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어떤 날은 상쾌한 기분으로 시작하지만, 어떤 날은 이유 없이 찌뿌둥할 때가 있다. 출근길에 듣는 음악 한 곡이 기분을 들뜨게 만들기도 하고, 카페에서 우연히 들려온 말 한마디가 종일 마음을 무겁게 하기도 한다. 왜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감정이 변할까? 단순한 기분 탓일까, 아니면 그 속에 숨은 심리적 이유가 있을까?
감정은 어디에서 시작될까?
감정은 우리 마음속에서 저절로 생기는 것 같지만, 사실은 우리의 뇌와 신체, 그리고 주변 환경이 만들어 내는 종합적인 반응이다. 심리학적으로 감정은 우리가 외부 환경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상황에서도 어떤 사람은 기분이 좋아지고, 어떤 사람은 짜증이 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걷다가 갑자기 비가 내린다고 해 보자. 누군가는 “이런, 우산도 없는데 운도 지지리 없네!”라고 생각하며 짜증을 낼 수도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사람은 “비 오는 날이 분위기 있네. 커피 한 잔 마시면 더 좋겠다.”라고 생각하며 기분 좋게 걸을 수도 있다. 같은 상황에서도 감정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 세대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인간이 자기 태도를 바꿈으로써 삶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기분이 변하는 이유는 외부 환경 때문만이 아니라, 그 환경을 해석하는 우리의 태도 때문이라는 것이다.
감정을 조절하는 보이지 않는 손, 호르몬과 뇌
하지만, 감정이 단순히 생각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뇌와 호르몬도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분이 좋을 때는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Dopamine), 세로토닌(Serotonin), 옥시토신(Oxytocin) 등이 활성화된다. 반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코르티솔(Cortisol)이라는 호르몬이 증가하면서 불안과 짜증이 많아진다.
아침에 커피 한 잔을 마셨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도, 친구와 즐거운 대화를 나눌 때 행복감이 드는 것도, 사실은 이 호르몬들이 작용하는 결과다. 반대로, 수면이 부족하거나 건강이 좋지 않으면 세로토닌이 감소하면서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날 수 있다. 그러니 기분이 쉽게 변한다고 해서 "내가 이상한가?"라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생리적 반응이니까.
주변 환경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
살면서 감정이 쉽게 변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사람들의 영향 때문이다.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환경에 의해 감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환경을 어떻게 경험하느냐에 따라 감정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친절한 직장 동료가 하루를 기분 좋게 만들어 줄 수도 있고, 반대로 길에서 들은 한마디의 부정적인 말이 종일 머릿속을 맴돌 수도 있다.
감정은 ‘사회적 전염(Social Contagion)’이라는 현상을 통해 퍼지기도 한다. 친구가 우울하면 나도 모르게 기분이 가라앉고, 주변 사람이 웃고 있으면 나도 따라 웃게 되는 것이 바로 그 예다.
그래서 긍정적인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나도 덩달아 밝아지고, 부정적인 분위기 속에서는 쉽게 기분이 가라앉는다.
이런 이유로 좋은 감정을 유지하려면, 가능한 한 긍정적인 환경과 사람들을 가까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 우울한 기분이 들 때, 밝은 색상의 옷을 입거나, 활기찬 음악을 듣거나, 기분 좋은 장소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감정이 전환될 수 있다.
기분이 변하는 것은 당연하다, 중요한 것은 다루는 법이다
결국, 감정은 우리 삶의 일부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기분이 변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며, 이는 우리 뇌와 몸, 그리고 주변 환경이 함께 만들어 내는 결과다. 중요한 것은 감정의 변화 자체를 걱정하기보다, 그것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있다.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말했다. "살아야 할 이유를 가진 사람은 어떤 고난도 견딜 수 있다."
즉, 감정이 변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그 감정을 어떻게 바라보고 다루느냐가 우리의 삶을 결정짓는다.
우리는 기분이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 때로는 이유 없이 우울할 수도 있고, 갑자기 행복감이 밀려올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삶을 좌지우지할 필요는 없다.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필요할 때는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기른다면, 우리는 감정에 휘둘리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러니 오늘, 기분이 조금 가라앉아 있다면, 그것을 억지로 없애려고 하지 말고 그냥 인정해 보자. 그리고, 기분 좋은 음악 한 곡을 틀거나, 따뜻한 차 한 잔을 마시면서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해 보자.
"오늘 기분이 조금 별로야. 하지만 괜찮아. 이 기분도 곧 지나갈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