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의 책] 이순신이 지킨 바다

동여도와 현대지도를 비교하며 25년간 300여 차례 답사

이봉수 지음

이순신 장군의 승전현장을 완벽하게 복원한 역작


지난 25년 동안 이순신 장군이 지켜낸 우리 바다 구석구석을 누비며 온몸을 바쳐 싸웠던 그날의 현장을 생생하게 되살려 냈다. 임진왜란 첫 승전을 거둔 옥포해전지에서 마지막 숨을 거둔 노량해전지까지, 저자가 직접 발로 뛰며 새롭게 발견한 모든 내용이 총망라된 이 책에서 저자는 현장의 지리를 완벽하게 활용해 임진왜란의 모든 해전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의 전략과 승리의 비결을 분석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순신의 리더십이나 인간적인 면에 감춰져 있던 천문과 지리에 대한 그의 놀라운 통찰과 혜안을 철저한 현장 답사를 통해 밝혀낸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왜란이 끝난지 420년이 지난 현재의 바다는 지명이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간척과 개발로 장군이 싸우던 그 바다와는 사뭇 다르다. 장군의 진면목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싸웠던 현장을 직접 가 볼 필요가 있다는 신념으로, 이봉수 작가는 남해안 해안 포구와 섬들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면서 이순신이 승리한 장소는 물론 하룻밤 정박하고 간 장소들까지 모두 훓고 다녔다.

 

여기에서 저자는 전문가의 역량과 기지를 발휘한다.《난중일기》,《임진장초》등에 등장하는 지명을 김정호가 그린 동여도를 비롯한 고지도로 찾아내고, 이를 다시 현대지도에서 확인하면서 완벽하게 복원해 낸 것이다. 그의 끈기와 열정에 힘입어 우리는 이순신 장군이 싸운 현장을 눈으로 확인하고 가슴에 새겨넣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천문과 지리적 관점에서 이순신의 전략을 분석!

이순신 장군은 왜군에 비해 병사나 전선에서 수적 열세에 있던 조선 수군으로 어떻게 바다를 지켜낼 수 있었을까? 그 해답은 장군이 남해안의 지형뿐만 아니라 조류의 흐름과 날씨까지 모두 파악하고 있을 만큼 천문과 지리를 이용한 전술의 대가였다는 점이다. 이순신 함대의 항해 기록을 보면 ‘량梁을 지켜 적의 진출을 막고, 포浦를 공격하여 적을 섬멸’하는 것이 장군의 가장 큰 전략이었음을 알 수 있다. 

 

좁은 물길인 량梁은 왜군에 비해 병사나 전선에서 수적 열세에 있던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의 진출을 막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 여수에서 한산도로 진을 옮겨 견내량을 지키며 왜군의 서진을 막은 것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밖에도 착량, 사량, 노량, 명량 등의 길목에서 이순신은 조선의 바다를 굳건히 지켜냈다. 반면 적을 공격할 때는 포를 공격했다. 도망갈 곳이 없는 포구의 입구를 막아 적의 퇴로를 차단하고 조선 수군의 특기라 할 수 있는 포격전을 펼쳐 승리를 거두었다. 옥포, 합포, 적진포, 당항포, 안골포, 다대포, 부산포 등이 바로 그곳들이다. 

 

전투 준비에서 누구보다 철저했던 이순신이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 중의 하나는 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바다의 뱃길을 잘 살펴볼 수 있는 높은 산에는 망군을 내보냈다. 경남 고성의 벽방산, 거제도 대금산, 한산도 고동산, 해남 달마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처럼 이순신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은 남해의 특징을 완벽하게 이용하여 왜군에 맞서 조선의 바다를 지켰다.

저자는 또한 바다의 날씨와 조류, 해류, 지형 등을 분석하여 재미있는 결과를 제시한다. 예를 들면 정유재란 때 부산포의 절영도 앞바다로 출전하라는 선조의 명령을 이순신이 거부한 것은 겨울철 해상의 험악한 날씨와 쿠로시오난류의 흐름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명량해전과 관련해서는 시간대별 조류를 분석하여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역류를 마주하고 울돌목에서 버틴 조선 수군이 조류가 바뀌자 순류를 타고 반격을 펼쳐 벽파정자 아래에서 적장 마다시를 사살하고 승리를 거둔 후 엄청난 역류를 거슬러 다시 우수영으로 올라갈 수 없어 진도 남단을 돌아 서해의 당사도로 갔다는 것이다. 

 

명량해전 직후에 이순신 함대는 수군 재건을 위해 서해를 유랑하면서 게릴라전을 펼치면서 시간을 벌었는데, 이때 약 20일만 버티면 해상에 혹독한 겨울이 와서 적의 대규모 선단이 더 이상 추격해오지 못할 것까지도 이순신은 간파하고 있었다고 한다. “하늘을 알고 땅을 알면 이기지 못할 싸움이 없다.”

