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09개 (171 페이지)
[양기자의 눈] 뉴미디어의 삼인성호(三人成虎)를 경계한다
매체의 발전이 빨라지고 실생활에서 매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전 세계적으로 매체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호주 등의 경우는 모국어교육과정에서 매체를 다루고 있고 우리나라 역시 2015교육과정에서 국어교육의 범주...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학습장애는 특수교육 분야, 특히 여러 장애 영역 중에서도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지적장애와 혼동하는 장애영역이기도 하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스럼장애 등의 발달장애와는 달리 사람들이 고개를 갸우뚱할 정도로 생소하다고 느...
[항간세설] 우리는 언제 코스미안이 되는가
최근(2019년 11월 30일자) 한국일보 고정 칼럼 '삶과 문화'에 실린 SF 소설가이며 변호사인 정소연의 글 제목이다. 여성으로서 정소연은 칼럼 글을 아래와 같이 맺고 있다. “우리의 차례는 언제 오는가? 누구도 계속해서 힘을 낼 수는 없...
[이경수 칼럼] 전세 대란이란 말을 함부로 말라
최근 전세 보증금이 천정부지로 올라 세입자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는 얘기가 자주 오르내린다. 적절한 비유는 아니지만 지금보다 경제력이 훨씬 어려웠던 1990년대 이전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일이다. 그런데 왜 훨씬 잘살게 된 요즘은 커다란 사회 문제가 되고 ...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다문화 학생을 교육현장에서 만날 수 있게 된 건 얼마 되지 않았다. 하지만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주민들이 밀집한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문화 학생들의 학습권이 ...
[양기자의 눈] 호기심, 삶의 원동력이자 인식확장의 시작
호기심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쉽게 발현되기는 어려운 마음이다.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좋아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인 호기심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근원이며 모든 발전과 발명의 시발점이다. 또한 다른 감정과 결합하면 시너지를 내기 쉬운, 창의성...
[항간세설] 눈물과 웃음, 미녀와 추녀
우리 잠시 영어로 ‘악어의 눈물(Crocodile Tears)’ 그리고 ‘웃는 하이에나(Laughing Hyenan)’라는 말의 뜻을 음미해보지, 땅거미 질 때 이집트 나일강가에 승냥이 비슷한 들개 하이에나와 악어가 만나 서로 인사(人事...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지적장애는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들 중, 교육현장에서 가장 흔히 만날 수 있는 장애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적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비단 특수교육 교사뿐만 아니라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교...
[이경수 칼럼] 얼마를 줄 것인지 밝혀라
요즘 일간지나 지역 신문에 나와 있는 구인 광고를 보면 기업 대부분이 구직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급여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면접을 볼 때 추후 결정이라는 매우 애매한 조항만 한 줄 있을 뿐이다. 왜 그렇게 하는지 이유를 잘 모르겠다. 자기 회사에 적합한...
[항간세설] 경애하는 김찬선 신부님께
안녕하십니까.저는 글로벌 인터넷 신문 '코스미안뉴스' 회장 이태상이라고 합니다. 한 달 후면 만으로 83세가 되고 현재 미국 뉴저지주 Tenafly 라는 동네에 살고 있지만 젊은 날 한 때 한국일보 자매지 영자신문 코리아타임스 기자 출신으로 오늘까지도 고향...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다음 상황을 살펴보자. 선생님 : 오늘부터 우리 반에서 공부하게 된 필리핀에서 온 아브라함이라고 해요, 아브라함이 아직 우리나라에 익숙하지 않으니 여러분들이 많이 도와주고 알려주어야 해요.아브라함 : 친구들 안녕, 나는 아브라함이야. 친하게 ...
[항간세설] 어린애가 종교가 필요한가
‘어린애가 종교가 필요한가’라는 제목의 책이 1994년 미국에서 나왔다. 현재 미국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심사가 아닌 그야말로 하릴없는 문제를 당시 47세의 전 카톨릭 신자 마타 페이( Martha Fay)가 열 살짜리 딸 안나를 위해 다루어 본 것이다. ...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는 흔히 학교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장애 중 하나이다. 실제로 특수교육 관련 통계를 보아도 특수교육대상자 중 지적장애가 가장 많다. 그러나 조금 인식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지적장애에...
[이경수 칼럼] 건설업계 상생은 없었다
타워크레인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첨단 장비다. 그런데도 타워크레인 조종사 급여를 포함한 월 임대료가 1200만 원밖에 안 된다. 1990년대 초반 30평 아파트 분양 가격이 7천~ 1억 원 할 때도 타워크레인 월 임대료가...
[항간세설] 진주 엘레지
영화로도 만들어진 미국 작가 존 스타인벡의 1947년 작 단편소설 ‘진주(The Pearl)’가 있다. 멕시코의 민속 이야기를 소재로 한 것인데 한 젊고 가난한 어부 키노가 굉장히 큰 진주를 하나 캐게 되면서 벌어지는 인생 비극을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기자 주 - 현재 과도한 입시 위주 교육문제가 대두되면서, ‘대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 교육 시스템 대신 대안교육을 선택하는 청소년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기존 교육에서 부족했던 ‘배려와 협력’을 강조하는 대안교육의 이념이 큰 ...
[항간세설] 서양육갑 어서 졸업할 일이어라
여러 해 전에 돌아가셨지만 언젠가 나보다 열 살 위의 도(道) 닦던 형님이 서울에 있는 조계사에 들러 청담 스님과 더불어 여러 가지 토론을 하셨다고 한다. 한참 열띤 토론 끝에 더 이상 말로 이야기가 될 수 없자 형님이 한 스님보고 수고스럽...
[양기자의 눈] 마미손 '별의 노래'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위로
2019년 11월 18일 정오에 한국 래퍼 마미손이 '나의 슬픔'이라는 앨범 제목으로 노래를 8곡 발표했다. 그 중 "누구나 힘들면 울어도 된다."라는 메시지를 담은,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이 피처링한 타이틀곡 별의노래( 뮤직비디오 링크 : https:/...
[이경수 칼럼] 도리깨 소리가 들린다.
예전 농촌에서 이맘때면 집집이 도리깨를 내리치는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렸었다. 도리깨를 만들려면 먼저 어른 키보다 조금 더 길면서 종일 붙잡고 일을 하기에 적당한 굵기의 막대기를 잘라 한쪽 끝에 엄지손가락 굵기의 구멍을 뚫어야 한다. 그곳에 옹이가 있는 짧은...
[강드림의 싫존주의] 출생률 감소는 지극히 합리적인 선택
매년 각 분기가 끝날 무렵 평소에는 뭐하나 싶던 통계 관련 직종 업무를 수행하는 이들은 어떤 조사자료를 내놓는데 거기서 늘 빠지지 않는 것이 인구에 관한 자료다. 자료 결과는 지난해 자료를 그대로 복사해도 큰 문제가 없을만큼 유사하다. 바로 한국이 세계 최저의 출생률을...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3분 신화극장] 혼돈에서 질서를 만든 신, ‘이자나기’&nb...
햇빛에 내어 말린 고급 속내의만큼 사랑도 우정도 바래더라 &nb...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의 모근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초기...
‘2025-2026 강원 방문의 해’를 맞아 영서 내륙 5개 시...
우리나라는 기록적인 더위로 연일 난리지만 지구 반대쪽 노르웨이는 시원한 가을 날씨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