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0월 28일 화요일부터 29일 수요일까지 서울 호텔 나루 엠갤러리에서 ‘2025 인공지능 안전 서울 포럼(Seoul Forum on AI Safety & Security, SFASS)’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보다 안전한 인공지능 세상을 향한 글로벌 협력(Global Cooperation for a Safer AI Future)’을 주제로 열리며, 전 세계 AI 안전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해 인공지능의 위험 관리, 평가 체계, 국제 규범 형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지능안전연구소가 주관한다. 한국이 AI 기술 도입을 넘어 안전성과 책임성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에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국제사회에 천명하는 자리다.
첫째 날인 28일에는 일본, 싱가포르, 유럽연합 등 주요 국가 AI안전연구소 관계자들이 참여해 자국의 인공지능 안전정책과 거버넌스 전략을 공유한다. 프론티어 AI 개발기관은 모델 안전성 검증 체계와 위험관리 방안을 발표하며, 국가 간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둘째 날인 29일에는 인공지능의 실제 위험 시나리오를 점검하는 레드티밍 워크숍이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프론티어 모델을 대상으로 실습을 수행하며 위험 대응 프로토콜을 탐색한다. 이와 함께 한국 인공지능안전연구소와 미국의 스케일 AI 간 업무협약이 체결돼 한미 양국의 AI 안전 기술 협력이 공식화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글로벌 논의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이 AI 기술 강국을 넘어, AI 안전과 규범 창출을 선도하는 국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의 개최를 통해 한국은 AI 경쟁의 중심에서 ‘기술 개발국’을 넘어 ‘기준 제시국’으로의 위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AI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안전성과 책임성을 제도화하려는 국제적 요구가 높아지는 만큼 이번 포럼의 결과가 향후 글로벌 AI 규범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자료 원문: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021428]을 챗지피티로 가공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