집념 어린 25년 발품과 김정호의 동여도를 통해
420년 시간에 묻힌 우리의 지명을 새롭게 밝혀 낸다!


이 책은 천문과 지리적인 관점에서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밝히면서 임진왜란 전반과 이순신의 해전을 시간대별로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전적지 지도를 완성하여 이 책의 본문과 말미에 일목 요연하게 정리해 독자들은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해전 현장에서 바라본 이순신의 진면목을 접할 수 있다. 무엇보다 당시의 지명을 바탕으로 이순신의 해전 현장을 완벽하게 복원해냈다는 점에서 전문 연구가들은 물론이고 일반인들의 답사여행 길잡이로 단연 돋보이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 이봉수는 현장 복원을 위해《난중일기》나 《임진장초》등에 등장하는 지명을 동여도를 비롯한 고지도로 찾아내고 이를 다시 현대지도에서 확인하는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으면 향토사학자들과 지역주민들을 인터뷰하여 찾아냈다. 그렇게 찾아낸 곳 가운데에는 명량해전 직전 장군이 해남 이진에서 어란포로 가면서 중간에 들렀던 도괘(刀掛), 속칭 칼쾡이라고 불리는 해남군 북평면 남성리와 정유재란 당시 있었던 흥양 고도해전의 현장인 고도(姑島)가 전남 고흥군 남성면에 있는 우도인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또한 원균이 최초로 승리했다고 주장한 기문포해전의 기문포도 그동안 어디인지 알 수 없었으나, 부산시 강서구 천성동 대죽도임을 새로이 밝혀 냈다. 그리고 제2차 당항포해전 당시 어선포는 경남 고성군 회화면 어신리라는 사실도 새로 찾아냈으며, 아자음포와 시굿포의 현재 위치도 밝혔다.

이순신 전적지의 위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동안 사라졌던 우리 지명을 새롭게 찾아내기도 했다. 임진왜란 당시 거제도 유자도(柚子島)라고 불리던 섬은 현재의 귤도(橘島)인데, 이는 섬 이름이 유자에서 귤로 바뀐 재미있는 경우이다. 통영반도와 거제도 사등면 사이의 좁은 해협인 견내량(見乃梁)은 명량처럼 조류가 엄청 난 속도로 흐르는 곳이라 바다에 흐르는 냇물이라 하여 지역민들 사이에 ‘갯내’라고 불렸는데, 이 발음을 한자로 바꾼 것이 바로 ‘견내량’이다.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이 전멸하다시피 한 비운의 해협인 칠천량(漆川梁)은 옻나무(漆)가 많은 곳에 흐르는 냇물(川)이라 하여 칠천(漆川)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밖에도 판데목이 착량(鑿梁)으로 표기된 것이나 마산합포구 구산면 증도(甑島)를 시리섬이라 한 것 역시 국문학적 어원을 따져 설명하고 있으며, 통영의 거을망포(巨乙望浦 걸망개), 한산도의 두을포(豆乙浦 둘포), 여수의 고음천(古音川 곰내) 등은 이두식 표기의 지명임을 밝히고 있다.

 

작가는 이 책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합포(合浦)해전지가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만 일대임을  확인했다. 그동안 합포해전지가 창원시 진해구 학개(鶴浦) 마을라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가들의 주장이 잘못 되었음을 고지도와 여러 사료를 바탕으로 밝혀냈다. 

 

저자 이봉수는 지금까지 그가 직접 땀 흘리며 발굴한 ‘이순신 전적지 답사 코스’를 독자에게 선물하고 있다. 승전 현장의 이순신을 만나고 싶은 독자는 저자가 만들어 놓은 코스를 따라 떠나기만 하면 된다. 이 책 부록에 실린 제1코스(고성-통영-거제), 제2코스(명량 권역), 제3코스(노량-여수-고흥 권역), 제4코스(부산-창원 권역)까지 총 4개의 답사 코스는 서울, 부산, 여수 이순신학교 수강생들이 수료에 앞서 다녀오는 실제 답사 코스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많은 관련 기관 단체로부터 격찬을 받고 있는 코스이다.

 

이 책은 이순신 연구가들 사이에서 ‘발로 쓴 책’으로 소문이 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경남 통영의 오곡도라는 섬에 토담집 하나를 마련하여 이순신 전적지를 답사하는 베이스캠프로 삼고 틈만 나면 남해의 전적지를 답사했다. ‘이순신이 지킨 바다’는 우리 시대에 보기 드문 현장주의자의 역작이다.

 

시루 刊 / 이봉수 지음

작성 2023.02.08 09:54 수정 2023.02.08 22:1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