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가 올해 하반기 사우동 풍년마을과 운양동 가구단지를 새롭게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했다. 이로써 김포시는 모두 11곳의 골목형상점가를 운영하게 됐다. 풍년마을의 경우 150여 개 점포가 밀집된 대규모 상점가로, 온누리상품권 사용 확대와 소비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시의 이번 결정은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골목형상점가 지정 확대가 곧바로 상권 활성화로 이어진다고 보긴 어렵다. 지금까지 전국 여러 지역의 사례를 보면, 지정 이후 초기 반짝 효과를 보이다가 이내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가장 큰 문제는 운영의 지속성이다. 온누리상품권 결제 가능이나 정부 공모사업 참여 같은 행정적 혜택은 단기적인 수단일 뿐, 상권의 체질을 바꾸는 힘은 아니다. 상인 조직의 역량이 부족하거나 공동마케팅 체계가 부실하면, 지정 효과는 곧 사라진다. 김포 역시 이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또한 지정 지역이 늘어날수록 예산과 행정력이 분산되는 한계도 생긴다. 겉으로는 ‘골목형상점가 확대’라는 성과가 보이지만, 실제로는 개별 상권마다 맞춤형 지원이 약해질 수 있다. 지역 상권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서는 숫자보다 내실을 다지는 접근이 필요하다.
풍년마을처럼 생활밀착형 점포가 많은 곳은 주민 참여형 상권으로, 운양동 가구단지처럼 전문 업종이 밀집한 곳은 산업 연계형 상권으로 발전 방향을 차별화해야 한다. 단순한 지정 확대보다, 각 상권의 개성과 경쟁력을 살리는 맞춤 전략이 절실하다.
골목형상점가 지정은 출발점일 뿐이다. 지정 이후 상인들의 자발적 참여와 행정의 지속적인 지원이 맞물릴 때 비로소 실질적인 성과가 나온다. 김포시가 ‘양적 확대’에 머물지 않고 ‘질적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사후관리와 상권별 지원에 나서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