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계봉의 산정천리] 부안 내변산(內邊山) 가을 산사 가는 길

여계봉 선임기자

 

전북 서해안에 돌출한 변산반도는 내륙쪽 산악지대를 내변산(內邊山)이라고 하고, 바깥쪽 해안 일대를 외변산(外邊山)이라 부른다. 따라서 변산(邊山)하면 변산반도 일원을 말하며, 내변산의 쌍선봉이 주봉 역할을 한다. 내변산의 산들은 비록 300~400m 높이로 높지 않으나 첩첩한 산과 울창한 숲, 깊은 골짜기는 심산유곡을 방불케 하고 골짜기 곳곳에는 폭포와 담(潭), 소(沼)가 걸려 절승을 연출한다. 내변산의 가을 산사 찾아가는 산행은 남여치-월명암-직소폭포-관음봉-내소사 코스로, 11km 거리에 약 4~5시간이 소요된다.

 

부안의 가을은 내변산 숲에서 절정을 뽐낸다. 아기자기한 산세마다 소박한 소녀의 볼처럼 물든 단풍이 여행객을 맞는다. 산들머리 남여치에서 쌍선봉(458m)을 향해 본격적인 산오름이 시작된다. 쌍선봉은 입산 금지구역이라 우회하여 월명암 방향으로 길을 잡는다. 경사진 듯 평탄한 듯 쭉 곧은 듯 구부러진 듯 완만한 진입로에 기분 좋게 다져진 흙길을 넉넉한 마음으로 천천히 걷다 보면 산사 찾는 감칠맛이 느껴진다. 무수히 많은 이들이 이 길을 오가면서 흘렸을 땀과 그들이 남긴 발자국들, 아름다운 추억과 간절한 기도가 배어 있는 비단길이다. 

 

남여치에서 월명암으로 오르는 산길

 

남여치를 출발한 지 1시간 약간 넘게 걸려 천년고찰 월명암에 도착한다. 해발 300m 고지에 위치한 월명암은 신라 신문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데, 절 마당은 오색 낙엽이 그림처럼 깔려 호젓하고도 스산하고 희한한 아름다움이 밀려온다. 월명암은 변산팔경(邊山八景) 중 월명암 법당 앞마당에 서서 둥실 떠오르는 밝은 달을 쳐다보는 경치와 일출과 함께 자욱한 안개와 구름이 춤을 추는 황홀한 비경 월명무애(月明霧靄), 낙조대에서 바라보는 진홍빛으로 불타는 서해 석양의 장관인 서해낙조(西海落照)를 자랑하는 곳이다. 

 

월명무애와 서해낙조를 즐길 수 있는 월명암 

 

키 작은 대나무 군락이 좌우로 만든 능선을 따라 걷다 보면 오늘따라 능선에 부는 바람이 차고 드세어 산죽도 소리 내어 운다. 대나무 능선에 이어 암릉으로 이루어진 등로가 이어진다. 내변산의 봉우리들은 주로 편마암과 변성암으로 되어있어 기이함이 더하고 잘 미끄러지지 않아 산 타기가 쉽다. 산은 육산(肉山)과 골산(骨山)으로 나뉘는데 내변산은 골산이라고 할 수 있다. 골산은 바위의 기가 세서 이를 누를 수 있는 강하고 어진 현자(賢者)를 만나면 훌륭한 수도처가 되고, 반대로 기(氣)가 약한 사람이 살면 가위눌림이나 사고를 당한다는 속설이 있다.

 

날짐승과 사람이 사이좋게 나누어 먹는 절간의 곶

 

오늘 산행은 산상호수로 내려가 직소폭포까지 갔다가 다시 산오름을 계속하여 뒤쪽의 산 능선을 따라서 왼쪽 위 관음봉까지 올라간다. 봉래구곡 삼거리로 내려서기 전에 병풍처럼 둘러싸인 관음봉과 주위 산그리메, 그리고 산상 호수가 눈 가득히 들어온다. 

 

봉래구곡 삼거리로 내려서면 나타나는 이정표가 나오고, 푸른 화살표 방면으로 30분 정도 가면 내변산 매표소가 나온다. 자연보호 기념비가 있는 소공원 삼거리에서 내소사 방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소공원을 지나면 나타나는 산상호수에서 직소폭포에 이르는 봉래구곡(蓬萊九曲)은 변산팔경 중 제1경에 꼽히는 최고의 절경지이다.

 

산상호수에서 직소폭포에 이르는 봉래구곡의 절경

 

깊은 계곡의 작은 소를 휘돌던 물이 넘쳐 바위를 타고 흐르다 직소폭포에서 떨어져 분옥담과 그 아래의 선녀탕으로 이어지고 이 물은 기암괴석과 푸른 숲을 끼고 크고 작은 담과 소로 이루어진 봉래구곡을 거쳐 마지막으로 부안군민의 식수원인 부안댐까지 흘러든다. 맑은 물길을 따라 올라간 길 끝에 조그만 언덕을 넘으면서 그림 같은 호수를 만난다. 거울 같은 수면에 산 그림자를 담고 호수는 비단결을 펼쳐 놓은 듯 아름답다. 호숫가 길을 따라 오르면서 바라본 주변의 경관에 탄성이 절로 터져 나온다. 갈수록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직소(直沼)폭포는 30m 높이에서 수직으로 물줄기가 쏟아지는데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에서 보면 마치 하늘에서 바로 물이 떨어지는 듯하고 물줄기에 떨어져 고이는 둥근 소는 깊이를 알 수가 없을 정도로 깊다. 직소폭포를 제대로 보려면 전망대 못가서 아래로 내려가는 길을 따라 폭포 밑으로 가서 보는 것이 좋다. 

