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규 기자의 눈] 다양성을 공격의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신라 시대의 10구체 향가로, 충담사가 경덕왕에게 지어 바쳤다고 전해지는 안민가에는 아으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할지면 / 나라 안이 태평하나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안민가의 결론 부분으로 당대 혼란스러웠던 신라의 상황을 작품의 1-3()은 아버지요 / ()은 사랑하실 어머니요 / ()은 어린아이로고 하살지면과 연결 지어 해석하면, 작품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안민가에서 중시하는 가치는 각자의 본분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을 강조하는 유교적 가치이다. 물론 사회구성원의 생활양식 및 가치관이 다양해진 현대사회의 개인들을 하나의 분류로 묶고 그 속에서 최선을 다하라 이야기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그러나 최근 보이는 경향성인 다원화'라는 미명 아래 개개인의 선택권까지 제한하는 모습은 다소 우려스럽다. 개인의 자유와 선택을 존중하는 다원화의 개념이 타인을 공격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 사례를 예로 들면 남자는 운동을 하고 여자는 무용을 한다.”라는 일반적 경향성으로 모든 남자와 여자들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이다. 무용을 좋아하는 남자가 있을 수 있고 운동을 좋아하는 여자가 있을 수 있다. 현대사회를 관통하는 기본가치는 다양성과 개개인의 적성과 개성의 발현이기에 무용하는 남자, 운동하는 남자, 무용하는 여자, 운동하는 여자 모두 차별 없이 대우받고 각자의 선택은 권장 받아야 한다.

 

다만 일부 극단적인 모습의 발현으로 한 개인이 기존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선택을 했을 경우 이를 비난하는 행동이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지양해야한다. 특정개인이 기존의 틀을 따랐다는 이유로 그를 비난하는 행위는, 다원성의 개념에 대한 오역이며 “xxxx를 해서는 안 된다.”라는 새로운 고정관념의 부여이다. 모습만 다를 뿐 그들이 다양성과 개성발현을 추구하며 지양하고자 했었던 구조주의적 접근을 답습하는 모습에 불과하다.

 

또한 아무리 다원화된 사회라 할지라도 한 지위가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준거는 흔들려서는 안 된다. 학교를 예로 들면, 학교 안에서 교사는 교사다워야 하고 학생은 학생다워야 한다. 각각의 지위는 사회를 구성하는 역할이다.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 속에서 다양하게 뻗어나가는 개성발현은 지향되어야하나, 지나치게 다양성을 강조하며 기본적인 역할 및 사회적 통념의 부정까지 극단적으로 뻗어나가는 현상은 지양해야 한다.

 

다원화와 다양성이 강조되는 현대사회에서 개개인은 자유롭게 선택할 권리를 가진다. 개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은 존중되어야 하고 자신의 권리가 존중받는 만큼 타인의 권리도 존중받아야 마땅하다. 한 개인이 아무리 남과 다르고 뛰어난 관점을 가졌다고 자부할지라도 자신의 기준으로 타인을 비난할 권리 역시 보장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 및 가치관이 옳다고 존중받고 싶은 만큼 타인의 선택 및 가치관도 존중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양동규 기자 dkei82.nara@gmail.com


편집부 기자
작성 2019.09.30 10:44 수정 2019.09.30 18:0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