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간세설] 자중자애가 자아의 완성이다

[Column] Self-Love/Respect Completes Oneself

"너 자신을 외면한 자비심으로는 부족하다."

      

몸소 실천하면서 불교 사상을 서방 세계에 전파하고 있는 미국인 잭 콘필드 (1945 - )의 이 말은 '자선은 집에서 생긴다'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자선은 집에서 생긴다는 말은 영국 소설가 챨스 디킨스(1812-1870)의 작품 '마틴 차슬윗'(1943)에 나오는 "자선은 집에서, 정의는 이웃에서 비롯된다"는 데서 유래했다.

 

이 말을 '자선은 내 일이고 정의는 남의 일'이라 나부터 잘살고 볼 일이고 법 따위엔 신경 쓰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사랑은 가정에서 정의는 사회에서 시작된다고 이해할 수 있으리라. 어쩌면 이 말은 영국의 성직자 토마스 풀러 (1608-1661)"자선은 집에서 출발하지만 집 안에만 있어서는 안 된다'는 말을 좀 달리 표현한 것 같다. 이를 두고 동양에서는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라고도 했다.

 

미국의 소설가 제임스 볼드윈 (1924-1987)의 다음과 같은 말을 깊이 되새겨 보자. "아뿔싸! 반론의 여지 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다 저렇다 할 만큼 행동조차 하지 않지만, 전무후무할 기적처럼 지상의 천사 같은 존재로 태어난 한 사람 한 사람을 우리는 소중히 대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동시에 믿기지 않을 만큼 천하의 괴물로 변해버린 악마 같은 이들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하려고 애쓰고 있다."

 

이야말로 요즘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미 투(Me too)" 운동의 메시지가 아닌가. 이 메시지를 미국의 휴스턴 대학 사회복지대학원 석좌교수 브레네 브라운(1965 - )은 단지 두 문장으로 요약했다. "감정이입의 공감은 수치감의 해독제다. 수치심에 괴로워 몸부림 칠 때 가장 큰 힘이 되는 말은 이 두 글자 '미투(Me too)'이다."

 

그건 그렇고 영국의 코메디안 스티븐 프라이 (1957 - )의 다음과 같은 말 한마디에서 우리는 더할 수 없는 위로와 위안을 얻고 고무되지 않을까. "고양된 자의식, 거리감, 동조 불가능성, 물리적이고 신체적으로 느끼는 모멸감이나 수치심, 자기혐오, 이런 것들이 다 나쁘지만은 않다. 이 악마들이 내 천사들이기도 하니까. 이들이 없었다면 결코 내가 언어라든가, 문학이라든가, 정신이라든가, 웃음이라든가 하는 나를 만들기도 하고 해체시키기도 하는 광적인 몰아(沒我)의 경지에 빠질 수 없었을 것이다.

 

내가 나 자신은 물론 나의 분신인 모든 사람들과 사물들을 사랑하고 존중한다면 이 세상에는 버릴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재미 작가 이태상

 

 

 

Self-Love/Respect Completes Oneself

 

 

“If your compassion does not include yourself, it is incomplete.”

 

This quote from Jack Kornfield (1945 - ), American Buddhist Practioner and one of the key teachers to introduce Buddhist mindfulness practice to the West, recalls the age old saying of ‘charity begins at home’.

 

This saying derives from a sentence in ‘Martin Chuzzlewit’, one of works by English novelist Charles Dickens (1812-1870): “Charity begins at home and justice begins next door.”


This sentence may be understood to mean either that I do care only about my well-being and the laws and the like are none of my business; or that love begins at home and justice starts in society, paraphrasing a saying by English churchman Thomas Fuller (1608-1661): “Charity begins at home, but should not end there.”

 

We say in the East that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in Korean and 修身齊家治國平天下 in Chinese characters, meaning ‘Take care of your family first and then mind the business of the world later.”

 

However, it rings so true as American novelist James Baldwin (1924-1987) laments:

 

“Incontestably, alas, most people are not, in action, worth very much; and yet, every human being is unprecedented miracle. One tries to treat them as the miracles they are, while trying to protect oneself against the disasters they’ve become.”

 

Isn’t this the very message of the current worldwide #MeToo Movement?

 

This message is summed up succinctly in two short sentences, or rather two words: “Empathy is the antidote to shame...The most powerful words when we’re in struggle: me too. by Dr. Brene’ Brown (1965 - ) who is a research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Houston where she holds the Huffington - Brene’ Brown Endowed Chair at The Graduate College of Social Work.

 

Be that as it may, meanwhile, we can be comforted and even exhilarated by what the English comedian Stephen Fry (1957 -) says:

 

“Heightened self-consciousness, apartness, an inability to join in, physical shame, self-loathing they are not all bad. Those devils have also been my angels. Without them I would never have disappeared into language, literature, the mind, laughter, and all the mad intensities that made and unmade me.”

So, perhaps, there is nothing to be discarded, after all as long as one cares to love and respect oneself and all others as other selves of oneself.

 



Tae Sang Lee

 


편집부 기자
작성 2018.12.29 15:12 수정 2018.12.30 02:5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