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유스 / 김찬영 기자] 내년부터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이 연장된다.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 연장은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의 하나였다.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더 정확하게는 세무사 시험에 한정하여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이 연장되는 것이다. 긍정적 행보임은 분명하나, 더 확대되어 적용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 연장이라는 문제를 두고 취업준비생과 사교육 업계의 입장은 엇갈린다. 취업준비생은 토익, 토플과 같은 공인 영어시험 성적을 대학 졸업하는 시즌에 맞춰서 미리 취득한다. 그 이후에도 취업준비생들은 계속해서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기 위해 정진한다. 불행하게도 유효기간 내에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게 된다면, 다시 시간을 들여 공인 영어시험 성적을 취득해야 한다. 이것은 비단 공인 영어시험 성적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유효기간이 존재하는 대부분의 자격들은 2년 내에 만료된다.
반면에 사교육 시장에서는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이 연장된다면 성적을 위해서 사교육의 도움을 빌리는 빈도가 낮아질 것이다. 그에 따라서 사교육 시장의 수입에는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정책이든 그 정책의 파급효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이들과 수혜를 입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양자택일의 문제에 놓여있을 때,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 국가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사회라는 톱니바퀴가 잘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선택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안정을 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취업준비생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취업시장은 과열되어 있다. 근대에는 글을 깨치면 지식인이었다. 민주화 시대에는 대학교에 입학한 자들이 지식인이었다. 이러한 지식인들은 비교적 남들보다 쉽게 좋은 직장에 취직할 수 있었다. 오늘날은 어떠한가? 조선시대에 공명첩과 마찬가지로 대학교 졸업장은 너무나 흔한 것이 되어버렸다. 졸업장만 가지고는 더 이상 취업시장에서 승리를 쟁취할 수 없다. 대외활동, 공인 영어시험 성적, 공모전, 봉사활동 등 수많은 활동으로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야 한다. 즉 취업을 위해서 대학만 필요한 것이 아니고, 공인 영어시험 성적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젊은 청년들에게는 수많은 짐이 강요되고 있다. 그렇다면 마땅히 그 짐을 덜어주는 것이 사리에 맞는 일이다.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 연장은 단순히 사교육 시장의 축소의 관점에서 바라볼 만한 사항이 아니다. 이것은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거시적인 정책이다.
공인 영어시험 성적의 유효기간이 세무사 시험에 한해서 연장된다는 점은 아쉽다. 따라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유효기간의 연장을 차츰 적용해 가고, 사기업에서도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면 취업준비생의 짐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열된 사회를 조금은 식혀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사회를 위해서는 국가적 각고의 노력과 시민 사회의 동참이 모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