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드는 초고령 사회의 돌봄 혁신…독거노인 돌봄에 NHN 와플랫 합류

디지털 기술 접목한 노인 돌봄 서비스, AI 기반 생활지원사 실증사업 시동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플랫, 맞춤형 케어 모델 공동 추진

AI 대화·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돌봄 공백 최소화 기대

와플랫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의 협약식 기념촬영-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제공

 

독거노인 돌봄의 패러다임이 인공지능(AI)을 만나 새롭게 변하고 있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센터장 김현미)는 16일 NHN 계열의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와플랫(대표 황선영)과 **디지털 기반 노인 돌봄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와플랫이 자체 개발한 **AI 생활지원 플랫폼 ‘와플랫 AI생활지원사’**를 활용해 노인 돌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양 기관은 협력의 첫 단계로 전국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 10곳을 선정하고, 약 400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3개월간 실증사업을 전개한다.

와플랫의 AI생활지원사는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음성 대화를 통해 어르신들의 건강·정서·생활 패턴을 파악하는 서비스다. 사용자의 수면, 영양, 인지 기능, 생활환경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운영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 등 현장의 전담 인력은 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위기 상황을 조기에 인지하고, 필요 시 의료기관이나 맞춤형 복지 서비스와 즉시 연계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전화·방문 위주의 기존 안부 확인 방식에 AI 모니터링을 더해 돌봄 인력의 부담을 경감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응 속도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센터 측은 “정서적 안정 지원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친 맞춤형 관리가 가능해진다”며 “돌봄 사각지대 해소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미 센터장은 “이번 협약이 노인 돌봄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촘촘한 안전망 구축을 위해 와플랫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와플랫 황선영 대표 또한 “시니어 돌봄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 모델을 확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는 전국 돌봄 수행기관을 총괄하는 중앙기관으로, 노인 맞춤형 서비스 지원, 종사자 교육·관리, 민간 자원 연계 및 돌봄 정책 모델 개발 등을 수행하며 취약 노인의 안정적인 노후를 지원하고 있다.

 

요약 및 기대효과

이번 협약은 AI 기술을 활용한 노인 돌봄 혁신 모델을 제시한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맞춤형 서비스 연계로 돌봄 공백을 줄이고, 돌봄 인력 부족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노인 복지 정책의 융합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결론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한국 사회에서 독거노인 돌봄은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이번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와플랫의 협력은 돌봄 현장에 AI를 접목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시도로 평가된다.
앞으로 이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경우, 보다 촘촘하고 지속 가능한 돌봄 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 2025.09.16 20:56 수정 2025.09.16 20:57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올리브뉴스(Allrevenews) / 등록기자: 문정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