 

30m 높이에서 수직으로 물줄기가 쏟아지는 직소폭포

 

재백이고개 능선에서 계단를 내려와 암릉을 올라서면 길 앞에 우뚝한 관음봉이 막아선다. 이정표에서 정면으로 20분 정도 가면 관음봉(424m)이 나오고 이어서 세봉까지 등로가 연결된다. 내소사로 내려오는 중간에 돌아본 관음봉은 두 개의 암봉이 낙타등처럼 치솟아 있다. 재백이고개에서 내소사 방향으로 바라본 능선은 그야말로 울울창창(鬱鬱蒼蒼)이다. 그래서 택리지를 쓴 고려 시대 이규보는 '변산은 우리나라 재목의 보고'라고 했던가.

 

등로 오른쪽으로 서해가 보이기 시작한다. 바닷물에서는 쪽빛인지 청보리 빛인지 푸르스름한 방광이 일고 크고 작은 섬들이 그림처럼 떠 있는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쭉 뻗으면 닿을 듯 청옥빛 바다 위에 옥색 비단에 고운 장신구처럼 박혀있는 작은 섬들과 그 사이를 유영하는 고깃배들이 보인다. 기암괴석의 산자락은 해안가에 치마폭을 담그고 있다. 산하의 수목들은 머릿결처럼 살랑거리고 잎새의 잔물결들은 아름다운 율동을 만들어낸다. 발아래로 펼쳐진 아름다운 곰소만과 석포리 마을이 손에 잡힐 듯 평화롭게 다가온다.

 

소만 너머로 보이는 서해의 크고 작은 섬들

 

서해에서 눈을 거두어 산 아래를 바라보면 금방 서해로 달려나갈 듯 숲속에서 일엽편주 모양의 절집이 보인다. 내소사는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로, 백제 무왕 때 승려 혜구두타가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로 창건하였다. 절 뒤 관음봉을 능가산이라고도 하는 까닭에 보통 '능가산 내소사'로 부른다. 산속의 길이야 어느 곳에서든 푸르겠지만 이곳의 산색은 특히 아름답고 명산의 푸르름 또한 한결같으니 멀지 않은 곳에서 넘실대고 있을 파도와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산자락 속에 자리한 내소사에서는 누구라도 마음이 편안해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천년사찰 내소사의 대웅보전은 빼어난 단청 솜씨와 보살화를 연꽃 문양으로 조각한 문 격자의 아름다움이 일품이다. 안에 모신 부처님 탱화는 눈을 마주치면 따라서 같이 움직인다고 해서 유명하다. 

 

내변산 자락에 자리한 천년사찰 내소사

 

내소사 은행나무 숲은 농익은 노란 물결이 최고의 절정이다. 산사를 찾은 모든 이의 마음마저 노랗게 물들인다. 내소사의 일주문부터 천왕문까지 약 600m에 이르는 전나무 숲길은 150년생 전나무 500여 그루와 단풍나무가 어우러져 정말 매력적이다. 단풍 질 무렵이거나 낙엽이 휘날리는 요즘 이 길을 걷노라면 몸에는 진한 나무 내음이 배이고 경내에 들어서기 전에 벌써 마음이 정갈해진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에 선정된 내소사 전나무 숲길은 봄은 벚꽃, 여름은 신록과 녹음, 가을은 단풍, 겨울은 아름다운 설경으로 계절마다 그림엽서 같은 풍경을 연출한다.

 

 농익은 노란 물결이 물결치는 내소사 은행나무 숲

 

산문(山門)을 나서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불끈 솟은 관음봉도 높은 산에 비하니 그 높이가 별것 아니고, 높게 보이던 직소폭포도 그 위에 오르니 발아래 하천일 뿐이다. 직소폭포에서 흐르는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니 자재(自在)이고, 월명암에 밝혀진 불은 수명 다해 꺼지니 이 또한 자재이다. 삼라만상의 자연은 모두가 자유자재이거늘 인간만이 사소한 것에 마음의 덫을 걸어 그 마음을 가두니 안타까울 뿐이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중의 하나인 내소사 전나무 숲길

 

삶이란 고해(苦海)이자, 화택(火宅)이다. 가을 산사로 가는 길은 이 화택에서 잠시 벗어나는 일이다. 

 

산문을 나서면서 '방하(放下)!'라고 외치고 뒤를 돌아보니 만추(晩秋)에 젖은 내변산이 밝기만 하다. 

 

 

[여계봉 선임기자]

수필가

공학박사

이메일 : yeogb@naver.com

 

작성 2024.11.12 09:58 수정 2024.11.12 10:4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여계봉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