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녹아내리는 남극 빙하, 국제공동 대응 나서

해수부,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공동 남극 빙하 연구에 돌입

이미지 =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남극 빙하 붕괴에 따른 해수면 상승 예측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6 월부터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돌발 붕괴가 유발하는 해수면 상승 예측 연구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가  작년 12 월 선정한 ‘2019 년 주목해야  할 과학 분야  이슈 ( What to watch for in 2019) 10 ’  1 순위로 꼽힌 연구과제이다 . 이 연구는 남극연구 역사상 단열 건으로는 가장 큰 규모의 국제공동 연구로 , 우리나라 미국 , 영국이 2022 년까지 총 800 억 원을 투입하여 수행한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공모를 거쳐 극지연구소를 우리 측 수행기관으로 정하였으며, 20 22 년까지 4년간 진행되는 이번 연구에 200억 원을 지원 할 예정이다.

 

구팀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중심으로 현장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깊은 바다까지 잠수할 수 있는 물범에 측정장비를 부착하여 스웨 이츠 빙하 주변 바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관측하고 , 쇄빙선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빙붕 하부는 무인 잠수정으로 관찰할 계획이다 .

 

연구 대상 지역인 서남극의 스웨이츠 빙하 (Thwaites Glacier)는 지난 4 년간 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녹아 이미 붕괴가 시작된 빙하로, 얼음 바닥이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따뜻한 바닷물의 유입이 쉬워 빙하가 잘 녹는 환경에 처해 있다.

 

남극대륙 위를 흐르는 빙하는 대부분 대륙을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얼음벽(빙붕)에 막혀있어 상대적으로 견고하지만, 서남극의 빙상 ( 대륙 빙하 ) 을 지탱하고 있는 스웨이츠 빙하의 얼음이 빠르게 녹게 되면 둑이 무너지듯이 상류의 빙상 ( 대륙빙하 ) 붕괴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해마다 남극 전체에서 사라지는 1,300 억 톤의 얼음 중 50% 이상이 서남극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관측됐으며, 서남극의 빙상이 전부 녹으면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5.2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파른 해수면 상승은 뉴욕, 런던, 상하이 등 해안가와 인접한 세계 주요 도시에 침수피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 우리나라의 인천과 부산도 침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아 해수면 변동을 예측하고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

 

유은원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장 최근 우리나라도 연안 침식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재해예방과 연안정비를 위해 해수면 상승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라며, “스웨이츠 빙하에서 남극과 해수면 상승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해수면 상승 예측 기술을 확보해 나가겠다.” 라고 말했다.

정명 기자
작성 2019.05.31 15:12 수정 2019.05.31 15:1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5년 7월 31일
구름 이름은?
무궁화
2025년 7월 28일
2025년 7월 17일 꿈꾸는씨앗결손아동후원하기
라이브커머스 전성시대 케이미디어스튜디오와 함께하세요 #ai영상
여름하늘
아기고양이가 세상을 배워가는 방법
장마가 만든 탁류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