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체를 넘어 영혼으로 달리다

‘달리기’라는 행위가 어떻게 인간 존재의 철학으로 확장되는가

숨이 차오르는 순간, 인간은 비로소 자기 자신을 마주한다

 

육체를 넘어 영혼으로 달리다 《달리기와 존재하기》가 던지는 삶의 질문

 

 

조지 쉬언은 단순히 달리기를 사랑한 의사가 아니었다그는 달리기를 통해 존재를 증명한 철학자였다《달리기와 존재하기》는 그가 평생 달리며 깨달은 사유의 결과물이다이 책은 운동법이나 기록 단축의 노하우를 다루지 않는다대신 왜 달리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쉬언에게 달리기는 육체를 단련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자신을 이해하고 삶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한 철학적 수행이다그는 말한다. “나는 문제를 안고 달린다그리고 그 속에서 답을 찾는다.”

그의 말처럼 달리기는 삶의 축소판이다숨이 차고다리가 무겁고그럼에도 멈추지 않는 과정 속에서 인간은 자신이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 존재인지또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지를 깨닫는다.

 

쉬언은 달리기를 생각의 행위로 정의한다그는 달리는 동안 머리가 아니라 몸이 생각한다고 주장한다일정한 리듬으로 이어지는 호흡과 심박근육의 수축과 이완 속에서 인간은 의식의 순수한 흐름을 경험한다그 순간달리기는 육체의 활동을 넘어선 정신적 명상으로 변한다.

이 책에서 쉬언은 자신이 의사로서또 철학자로서 배운 지식을 버리고 오직 달리는 몸의 감각에 집중한다그는 몸의 언어를 이해하는 법을 제시한다고통과 피로를 회피하지 않고 그 속으로 들어가며그 과정에서 스스로의 한계를 인식한다쉬언에게 달리기란 고통을 통과해 자신과 만나는 몸의 사유.

 

조지 쉬언은 달리기를 존재의 연습이라 표현한다달리며 그는 자신이 더 이상 사회적 지위나 역할이 아닌오직 존재하는 하나의 인간임을 자각한다달릴 때 그는 의사도가장도작가도 아닌 순수한 나 자신으로 돌아간다.

이 경험은 현대인의 삶에 던지는 메시지가 크다우리는 늘 해야 하는 일에 매여 살지만달리기 속에서만큼은 아무것도 증명할 필요가 없다그저 뛰고숨 쉬고존재하면 된다쉬언은 이것이 살아 있음의 본질이라고 말한다달리기를 통해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에서 존재하는 존재로 전환된다.

 

쉬언은 달리기를 통해 영적 자유를 체험했다고 고백한다그는 나는 달리며 신을 만난다고 말했다여기서 신은 종교적 존재가 아니라인간의 내면에 잠든 완전한 자기 자신이다숨이 가빠오고다리가 무너지는 극한의 순간인간은 오히려 정신적으로 해방된다.

이 지점에서 쉬언의 철학은 불교의 수행’, 기독교의 은총’, 혹은 니체의 극복의 의지와도 닮아 있다달리기는 신체적 고통을 통해 영혼이 성장하는 통로가 된다달리는 행위 자체가 기도이며반복되는 발걸음은 일종의 명상이다.

 

《달리기와 존재하기》는 달리기라는 단순한 행위를 통해 인간 존재의 심층을 탐구한 철학적 명저다쉬언은 우리에게 달리기가 아니라 살아가기를 가르친다그는 말한다. “나는 달리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살기 위해 달린다.”

이 문장은 현대인의 삶에도 유효하다경쟁과 성취의 피로 속에서 우리는 달리기를 통해 존재의 리듬을 되찾는다달리기란 결국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여정이며삶이라는 장거리 레이스에서 잠시 멈추지 않고 계속 나아가게 만드는 가장 인간적인 행위다.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0.29 09:10 수정 2025.11.03 11:35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