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식 칼럼]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김태식

“가르치는 것이 배우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해 가르치면서 배운다는 뜻이기도 하고 가르치기 위해 공부를 해야 하니 자연스레 배우게 된다는 뜻일 것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말도 있다. 정신이 살아있다는 것은 곧 배움과 삶의 욕망이 함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20여 년 전 어느 대학에서 3월 초순부터 6월 중순까지 한 학기동안 겸임교수로 강의를 맡아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나의 직장일도 바빠서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고사固辭를 했다. 하지만 조선과 석유시추선에 관한 실무경력이 풍부한 엔지니어의 강의가 학생들에게 꼭 필요하다는 대학 측의 얘기를 듣고 간곡한 부탁을 더 이상 거절할 수가 없었다. 나의 시간을 위해 수요일 오후에 3시간으로 모아 주겠다는 배려까지 해 주니 한번 해 보기로 했다. 

 

첫 강의를 위해 학과사무실에 들렀을 때 나의 이름 뒤에 교수님이라는 글을 보고 나는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나는 교수가 아니고 미국해운회사의 선주감독’ 으로 불러 달라고 하니 조교가 말하기를 ‘대학에서는 강단에 서면 모두 교수’라 부른다고 하니 어쩔 수 없었다. 

 

출석을 부르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단에 얼떨결에 섰을 때 학생들도 모두 나를 교수님이라 불렀다. 하지만 가르치는 것은 만만치 않았다. 내가 알고 있는 것과 가르치는 표현은 쉽게 되는 일이 아니었다. 다행히 내가 맡은 과목은 지난 20여 년 동안 산업현장에서 해 왔던 일이라 막힘은 없었다. 이렇게 가르치면서도 나는 석사과정을 밟느라 대학원 3학기째를 다니고 있는 40대 중반의 만학도였다. 한편으로는 가르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배우는 것이었다. 

 

누구에게나 배운다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가르치는 것 또한 쉽게 되는 일은 더욱 아니었다. 만학도 에게도 교수님이 휴강을 한다하면 왠지 즐거워진다. 배우기 싫어서가 아니라 자유로워짐을 의미한다. 배운다는 경직된 상황을 벗어날 수 있고 편안하게 풀어진다는 것은 넉넉함을 주는 여유로움이다. 학부 시절의 즐거움과 편안함을 지금 느끼는 것은 배움에서만 오는 특별함이다. 

 

한 학기가 지나갔다. 기말고사를 치르고 출석점수를 챙겨 학점을 매겨야 한다. 수업에는 빠짐없이 출석을 성실하게 했지만 시험점수는 별로 좋지 않은 학생이 있는가 하면 결석이 몇 번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은 잘 치른 학생이 있기도 하다.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을 보노라면 안타깝다. 부모님들이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얼마나 고생했을까 하는 생각을 한 번쯤 할까 하는 마음에 느낌이 알싸해졌다. 하지만 그들이 그 마음을 알기에는 학생들의 연륜이 많이 흘러야겠지만 내 자신이 부모 된 입장에서 볼 때는 안타까울 뿐이다. 

 

2학기에도 대학에서 9학점 정도를 맡아달라고 부탁을 했지만 나의 업무도 있고 해서 어떻게 될지 쉽게 결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2학기에 또한 나 자신도 계속해서 배움의 시간을 보내야 하는 바쁜 일정이라 간단한 문제는 아니었다. 지금 지나고 보니 대학생들을 5년간 가르쳤다. 

 

하지만 학생들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그들이 모르는 지식을 깨우치게 해 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들을 때 보람을 느꼈고 배우는 일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쌓아감으로써 나의 지적인 재산도 함께 늘어간다는 만족감을 느꼈다. 그리고 가르치는 것이 배우는 것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한번 더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김태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선박기관시스템 공학과 졸업(공학석사)

미국해운회사 일본지사장(전)

울산신문 신춘문예(등대문학상) 단편소설 당선 등단

사실문학 시 당선 등단

제4회 코스미안상 수상

이메일 :wavekts@hanmail.net

 

작성 2023.04.18 11:42 수정 2023.04.18 11:4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