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서남권 준공업지역을 첨단 산업 중심의 복합혁신거점으로 재편하기 위한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 노후 공업지대의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고 균형발전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이번 계획의 핵심이다.
서울시는 도시 내 노후 공업지역의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남권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 거점 조성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본계획은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서울 전역의 공업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역별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전략을 담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공업지역을 산업·주거·문화 기능이 조화된 복합혁신거점으로 전환하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동시에 ‘산업혁신구역 제도’를 도입해 침체된 준공업지역 내 미활용 부지 및 공장 이전 부지를 대상으로 신산업 중심의 복합공간 조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공업지역을 기능적으로 재편하고, 미래산업을 유치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공업지역정비 제도다.
시범사업 공모는 2025년 11월 6일부터 2026년 1월 5일까지 약 60일간 진행되며, 공모 결과를 토대로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2곳 내외의 시범 대상지가 지정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확보된 시범지에서 산업혁신구역 모델을 구체화해 향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한, 시민과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0월 30일(목) 공청회를 개최한다. 공청회에서는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의 주요 내용과 함께 산업혁신구역 시범사업의 추진 방향, 평가 기준, 신청 요건 등에 대한 안내가 이뤄질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관계기관 협의 및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본계획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서남권 핵심 산업지대인 G밸리 일대는 산업기능 강화를 위한 첨단산업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지역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통해 산업과 생활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서남권 대개조 프로젝트는 공업지역의 기능적 재편과 산업기반 혁신을 통한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서울의 공업지역이 산업·주거·문화가 공존하는 복합혁신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