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계봉의 산정천리] 계절의 서정시가 들려주는 계방산 겨울 이야기

설원의 장쾌함과 눈꽃 산행에 대한 기대



한겨울의 새벽을 열고 눈꽃 산행지로 유명한 홍천의 계방산을 향해 출발한다. 영동고속도로 문막휴게소에서 식사를 마치고 치악산 쪽을 바라보니 산군은 운무에 가려 속살을 보여주지 않는다.

 

속사에서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홍천으로 이어지는 312차선 좁은 국도 주변에는 아직 녹지 않은 눈이 그대로 쌓여있다. 버스는 이승복 기념관에서 시작되는 운두령 고갯길을 꼬리로 하얀 입김을 내뿜으며 꼬불꼬불 산길을 따라 오른다.

 

뒤척임 없이 구름머리 베고 자는 운두령 고개.

겹겹이 끼고 누운 검은 산들의 동면 꿈길

헤집고 오르노라니 찬 겨울 하얀 입김 숨이 가쁘다.

 

- 이성교, ‘운두령을 넘으며중에서

 

드디어 산행 들머리인 해발 1,089m의 운두령에 도착하니 시인의 시구처럼 운두령 고개는 큰 숨을 쉬며 웅크린 가슴으로 자고 있었다.’.

 

버스는 김 숨 토하듯 산객들을 운두령에 내려놓는다. 홍천 쪽에서 불어오는 매서운 칼바람은 잠시 후에 경험할 설원의 장쾌함과 눈꽃 산행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있는 산객들을 한순간에 얼어붙게 만든다.

 


이리저리 운두령에 흩날리는 눈보라에 호된 신고식을 끝내고서야 설국으로 향하는 계단을 올라간다.

 

고갯길에 있는 목재 계단을 따라 능선에 올라서니 사위를 가린 잿빛 구름 속에서 산객은 적막한 숨결을 토해내고, 외진 능선 길에는 귓가에 머무는 낭랑한 바람소리만 울고 있다. 이따금 겨울 햇살이 잿빛 구름을 뚫고 간간이 비춘다. 그럴 때마다 앙상하게 드러난 물푸레나무의 하얀 가지가 눈부시다.


물푸레나무 군락지. 파란 도화지에 하얀 펜으로 그려낸 풍경화를 보는 듯 순백의 눈꽃이 절경을 이룬다.


 

지나가는 등로 옆 넓은 공터에 텐트 두 동이 쳐져 있다. 계방산은 대학 산악부 동계 비박지로 유명하다. 오늘같이 체감 온도는 영하 30, 텐트를 날려 버릴 만큼 위세가 당당한 강풍에도 개의치 않고 비박 중인 젊은 알파인들에게 세종 때 김종서 장군이 쓴 시조를 두 단어만 수정해서 그 기개를 칭송한다.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밝은 달은 눈 속에 묻혀 보이지 아니한데, 계방산 능선에 스틱 한 자루 짚고 서서 긴 휘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구나.


 

자연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떳떳하게 맞서는 청춘들 모습에 박수를 보내며 산오름을 계속한다.



길가의 수목들이 이국적인 풍경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수북하게 쌓인 눈의 무게를 지탱하기 버거워 축축 늘어뜨린 솔가지며 서리꽃 만발한 활엽수의 나목이 잠자던 감성을 일깨운다. 눈가루의 위세에 눌려 푸른빛을 찾아볼 수 없는 산죽도 깊은 잠에 빠져 있다. 바싹 마른 채로 나뭇가지에 달려있는 단풍잎 역시 눈 무게를 감당하느라 힘들어한다.


정상을 1.3km 앞둔 쉼터의 이정표. 하얀 눈길 따라 눈길이 따라가니 계방산 정상이 보인다.



겨울산은 황홀하다. 탁 트인 시야의 환상적인 설경 아래 겨울의 낭만과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이다. 역시 겨울 산행의 백미는 눈 내린 산을 가로지르며 짜릿한 비경을 즐기는 데 있다.



1,492m의 전망대에 이르자 첩첩이 펼쳐지는 겨울 산그리메가 장쾌한 풍광을 연출한다. 북쪽으로 설악산, 점봉산, 동쪽으로 오대산 노인봉과 대관령, 서쪽으로 회기산과 태기산 등 백두대간의 등줄기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가칠봉에서 설악을 거쳐 오대에 이르는 거대한 산군은 은세계를 이루며 잠들어있고, 그 위로 눈이 시리도록 푸른 하늘이 펼쳐진다. 그러나 조망의 기쁨도 잠시, 매서운 바람의 기세에 벗어놓았던 두건을 감싼다. 머리카락은 땀방울이 얼어붙으면서 생긴 고드름으로 버석거린다. 잠시도 지체할 겨를이 없이 정상으로 발걸음을 재촉한다.

