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약을 처방받을 때, 우리는 종종 “식후 30분 이내에 복용하세요”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다면 왜 대부분의 내복약은 식후 30분을 기준으로 복용하라고 하는 걸까?

그 이유는 약의 흡수 효율, 위 자극 완화, 그리고 약효의 안정성과 관련이 깊다. 먼저, 식후 30분은 음식이 위에서 어느 정도 소화되고, 위산 분비가 안정되는 시점이다. 이때 약을 복용하면 위를 거쳐 소장으로 이동하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대부분의 약물이 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위가 너무 비어 있거나 반대로 너무 가득 차 있으면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식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은 위벽을 보호하기 위한 이유도 있다. 진통제나 소염제, 철분제처럼 위를 자극하는 약을 공복에 복용하면 속이 쓰리거나 위염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식후에는 음식이 완충제 역할을 하여 위 점막을 보호해준다.
이와 더불어 식사 후에는 혈류량과 대사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약효가 보다 고르게 나타난다. 반대로 공복 상태나 식사 직후에 약을 복용하면 흡수 속도와 약효가 일정하지 않아 효과가 들쭉날쭉할 수 있다.
물론 모든 약이 식후 복용을 권장하는 것은 아니다. 위산 억제제나 일부 항생제, 갑상선 호르몬제처럼 공복에 복용해야 효과가 좋은 약도 있다. 반대로 당뇨병 치료제나 지방 흡수 억제제처럼 식사 중에 복용해야 하는 약도 존재한다. 따라서 의사나 약사가 안내하는 복용 지침을 정확히 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결국 “식후 30분”은 인체의 소화 리듬에 맞춰 약을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제시된 표준적 기준 시간이다. 오늘부터는 약을 먹을 때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과학적 이유를 함께 떠올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