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SK, ‘화룡점정 싱그릭스 심포지엄’ 성료… 의료진 173명 대상

전국 5개 도시서 대상포진 질병 부담 및 싱그릭스 임상적 가치 공유

고령화 시대, 대상포진 발병률 증가 우려… 예방 접종의 중요성 강조

50대 이상서 90% 이상 예방 효과… 당뇨, 고혈압 환자에도 높은 유효성

 

 한국GSK(대표이사 구나 리디거)가 자사의 대상포진 예방 백신 '싱그릭스'의 역할을 공유하는 '화룡점정 싱그릭스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9월 1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약 한 달간 서울, 대구, 광주, 대전, 부산 전국 5개 도시에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총 173명의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이 참석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심각한 통증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대상포진의 질병 부담과 재발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 접종의 중요성 및 싱그릭스의 임상적 가치를 의료진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선 우리나라에서는 대상포진 발병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발병률 증가가 예상되어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50세 이상은 전체 연령층 대비 대상포진 발생률이 약 1.9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서울 지역 심포지엄에서는 문지연 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인한 통증 양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문 교수는 "대상포진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산통보다 높은 통증 강도를 보이며, 특히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삶의 질에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대상포진 발생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로 이환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과거 대상포진에 걸렸던 환자도 재발을 경험할 수 있으며, 재발 환자의 25%가 2회 이상 재발을 경험하는 등 대상포진의 재발이 흔하다는 점이 의료진의 관심을 모았다.

 

 추은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대상포진 예방 최신 지견에 대한 발표를 통해 국내 대상포진 백신 권고 가이드라인과 싱그릭스의 예방 효과를 소개했다. 추 교수는 대한감염학회 가이드라인이 예방 효과 및 지속 기간을 고려하여 50세 이상 성인에게 유전자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접종을 우선 권고하고 있으며, 과거 생백신 접종력이나 대상포진 이력이 있는 경우에도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RZV)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도 50세 이상 성인에게 백신 미접종자뿐만 아니라 대상포진 생백신 접종 이력이 있거나 대상포진 발병 후 1년이 지난 환자에게도 싱그릭스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전자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는 임상시험을 통해 50세 이상의 모든 연령대에서 90% 이상의 유효성을 입증했으며, 11년간의 장기 추적 연구 결과 접종 후부터 연구 종료 시점까지 약 88%의 백신 유효성을 확인했다. 특히 고령층에서 발병률이 높은 당뇨병(91.2%), 고혈압(91.9%), 관상동맥(심장) 환자(97.0%)에서도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으며,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사후 분석에서도 50세 이상에서 95.6%의 예방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권현지 한국GSK 백신사업부 전무는 "50대 이상에서 대상포진 발병률이 높고 국내 고령층 인구도 증가하고 있어, 이번 심포지엄이 전국 의료진과 함께 대상포진의 질병 부담과 예방 전략, 그리고 싱그릭스의 임상적 효과를 공유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GSK는 앞으로도 의료진과의 지속적인 학술 교류를 통해 싱그릭스의 가치를 알려 국내 대상포진의 질병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작성 2025.10.29 10:07 수정 2025.10.29 15:30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건의료신문 / 등록기자: 고광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