 

매서운 삭풍에도 흔들림 없이 전망대에서 20여분 만에 산정에 도착한다.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홍천군 내면의 경계를 이루는 계방산은 주변의 황병산, 오대산, 방태산 등 여러 고봉과 함께 태백산맥을 이루고 있는 산이다.


계방산 정상(1,577m).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남녘땅에서 5번째로 높지만 해발 천 미터가 넘는 운두령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편하고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정상에 서니 일망무제의 주위 경관에 절로 탄성이 터져 나온다. 예상 밖으로 날씨가 포근하고 바람마저 잔잔하여 사위를 조망하기에 너무 좋다. 정상의 남서쪽으로는 우리가 지나온 운두령과 그 너머 태기산 산군이 시야에 와 닿는다.

 

동쪽으로 시야를 돌리면 능경봉, 대관령, 선자령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분수령과 그 너머로 푸른 동해가 연이어 펼쳐지고, 하얀 눈으로 덮힌 오대산 산줄기들이 발아래로 자리하고 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저 멀리 동남쪽으로 용평스키장 슬로프가 있는 발왕산이 보이고 발아래로는 오대산 산군들이 고산준령으로 뻗어가면서 장쾌함과 웅장함을 자랑하고 있다.



정상에서 나무 계단을 내려서면 1,276봉을 거쳐 아래 삼거리로 바로 내려가는 급경사의 등로가 이어진다. 우리는 동쪽 능선으로 하산 방향을 잡는다.

 

동쪽 능선을 따라 급경사의 내리막길로 접어드니 금방 주목 삼거리에 도착한다. 능선의 등로는 습한 바람이 나뭇가지에 부딪히며 만들어낸 갖가지 모양의 눈꽃으로 터널을 이룬다. 한겨울에도 푸른 기운을 잃지 않아 동청(冬靑)이라 불리는 겨우살이는 하얀 솜이불을 뒤집어쓴 채 일찌감치 동안거(冬安居)에 들어가 있다.


급경사지만 감촉 좋은 눈길을 따라 한참을 내려서니 작은 계곡이 나온다. 하산 길 산객들이 수선거리는 말소리도 차가운 칼바람에 얼어붙고, 계곡의 청아한 물소리도 얼음 아래로 스며들어 산골짜기는 고요한 고독의 심연에 빠져있다.


 

한 여름에 더위에 지친 사람들에게 피안의 쉼터가 되었던 노동 계곡 골짜기는 이제 사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깊은 동면에 빠져있다.


산속은 으레 서글프다. 늦은 저녁 하산 길의 등산화 위로 하얀 서리가 내린다. 산자락은 고요하게 누워 있고, 그 품안으로 가랑잎이 바람소리 따라 서걱거린다. 산줄기에서 배어나오는 외로움과 쓸쓸함은 바람에 떠밀려 계곡 속으로 묻혀 버린다. 야영장 공터에는 복원된 이승복 어린이 귀틀집 생가가 외로이 서있다.

 

야영장에서 노동 삼거리로 내려가는 길가 시골집의 처마에는 주렁주렁 고드름이 달려있고, 굴뚝에서는 몽실몽실 저녁연기가 피어오른다. 해질녘 산촌 풍경은 유년의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어느덧 어스름 내리는 길섶으로 산행 날머리인 삼거리 주차장이 보인다.



오대산 월정사 앞의 식당가에서 버섯전골, 더덕구이, 산나물로 차려진 풍성한 산채 정식을 즐기고 마당으로 나오니 오대산을 휘감는 구름 사이로 노란 얼굴의 달이 뽀얀 몸짓으로 고즈넉한 산정에 어둠의 빛을 뿌리며 내려앉는다.

 

오늘은 계절의 서정시가 들려주는 계방산 겨울 이야기에 흠뻑 취한 하루였다.

여계봉 선임기자




편집부 기자
작성 2018.12.17 12:54 수정 2018.12.17 20:4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2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슬님 (2018.12.18 12:55) 
겨울산
하늘과 맞닿은 눈꽃과 정상의 웅장함이 겨울산의 매력에 빠지게 만듭니다. 모든것을 하얗게 덮어버리는 순백의 겨울산! 저도 꼭 한번 가보고싶네요 ^_^ 좋은글감사합니다~
입니다.
댓글 수정-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리락이님 (2018.12.18 07:11) 
겨울산
겨울산 풍경이 너무 멋지네요~ 기자님 글을 읽고 어렸을적 가족들과 자주 갔던 이승복 기념관이 떠오르네요^^ 복원된 이승복 어린이 귀틀집 생가.. 기회가 된다면 가보고싶네요~~
입니다.
댓글 수정-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