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과 관련 5당 원내대표가 국민들 앞에서 사인까지 하고 합의한 것이 단식이 해제되자마자 다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는 이런 일들이 벌여지고 있어 참담한 심정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오늘 아침 YTN과의 인터뷰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가지는 어떤 공정한 선거제도의 룰이 기존에 승자독식 제도로 인해서 부당하게 의석수를 가져갔던 거대정당의 입장에서는 그 선거제도가 변하게 됐을 때 자신들이 가져갔던 걸 내려놔야 한다”며 “그것이 싫은 것이 본심이라고 봐야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또 이 대표는 한국당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 더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국민들 안에서는 현재 소선거구제 제도의 불합리성이 개혁돼야 한다는 여론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며칠 전에는 보수진보 가릴 것 없는 시민단체들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지지하다는 그런 입장문을 발표도 했는데 그 자리에는 자유한국당도 참여를 같이 했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국민들의 요구나 여론이 국회를 최대한 압박을 하는 게 필요하다”며 “애초의 합의정신에 입각해서 소위에서 좀 구체적인 안들을 내놓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방법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원내 5당 원내대표가 합의한 내용을 1월 임시국회에서 합의처리를 하려면 연말까지는 특위안이 가닥잡혀야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 거대양의의 입장을 보면 합의처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4월까지는 국회의원 선거구를 획정해야 하는 법정시한이다.
이어 이 대표는 선거제도 개혁과 관련해서 최근 민주당에 대한 비판의 날을 세우는 것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이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민주당과 대통령의 해심 공약이었고, 대통령의 핵심 공약을 뒷받침해나갈 가장 1차적인 책임은 집권정당 안에 있다”며“ ”그래서 정의당보다 몇 배는 더 강력하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데 굉장히 미온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한 지적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