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좋다] 전승선 시인의 ‘더 깊은 오대산’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읽는데 이유가 없지요. 바쁜 일상속에서 나를 위한 위로의 시 한 편이 지친 마음을 치유해 줄 것입니다. 오늘은 전승선 시인의 ‘더 깊은 오대산’을 낭송하겠습니다.

 

 

더 깊은 오대산

 

 

 

나의 가없는 적멸아

산문을 열어보니 눈 쌓인 기슭엔 

늙은 소나무 졸음에 겨워 면벽한다. 

숲은 숲으로의 큰 세상을 풀어놓고 

심심한 발걸음에 맑게 씻기어 가는 마음이 

겨울햇살 속으로 산빛 같은 무늬를 새기면 

계곡에서 뒤집힌 하늘이 내려와 뒤를 따라온다. 

서성이던 바람이 그대 등 뒤에서 가벼워진 후

고요가 되어 날아가 앉은 저 참나무

가지 끝엔 빈 맘이 걸려 있다. 

귀를 닫고도 겁을 사는 바위를 바라보며 

대답 없는 웃음을 보내는데 나도 흐르는 물처럼 

산에서 산처럼 살으련다. 

한낮의 짐승들과 벗하는 아무 일 없는 

일상으로도 즐거이 사는 것을 아는데 

세상 밖 고달픔이야 버려도 그만이다. 

어깨에 걸린 짐 지고 와 푸른 하늘을 

올려다보니 어느새 가벼워졌다. 

덩달아 산도 가벼워졌다.

속으로 깊어지는 내 안의 산

 

 

 

이 시를 듣고 마음의 위로를 받았나요. 우리의 삶은 모두 한 편의 시입니다. 전승선 시인의 ‘더 깊은 오대산’을 들으니, 오대산의 고요를 통해 나를 발견하는 시인의 모습이 보이네요. 이 시를 들은 모든 분들 힐링받는 시간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코스미안뉴스 나영주 기자입니다. 감사합니다.

 

작성 2025.07.09 09:57 수정 2025.07.09 10:1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무임승차
김유정역은 그리움
[자유발언] 역사를 왜 알아야 하는가
감정의 산물, 낙서
무지개가 바로 나
기차와 독서
인생은 기다림
숫자가 말해주지 않는 것 (2부)#음악학원운영 #학원운영철학 #100명넘..
100명이 넘는 음악학원을 운영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음악학원운영 #학..
채송화
소나무
기다림
자유
6.21 제3기 마포구 어린이청소년의회 발대식 현장스케치
6월 13일 제10대 관악구 청소년 자치의회 발대식 현장 스케치
[현장스케치] 제16대 청소년 의회 본회의 현장 탐구하기
도시와 소나무
잭과 콩나무
거미
아침안개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