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자살예방센터, 제27회 자살유족 회복캠프 성료…치유와 공감의 시간 제공

1박 2일간 40명 유족 참여, '지금, 여기, 나 자신'에 집중

동료지원가 활동 기반, 애도 극복 및 일상 회복 지원

'자작나무' 서비스 일환…연간 상·하반기 2회 운영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 최성영)는 지난 10월 25일(토)부터 26일(일)까지 1박 2일간 경기도 용인시에서 자살유족 회복캠프를 진행하며 자살유족의 심리적 회복을 지원했다. 이번 캠프는 '가을동행; 걷다·쉬다·머무르다 – 깊어가는 가을, 함께 걸으며 숨 쉬고 쉬어가는 우리'를 주제로 열렸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자작나무(자살유족 작은희망 나눔으로 무르익다)' 서비스의 일환으로 매년 1박 2일간 자살유족 회복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사랑하는 사람을 자살로 사별한 유족들의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고, 동료 유족 간 공감과 위로를 나눌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올해로 27번째를 맞은 이번 유족캠프에는 총 40명의 유족이 참여했다.

 

 참여 유족들은 같은 경험을 공유한 동료 유족들을 만나고, 오랜 애도 과정을 거쳐온 동료지원가들이 진행하는 다양한 치유 활동에 참여하며 서로 소통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캠프는 자연 속 걷기 활동과 일상 나눔을 통해 고인에게만 머물던 시선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 나 자신'에게 집중하고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통해 유족들은 고인을 가슴에 간직한 채 자신을 돌보고 일상을 살아가는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앞으로의 삶을 용기와 희망으로 이어갈 계기를 얻었다고 밝혔다.

 

 동료지원가는 캠프 참여 유족들과의 관계 형성 및 소통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서로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고인별 자조모임(부모, 자녀, 배우자, 형제자매)에서는 같은 경험을 가진 유족들이 삶을 공유하며 애도 반응에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러닝, 타로, 스트레칭, 미술 활동 등으로 구성된 애도 소모임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와 자기 돌봄의 기회를 제공했다.

 

 캠프에 참여한 유족 C씨는 “회복캠프를 통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은 잊지 못할 시간이었다. '지금 이 순간(here & now)'에 머무르며 현재를 깊이 있게 느낄 수 있었고, 마음을 정리하고 많은 위로와 치유를 받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3년 전 아버지를 사별한 유족 A씨는 "어머니와 함께 참여해 고인에 대한 추억을 나누고, 자살유족으로 느끼는 죄책감을 내려놓고 감정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자신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동료 유족의 애도와 회복을 돕는 동료지원가 B씨는 “처음 참여하는 유족들과 소통하며 마음을 내려놓고 이야기할 수 있어서 서로에게 따뜻한 위로가 되는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유족 회복캠프는 연간 상·하반기 1회씩 총 2회 운영되며,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유족지원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24시간 위기상담 전화 운영, 서울형 생명지킴이 교육, 생명사랑 자살예방 캠페인, 생애주기별 자살예방사업, 자살 유족 긴급서비스 사업 등 서울시민의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 (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작성 2025.10.28 09:20 수정 2025.10.28 15:33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건의료신문 / 등록기자: 고광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