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 발견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가 발견되었다는 시민 제보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다.


시민 정현모씨는 3일 서울 인근 야산을 산책 중 크낙새로 추정되는 새를 발견하고, 사진과 함께 문화재청에 제보하였다. 제보한 사진에 따르면, 크낙새의 주요 특징인 검은 색 몸통에 배 부분이 흰색을 띄고 있는 등 크낙새 암컷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에 문화재청은 해당 지역에 크낙새가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보 접수 즉시 관계 전문가를 파견하여 현황 조사에 착수하였다.


현장 조사는 우선 육안조사와 플레이백 조사(Playback method: 같은 종의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반응·서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의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하며, 필요하면 무인카메라를 설치하여 지속해서 점검(모니터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크낙새는 딱따구리의 일종으로, 북한에서는 ‘클락 클락’ 운다고 해서 클락새로 부른다. 암수 모두 몸길이는 약 46㎝ 정도이고, 배와 허리는 흰색, 나머지 부분은 검은색이나, 수컷은 머리 꼭대기와 부리 옆의 무늬가 붉은색인 것이 특징이다. 백두산 이남에만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자취를 감추고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참고로, 경기도 남양주시의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1962년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작년부터 북한지역의 크낙새 서식실태 남북 공동 조사·연구를 위한 협의를 추진하고 있으며, 금번 조사로 서울 인근에서 크낙새 서식이 확인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크낙새 복원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보현 기자
작성 2019.05.06 10:01 수정 2019.05.06 10:0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천보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5년 7월 31일
구름 이름은?
무궁화
2025년 7월 28일
2025년 7월 17일 꿈꾸는씨앗결손아동후원하기
라이브커머스 전성시대 케이미디어스튜디오와 함께하세요 #ai영상
여름하늘
아기고양이가 세상을 배워가는 방법
장마가 만든 탁류
2025년 7월 26일
새의 영토
대구변호사 | 성매매 장부 적발! 처벌 피할 수 있을까? #shorts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