도구는 선전과 선동이고 용서의 도구는 관용과 사랑이다.분노는 어두운 과거를 들추...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연예 매체 ‘버라이어티’ 보도에 따르면 미국 NBC 방...
선재길을 걸으며 수려한 자연과 그 속에 담긴 역사 이야기 그리고 국립조...
거침없는 상상력과 감각적인 문장으로 그려낸 강렬한 서사의 세계이토록 존귀한 나는 누구인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새 신발 새로 산 운동화가 훌쩍이고 있어요.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