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진정한 자의식

이태상

“세상이여 반갑다. 사람들이여 고맙다.” 

 

신문기자 출신 평론가 김병익 씨의 회고록 ‘글 뒤에 숨은 글 : 스스로를 위한 단상’의 마지막 문구이다. 미국의 정치, 사회심리학자 월터 트루엣 앤더슨은 그의 저서 ‘현실은 전과 같지 않다(1990)’에서 이렇게 주장한다.

 

“오늘날 우리 대다수 인간은 신자라기보다 믿음의 소유자들이다. 쉽사리 또 자주 전향 개종한다. 종교적인 신앙에 있어서도 한 종교뿐 아니고 여러 종교를 통해 이것은 버리고 저것을 취하거나 또 다른 것을 제게 맞게 수정 응용한다. 과거에는 문화적인 양식과 형태를 갖춘다는 것이 신비 속에 싸여 있었으나 이제는 민주화, 개방되어 개개인마다 제각기 자신을 위해 자유롭게 저 자신의 신원(身元)과 현실을 만들어 내고, 현실이란 새 상품의 기업가들은 새 역사, 새 과학, 새 종교, 새 정치 등 새로운 제품을 창조, 개발하는데 마치 어린아이들이 물장난치듯 신바람이 난다.” 

 

중국 고전을 TV로 강의해 장안에 숱한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동양 철학자 도울 김용옥 씨는 2002년 ‘불교의 본래 모습 – 달라이 라마를 만난 후’란 제목으로 행한 강연을 통해 “불교는 무신론이며 과학”이라고 역설했다. 그러자 “불교를 자기식으로 고착화하고 과장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망치는 것”이라며 팔리문화연구소장인 마성 스님이 김 씨의 저서 ‘달라이 라마와 도올의 만남’의 오류와 과장 등을 조목조목 지적한 글을 불교 인터넷 신문 ‘붓다뉴스에 올렸었다. 그 당시 영국에 사는 친구 김원곤 씨로부터 받은 편지 내용 일부를 공개한다. 

 

“도덕경 이야기를 하셨는데 생각나는 게 있어 몇 자 읊어볼까 합니다. 얼마 전에 ‘도올을 울린 여자’와 ‘노자를 웃긴 도올’이란 제목의 월간중앙 기사를 읽을 기회가 있었는데 참으로 통쾌한 글이었습니다. 이야기의 초점은 이름 없는 아주머니가 유명한 대학교수요 철학자인 도올을 상대로 시비를 거는 글이었습니다. 그 아주머니의 이름은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만 요즘 인기 절정의 도올이란 자가 TV에서 노자, 공자 강의하여 시끄러운데 그 내용이 아주 노자나 공자를 웃기는 것이랍니다. 도덕경 강의에는 노자가 없고 논어 강의에는 공자가 없으며 불경 강의에는 부처가 없다는 말로 도올을 정면으로 깔아뭉갰답니다.”

 

이 편지에서 친구는 자신의 소감도 피력했다. 단지 번역의 차이에서 오는 논쟁인 것을 어느 쪽이 맞는지는 2500년 전으로 돌아가 노자한테 물어볼 수밖에 없지 않은가. 그 아주머니의 주장은 철학 강의가 지식인들의 전유물이거나 엘리트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으로 마치 하버드를 나와야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든지 공자를 ‘공짱구’로 표현하고 노자를 ‘책략가’이고 쿵후의 달인이며 깡패와 칼잡이들의 우상이고 하는 결례는 물론 도덕경의 해석도 엉터리라는 것이었다. 공자의 태생을 천하다고 하면서 자기는 부유한 의사 집안에 태어나 온갖 부의 혜택을 다 받고 엘리트 코스만 두루 밟아 선택된 특권층이라 자랑하는 심사는 무엇인가. 

