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성 칼럼] 인명풀이 중애(仲哀)천황

최규성

중애천황의 아버지 일본무존(日本武尊)이 바로 구형왕(仇衡王)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가야국 구형왕(仇衡王)이 신라 법흥왕에게 항복할 때 세 왕자를 데리고 함께 왔다고 하며 그 세 왕자의 이름을 노종(奴宗), 무덕(武德), 무력(武力)’ 또는 세종(世宗) 무도(茂刀) 무득(茂得)’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첫째 왕자는 노종(奴宗) 노리부(弩里夫) 혹은 세종(世宗)이라고도 하였으며, 다른 기록에는 노부(奴夫), 내례부(內禮夫), 내부(內夫)’라고도 하였다. 이는 모두 [놀부/norbu]라는 이름을 음차 또는 훈차(진의훈차, 사음훈차)하여 표기한 것으로, 차자표기된 이름을 분석해 보건대 이들이 모두 동일인이란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일본의 고사기윤공천황단에는 김파진한기무(金波鎭旱紀武)라는 신라 의원의 이름이 실려 있는데, 김기무(金紀武) 역시 [노리부/noribu]를 표기한 것으로 동일한 인물이라 생각된다.

 

셋째왕자의 이름은 삼국사기에는 무력(武力)으로 되어 있고 삼국유사에는 무득(茂得)으로 되어 있다. 일본어에서라면 [타카치카라] 또는 [시게에루] 비슷하게 일컫는 이름을 그렇게 적은 것일 수도 있겠지만 도대체 뭐라고 부른 이름을 그렇게 차자하여 표기한 것인지 현재로서는 알 수가 없다.

 

어쨌거나 첫째왕자와 셋째왕자는 삼국사기를 비롯한 각종 문헌들에 그 이름이 실려 있을 뿐 아니라 신라인으로 편입된 후의 활약상도 기록에 남아있는데, 둘째왕자에 관한 기록은 전혀 없다. 왜 그럴까? 의문이 들 만큼 둘째왕자에 대한 기록은 전무하다.

 

일본서기족중언천황(足仲彦天皇=중애천황)은 일본무존의 둘째아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2세기 후반에 일본의 천태종 승려 현진(顯眞)이 쓴 산가요략기(山家要略記)에도 중애천황이 일본무존(日本武尊)의 둘째아들이라고 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추찰해 보면 일본무존의 둘째아들 중애천황이 곧 구형왕의 둘째왕자 무덕(武德)과 동일인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일본무존의 이름은 소대존(小碓尊)인데, ‘소대(小碓)’[코우스/kous]라 일컬었던 이름을 일본식으로 차자하여 적은 것이고, 이는 곧 구형왕(仇衡王)’과 같은 이름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에는 구형왕의 이름을 구해(仇亥)’ 또는 구차휴(仇次休)’라고도 했다고 써 놓았는데, 이는 [쿠쉬/koushi] 정도로 일컬었던 이름을 음차하여 적은 것이다. 지금도 경상도 방언에서는 [/] [향나무/상나무] [형님/성님] 등에서 보듯 [/] 음이 넘나들고 있다. ‘구형[구서이, 구세이]처럼 발음하는 것이다.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측의 각종 문헌에 백제 귀수왕(貴首王)’ 혹은 구수왕(仇首王), 구소왕(久素王)’이라고 되어있는 이름은 바로 이 구형왕 즉 일본무존을 가리킨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그리고 필자가 졸저 임나의 인명‘3-5) 수인천황(垂仁天皇), 탈지이질금(脫知爾叱今)’에서 논한 바와 같이, 일본의 제11수인천황(垂仁天皇)’[타라어지/taruchi]라 일컬었던 이름을 일본식으로 차자표기한 것으로 삼국유사가락국기에 나오는 구형왕의 동생 탈지이질금(脫知尼叱今)’과 동일한 이름이다. 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드리우다이고 일본어는 타라스(たらす), 타레루(たれる)’이며, 한자 에 해당하는 한국어가 어질다이다. [타라어지/taruchi]를 일본어에서 수인(垂仁)’이라고 차자(借字)하여 표기한 것이다.

 

그리고 구형왕의 손자 솔지공(率支公)은 갈성습진언(葛城襲津彦; 가츠라기 소츠히코)과 동일인으로 추찰된다. 졸지공(卒支公)과 습진언(襲津彦; 소츠히코)의 이름이 같다는 점에 대해서는 더 설명할 필요가 없으리라 믿는다. 관심이 있으신 분은 졸저 임나의 인명‘2-8) 습진언(襲津彦), 사지비궤(沙至比跪)’를 참고하시기 바라고, 이를 토대로 중애천황의 계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애(仲哀)’가실(嘉悉), 가수리(加須利)’[가슳/kasur]이라는 동일한 이름을 차자방식만 달리하여 적은 것임을 금방 알아차릴 수 있지만 무덕(武德)’ 무도(茂刀)’는 뭐라고 부른 이름을 그렇게 적은 것인지 알기 어렵다. 한국어의 관점에서도 그러하고 일본어의 관점에서도 그러하다. 얼른 보기에도 무덕(武德) 무도(茂刀)[가슬/kasur]이라는 이름을 차자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부친인 일본무존 소대존(小碓尊; 코우스)’구형왕(仇衡王)’의 이름이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보건대, 그 둘째아들이라는 무덕(武德)’중애(仲哀)’천황도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할 것이다.

 


정리해서 말하면, 중애천황은 서기 532년 신라 법흥왕에게 항복한 가야국 구형왕(仇衡王)의 세 아들 노종(奴宗), 무덕(武德), 무력(武力)’ 중에서 둘째왕자인 무덕(武德)과 동일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형제들과 함께 아버지 구형왕을 따라 신라에 들어가 항복한 게 아니라 혼자 남아서 신라에 저항해 싸운 것으로 추측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서기 532년 구형왕이 세 왕자를 데리고 신라 법흥왕에게 항복했다고 한 삼국사기삼국유사의 기록은 잘못된 것이며, 둘째 왕자 [가슬/kasur]은 항복하지 않고 신라에 맞서 싸웠던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다. 그 둘째 왕자가 바로 중애천황이요, 그의 아내가 신공황후라는 얘기다.

 

중애천황의 실제 재위연대는 533~540년이고 신공황후는 541~569년 정도로 추측되는 바, 앞으로 더 이상 신공황후가 300년대 후반에 한반도 남부를 정벌했던 것만큼은 사실로 여겨진다는 식의 잘못된 수긍을 하는 나태한 학자들이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최규성]

방송 작가

수필가

칼럼니스트

최규성 ; crazychop@naver.com

 


작성 2022.02.21 11:32 수정 2022.02.21 11:5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