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브이리스 브이알

사진=브이리스 브이알
국립특수교육원과 브이리스브이알이 공동 운영한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가 전북 남원 이백초등학교를 방문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전교생이 참여한 이번 프로그램은 AI·XR 기반 디지털 학습 체험으로 포용적 교육의 현장을 구현했다.
국립특수교육원(원장 김선미)은 브이리스브이알과 협력해 10월 27일 전북 남원 이백초등학교에서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은 학생 모두가 첨단 디지털 기술을 직접 경험하며 배움의 기회를 나누는 포용적 교육 실천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는 이동형 AI·에듀테크 학습공간으로, 버스와 트럭을 개조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등 실감형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기에 AI 포토, AI 로봇, 댄스로봇, 홀로그램, VR 모션 어트랙션, 국립특수교육원이 자체 개발한 무인정보단말기 학습 콘텐츠 등 최신 기술이 집약돼 있다.
해마다 지리적 접근이 어려운 농산어촌 및 도서 지역 학교를 찾아가 학생 맞춤형 디지털 체험교육을 제공하는 이 프로그램은 올해 ‘디지털 레벨업: 골드배지를 찾아라’를 주제로 운영되며,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해 협력과 이해를 배우는 ‘포용적 디지털 시민교육’ 모델로 확대됐다.
특히 전교생 20명 안팎의 소규모 학교도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 범위를 넓히면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와 균등한 학습기회 보장에 초점을 맞췄다.
브이리스브이알 권종수 대표는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는 단순한 체험형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생이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도록 설계된 교육 시스템”이라며 “국립특수교육원과 함께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이 어우러진 포용적 디지털 교육 모델을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선미 국립특수교육원장은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디지털 학습권을 실현하고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모든 학생이 AI·디지털 시대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적 디지털 교육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체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VR 기기를 착용해 가상 우주를 탐험하고, AI 로봇과 함께 춤을 추며, 디지털 세계 속에서 상상의 한계를 넓혔다. 체험 후 한 학생은 “학교가 미래로 변신한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국립특수교육원은 이번 이백초등학교 운영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 학교를 순회하며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 프로그램을 지속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교육 접근성이 낮은 지역 학생들도 동등한 디지털 학습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