 

이런 지식재벌, 지식귀족이 철학의 대중화를 공으로 내세우면서 성현들을 깔아뭉개는 작태가 왜 용인되어야 하는가를 묻고 있는 것이다. 물론 재미있게 강의를 하는 것은 좋지만 제대로 지식 전달을 해야 한다는 것과 개그쇼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었다. 과학자는 아무리 형편없는 인간성의 소유자라고 할지라도 과학의 원리만 배우고 추구한다지만 철학은 철학자의 인격과 인품을 이해하지 않고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노자, 공자를 폄하해 가면서 그는 자기만이 알 수 있고 자기만이 강의할 수 있댜는 자만심에 사로잡힌 무늬만 지식인일 뿐이라는 것이었다. 아, 그래서 예부터 재인(才人)은 덕(德)이 부족하고, 학무식(學無識)은 구제할 수 있어도 인무식(人無識 )은 구제할 길 없다 하는 것이리라. 

 

우리 생각 좀 해보자. 세상에 예수, 석가모니, 공자, 노자 등 그 누구를 막론하고 다 하나뿐인 존재가 아니던가. 너와 나를 포함해서 세상에 태어난 사람 모두가 그렇지 않겠는가. 그 아무리 다른 사람한테서 배울 점, 본받을 점이 많다 해도 그 모두가 ‘참고사항’일 뿐이지, 그대로 전부 다 너나 나에게 꼭 들어맞을 수 없고 그대로 따르는 것이 결코 바람직하지도 않으리라. 너도나도 우리 모두가 하나같이 예수나 석가모니처럼 ‘히피’나 ‘걸인’이 될 수도 되어서도 절대로 안 될 일이 아닌가. 

 

좀 극단적으로 비유해서 사람의 말소리와 몸짓을 흉내 낸다고 앵무새나 원숭이가 사람이 될 수 없듯이 예수나 석가모니의 말씀을 입버릇처럼 되뇌고 그들의 행적을 뒤밟아 본들 너나 내가 예수나 석가모니가 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그래서 ‘부처를 만나거든 부처를 죽이고 가라’ 하는 것이리라. 부모와 자식, 스승과 제자 사이라도 너는 너의 나는 나의 ‘고행’을 하고, 각자 각자의 ‘십자가’를 지며, 제각기 자신을 발견하고 자기만의 깨달음을 얻어 자아실현 자아완성을 도모해야 하지 않겠는가. 자아발견을 통해 이웃을 발견할 수 있고, 동시에 네가 나고 내가 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리라. 갓난아기가 눈을 뜨고 조금씩 걸음마 하며 배워가듯 나 없이 네가 있을 수 없고 너 없이 내가 있을 수 없음을 알게 되리라. 이것이 참으로 너는 너의 나는 나의 삶을 사는 참된 도리가 아니겠는가. 

 

일찍 알았으면 좋았을 삶의 8개 진실’

 

1. 네가 사랑하는 사람 누구나 다 죽는다.

2. 우린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 삶이 의미 없다고 느낀다면 그 건 네 잘못이다. 

3. 완전한 배우자란 존재하지 않는다. 너와 같은 가치관을 지닌 사람을 찾도록 하라. 

4. 인생은 하나의 게임이다. 네가 하고 싶은 놀이를 선택해 규칙을 익혀서 성공하라. 

5. 모든 건 끝난다. 젊음도, 사랑도, 인생도, 다 끝나기에 모든 게 다 가치와 보람이 있다. 

6. 작은 일에서 낭만을 찾아라. 

7. 인생이 영화가 아니기에 예술가의 야심을 품되 엔지니어의 철저한 계획을 짜야 한다. 

8. 어떤 일을 할 때 하나의 방도를 내지 못하겠거든 불평하지도 마라. 

 

이상의 8개 인용문을 하나로 줄여보자면 ‘작은 일에서 낭만을 찾으라’가 되지 않을까. 어린이들 소꿉놀이하듯 살라는 뜻이어라. 

 

미국과 영국에서 출간된 우생(愚生)의 졸저 ‘코스미안 랩소디(Cosmian Rhapsody)’에 실린 단문 셋을 영문 그대로 아래와 같이 옮겨 본다. 

