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곡성의 섬진강변이 예술과 생명의 숨결로 되살아났다.
10월 23일부터 27일까지 닷새간 열린 제23회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SIEAF2025)’가 국내외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예술제는 ‘섬진강별곡(Seomjin River Rhapsody)’을 주제로, 자연과 인간, 전통과 실험, 지역과 세계가 어우러지는 생태예술의 현장을 선보였다.
개막공연 ‘섬진강 두꺼비 & 도깨비 잔치’를 비롯해 ‘섬진강 플로깅 퍼포먼스’, ‘숲에서 만나는 관음미소’, ‘도깨비 낮장’, ‘동화정원의 동화세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섬진강 일대를 무대로 펼쳐지며 관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공연’도 많은 관심을 모았다.
한국과 일본의 예술가들이 함께 만든 빛과 몸, 소리의 협업 무대는 예술을 통한 화합과 교류의 메시지를 전하며 큰 감동을 주었다.
올해 축제에는 일본을 포함한 9개국 예술가들이 참여했으며, 압록마을 등 섬진강 일대를 직접 둘러보는 깨비버스 투어가 진행됐다. 아티스트들은 강과 숲, 마을의 풍경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섬진강만의 자연과 지역적 특색을 작품에 담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 과정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국제적 시각을 확장하고, 서로 다른 문화적 감성을 교류하는 장이 되었으며, 향후 퍼포먼스, 전시, 영상 콘텐츠 등 축제 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축제의 온기는 마을로도 확산됐다.
개막식 당일 압록마을 주민들이 대거 현장을 찾았고, 풀무원의 후원으로 마련된 저녁 잔치상에서 주민과 예술가, 관람객이 함께 어울리며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의 정을 나눴다.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웃음이 번지는 자리에서 ‘사람과 자연, 지역이 이어지는 예술’이라는 섬진강 예술제의 철학이 더욱 빛났다.
올해는 곡성 심청어린이대축제와 연계하여 가족 단위 관광객의 참여도 크게 늘었다. 심청어린이대축제 관람객들이 예술제의 공연과 전시를 함께 즐기며, 곡성의 문화예술이 관광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행정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로 우천을 대비한 환경 조성과 축제장 안내, 이동 동선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관람 환경과 서비스 수준이 한층 개선되었다.
체계적인 현장 지원 덕분에 관객들의 불편이 최소화되고,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축제 운영이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김백기 예술감독은 “올해는 예술과 관광, 지역 공동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해였다”며
“내년에는 문화예술과 관광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 곡성의 생태문화예술제를 국제적인 브랜드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라남도와 곡성군이 후원하고, 풀무원과 지역 농·축협이 협찬으로 참여했다.
SIEAF 운영위원회는 “2026년에는 ‘섬진강별곡 시즌2’를 통해 더 깊고 확장된 생태예술 축제를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SIEAF.COM
문의_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 사무국장(010.2344.5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