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있는 하루] 왜 슬픔에 빠졌을 때 시를 찾을까?

자기 전 하루 20분 시 읽기, 감정을 돌아보며 일기 쓰기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詩)를
약으로 처방했다고 합니다.
칭기즈 칸은 유라시아 전역을 정복하기 위해
먼 거리에 명령을 전할 수단으로
운율을 이용했다고 하지요.

운율이 없는 것보다 운율이 있는 것이
뇌의 중추에 더 깊이 각인된다는 사실을 이용했던 것입니다.
시는 인류의 시초부터 존재했던 예술이었는데
최근 뇌과학자들은 시에 뇌과학적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엑시터대학교에서 이뤄진 연구에 따르면
시를 읽자 휴식 상태와 관련된 뇌 영역이 활성화되었다고 합니다.
시를 읽다 보면 차분한 감정이 서서히 최고조를 향해
가는 느낌이 옵니다.

마음이 불안할 때나 잠이 오지 않을 때,
시를 몇 편 읽으면 몸이 이완되기도 하고
새로운 관점이나 통찰을 얻기도 하는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

또 다른 연구도 있습니다.
'왜 슬픔에 빠졌을 때 시를 찾을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시가 '강렬한 정서적 개입을 유도해 집중을 유지하고,
기억 저장성을 높이는 데 유독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감정과 느낌에 언어를 부여하는 행위는,
살면서 겪는 힘겨운 사건들에 맥락을 입히고
이를 잘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시뿐만이 아닙니다.
예술과 아름다움이 주는 우리의 감정적인 절정 상태는
우리 뇌에 '경이로움'이라는 감정을 활성화하여
세상을 다르게 보는 '변화'를 일으킵니다.

미술관에 다녀와서, 박물관에 다녀와서,
콘서트나 음악회에 다녀와서,
일상과 다른 것을 경험했을 때 우리 뇌에서는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이 일어난다고
뇌과학자들은 입을 모아 말합니다.

그리스에서 시작된 시 처방처럼,
현대 의학에서도 예술을 '처방'하고 있습니다.

거창한 게 아니어도 됩니다.
자기 전 하루 20분 시 읽기, 감정을 돌아보며 일기 쓰기,
좋아하는 음악 들으며 산책하기, 일상에서 벗어나 미술관에 가기 등,
여러분도 감정과 예술이 주는 놀라운 변화를
몸소 경험해 보시면 어떨까요?

작성 2025.05.31 09:42 수정 2025.05.31 09:5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현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하늘
잠자리가 날아가는 하늘
의자가 있는 풍경
아기고양이의 사냥 본능
ai영상 순천만칠게빵 cf홍보영상 국제온라인6차산업협회 #마크강
여름하늘
아기꽃냥이
냇가
강아지풀이 통통해지면 가을이 온다
길고양이
소와 여름
2025년 7월 21일
#이용사자격증 #주말속성반 #직장인반
[자유발언] 딥페이크 이용 범죄의 원인과 해결방안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3 - 장재형목사
어린왕자
빗소리
진돗개가 있는 아침 풍경
빨리 도망가
외국인들이 정말 부러워한 대한민국 시민의식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