 

1. Nostalgia for Analog

 

Vitamin water® was offering $100,000 if you could stay off smartphones for a year. 

 

To enter the contest, you needed to submit a post on Twitter or Instagram (so, yes, perhaps using a smartphone), and outlining what you’d do if you couldn’t swipe or scroll for a year. The deadline to enter was January 8, 2019. 

 

The company would select a contestant around January 22, 2019, according to the contest rules, and give them a 1996-era cell phone. For the next year, if you got chosen, you could not use any smartphones or tablets at all, even those belonging to other people, but you could use laptops and desktop computers. Devices like Google Home and Amazon Echo were OK too.

 

If you could go a full year carrying around something like what Cher used in the iconic teen comedy “Clueless,” you would win $100,000. If you lasted six months, you would get $10,000. 

 

Oh, and Vitaminwater® would be verifying your honesty. Before receiving the money, the contestant would need to submit to a lie-detector test.  

 

Vitaminwater® liked challenging monotony, Natalia Suarez, the company’s associate brand manager, told CNBC Make It. 

 

“We don’t think there’s anything more boring than mindless- ly scrolling through your phone, and this is an opportunity to take that stance against routine and give someone $100,000 to do something uniquely awesome with their time,” she said. 

 

Reading this news as reported on December 13, 2018, by Megan Leonhardt @Megan_Leonhardt CNBC.com, I was overcome with acute nostalgia for my analog days in my youth. 

 

What I read in my teens in an article has been incubating in my mind, or rather in my heart ever since.

 

The writer of the article posited that silent, black and white movi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echnicolor with sound- tracks; novels were better than films; poems were better than novels, for each of the viewers or readers could exercise freely one’s infinite imagination about the colors, figures, voices of the characters, and sights and sounds of all the scenes. 

 

This argument seemed to be in the same vein as claims that clothed women were much more attractive, mysteriously more beautiful than naked ones; the unspoken words left unsaid were more convincing and lasting than those spelled out; the hand-written correspondence was more touching than a telephone conversation. 

 

American essayist/philosopher Ralph Waldo Emerson(1803-1882) must have meant the same when he said:

 

“Use what language you will, you can never say anything but what you are.”

 

Then, perchance, the old-fashioned arranged marriages and romancing by long, long love-letters are much more intimate and enduring than the current lightning-quick ‘speed dating’ scene. 

 

The soundless music, wordless communion, unseen vision and the like may overcome all our senses, time and space, even life and death, to boot, perhaps.  

 

Who’s to say that the ideal is not meant to be realized?

 

2. Cyborg is Cosmian

 

‘Cyborg’ is an abbreviation for ‘cybernetic organism,’ meaning the combination of an organism and the inorganic/ inanimate matter like machines.  

 

As Tesla CEO Ellon Musk(b. 1971) declared on June 2, 2016, we’re all “already cyborgs,” nowadays, we’re living in the so-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ren’t we?

 

From time immemorial, our ancestors (in the East) practiced ‘축지법(chukjipob)’ in Korean and 縮地法 in Chinese characters: a method of making a long distance close in by the magic of contracting space. 

 

Since machines like bicycles, automobiles, and airplanes were invented, not only the distance over the land but also over the water of rivers and oceans were contracted by ships and balloons. These days, even the space of the universe/multiverse is being abridged. Isn’t it?

 

I can’t help recalling an episode in my youth. In 1959 when I graduated from college, I met my first love, whom I started calling my Cosmos, a symbol of my favorite flower cosmos representing the whole Cosmos. 

 

One day, we went to see a film, The Brothers Karamazov. Waiting in the second-floor lobby for the next showing, she asked me if I wanted to go to the bathroom. I didn’t feel like going, but I went anyway. The entrances to the men’s and women’s bathrooms were side by side. I stood for a moment in front of the urinal and a thought crossed my mind that I and my Cosmos were not far apart with only a wall between us. I realized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us was shortened by just a few feet, I could be in her. At the very moment, I experienced the contraction of the space. 

