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불맛, 입안의 온기 중식이 전하는 계절의 감성

불맛은 계절을 기억한다 가을이 되면 중식이 생각나는 이유

셰프와 미식가가 말하는 ‘가을 중식의 미학’

일상 속 작은 사치, 가을 저녁을 위한 한 그릇

 

 

 

 

 

불맛은 계절을 기억한다 가을이 되면 중식이 생각나는 이유

 

가을이 되면 사람의 미각은 변한다. 뜨겁고 강렬한 여름이 지나고, 서늘한 바람이 옷깃을 스칠 때면 혀는 자연스레 따뜻한 기름 냄새와 불향을 그리워한다. 그런 계절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이 바로 중식이다. 웍의 불길이 만들어내는 ‘불맛’은 단순한 조리 기법을 넘어선 감각이다. 입안 가득 퍼지는 고추기름의 향, 간장의 깊은 짠맛, 달큰한 양파의 캐러멜화는 마치 낙엽이 타는 냄새처럼 가을을 닮았다. 중식은 불의 언어로 계절을 말하고, 사람은 그 향을 통해 가을을 느낀다.

 

중식의 따뜻함, 가을의 정취를 담다

중식은 본래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이다. 그 이유는 온도만이 아니다. 뜨거운 기름에 순식간에 볶아내는 중식의 조리법은 재료의 생명력을 살리고, 양념은 온몸을 덮는 듯한 깊은 맛을 남긴다. 가을에는 특히 ‘사천식 마라샹궈’, ‘홍소육’, ‘동파육’ 같은 따뜻한 기운의 음식이 잘 어울린다. 얼얼하지만 부드러운 마라의 향, 달고 짭짤한 홍소 소스의 농도는 마치 이 계절의 햇살처럼 부드럽고도 선명하다. 여름의 시원한 냉면이 ‘입맛을 깨우는 음식’이라면, 가을의 중식은 ‘마음을 데워주는 음식’이다.

 

셰프와 미식가가 말하는 ‘가을 중식의 미학’

 

중식 셰프들은 가을을 ‘소스의 계절’이라 부른다. 재료가 풍성하고, 제철 식재료의 맛이 진해지기 때문이다. 표고버섯, 밤, 새우, 단호박, 굴 등 가을의 재료는 중식의 불맛과 잘 어울린다. 미식가들은 “가을의 중식은 단순히 배를 채우는 식사가 아니라 감정의 경험”이라고 말한다. 볶음밥 한 숟가락에도 불향이 배어 있고, 탕수육의 바삭한 옷 속에는 달콤한 사과 향이 숨어 있다. 그 한 끼는 어쩌면 사람의 하루를 바꾸는 작은 온기가 된다.

 

일상 속 작은 사치, 가을 저녁을 위한 한 그릇

 

가을 저녁, 퇴근 후 따뜻한 중식 한 그릇은 더할 나위 없는 위로다. 마라탕 한 그릇의 얼얼함은 하루의 피로를 날려주고, 짜장면의 묵직한 단맛은 마음의 공허를 채워준다. 요즘은 ‘가을 한정 중식 코스’나 ‘시즌 메뉴’를 선보이는 레스토랑도 많다. 호두소스를 곁들인 새우 요리, 제철 채소를 활용한 버섯볶음, 귤껍질 향의 유린기 등은 계절의 변화를 입안에서 느끼게 한다. 중식의 본질은 화려함이 아니라 ‘온기’에 있다. 그 온기는 음식의 열기이자, 사람의 마음을 덥히는 불빛이다.

 

가을의 불빛이 식탁 위에 머무를 때

 

가을의 중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다. 그것은 계절의 기억이고, 사람의 온도다. 불맛이 피어오르는 순간, 우리는 어쩌면 그 안에서 지난 계절의 시간과 감정을 떠올린다. 나무가 잎을 떨어뜨리듯, 중식의 향도 잠시 머물다 사라지지만 그 여운은 길다. 그래서 가을에 먹는 한 그릇의 중식은 미식이 아니라 ‘감정의 언어’다.

 

 

 

 

작성 2025.10.25 22:21 수정 2025.10.25 22:2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미식1947 / 등록기자: 이윤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