 

Thereafter, I never felt lonesome again. Anytime, any- where, I could feel close to anybody. If the whole universe were compressed into a single dot, one could be united with all. No doubt, this must have been a foresight of what’s to come.

 

Come to think of it further, would the ‘organism’ be really so different from the inorganic/inanimate matter?

 

In most recent years, organ transplants became no more unusual, and medical surgeries, housekeeping chores, etc., are being done more efficiently by robots. Even sex partners are being replaced by ‘real dolls (life-size sex dolls),’ believe it or not. A while ago, it was reported that DNA-edited twins were born in China. 

 

Besides, we are familiar with the phenomena, such as ESP (extra sensory perception), NDE (near-death experience) and the like,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science. 

 

That’s why, I gather, Sir Isaac Newton (1643-1767) sighed:

 

“I do not know what I may appear to the world; but to myself, I seem to have been only like a boy playing on the seashore, and diverting myself in now and then finding a smoother pebble or a prettier shell than ordinary, whilst the great ocean of truth lay all undiscovered before me.”

 

Likewise, perhaps, one can have no choice but to soliloquize:

 

All things in the Cosmos, no matter whether they appear to be breathing organisms or inorganic/inanimate mater that seems to have stopped breathing, are none other than “I” myself, the microcosm of the Cosmos, namely, Cosmian.  

 

3. To See a Flicker of Eternity in Moments

 

“In losing my future, the mundane began to sparkle.”

 

This is what Kate Bowler says, an associate professor at Duke Divinity School, the author of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And Other Lies I’ve Loved,’ published in 2018. She found out at age 35 that she had stage IV cancer, having had finally had a baby son with her childhood sweet- heart.

 

“Christian theology has rich categories for the future,” she writes, “about the kingdom of God…But the sicker I became, the more ‘hope’ was a word that pointed to the unbearable: a husband and a baby left behind, an end without an ending …As far as I was concerned, it poisoned the sacred work of living in the present.”

 

Would this be the story of Kate alone? When we think about it, aren’t we all, each and every one of us, terminal, born to die, sooner or later?

 

And yet, for tens of centuries, people have been brain- washed and indoctrinated that no matter what you do against humanity in this life, you can be redeemed only by the blood of somebody and enter the kingdom of Go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dulgencies’ and the ‘admission tickets’ to Heaven are still being sold all over the world in all it’s various guises. 

 

How and why people fail to get enlightened and realize that there is neither the past nor the future but the present; that how you live in the moment at present determines the past and the future; that when you like and love someone or something, you make the heaven on earth, whereas you bring about the hell on earth when you dislike and hate somebody or something; and that whether it’s a person’s look, landscape, seascape or skyscape, it changes constant- ly from moment to moment, one look or a view only at a time, once and for all, never to be repeated. 

 

To borrow a sentence from Prof. Bowler’s Opinion column article “Hope Isn’t Only About the Future,”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Sunday Review, December 30, 2018: 

 

“This is transcendence, the past and the future experienced together in moments where I can see a flicker of eternity.”

 

So it’s perforce just “to see a flicker of eternity in moments” for us all Cosmians while we are visiting, briefly, this planet Earth on our cosmic journey, trickling into the Sea of Cosmos.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이메일 :1230ts@gmail.com

 

작성 2025.08.02 10:25 수정 2025.08.02 10:4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5년 7월 31일
구름 이름은?
무궁화
2025년 7월 28일
2025년 7월 17일 꿈꾸는씨앗결손아동후원하기
라이브커머스 전성시대 케이미디어스튜디오와 함께하세요 #ai영상
여름하늘
아기고양이가 세상을 배워가는 방법
장마가 만든 탁류
2025년 7월 26일
새의 영토
대구변호사 | 성매매 장부 적발! 처벌 피할 수 있을까? #shorts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