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장부와 찢겨진 차용증서

-많은 경건한 이들은 삶을 '도덕적 회계'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구원은 우리의 장부 결산이 아니라, 전액 상환된 '영수증'을 선물로 받는 것이다.

-지금 당신 손에는 무엇이 들려 있나? 빽빽하게 적힌 당신의 공로가 담긴 장부인가, 아니면, 그리스도의 피로 이미 '완불' 도장이 찍힌 영수증인가?

▲ AI 이미지 (제공: 중동디스커버리신문)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는 스스로의 삶을 기록하는 보이지 않는 장부가 하나 있다. 선을 행할 때는 대변에, 악을 행할 때는 차변에 무언가를 기입한다. 우리는 이 장부의 마지막 장이 흑자로 마감되기를 본능적으로 바란다. 어떻게 하면 이 영적인 장부를 완벽하게 '균형' 맞출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인류의 위대한 두 신앙은 서로 다른 해답의 길을 제시한다.

 

마지막 날의 정산서

 

많은 경건한 이들은 삶을 '도덕적 회계'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매일의 기도, 금식, 자선 행위는 이 장부의 '자산'을 늘리는 행위이다. 반대로 거짓말, 나태, 불의는 '부채'를 증가시킨다. 마지막 날, 신성한 심판대 앞에서 이 장부가 펼쳐질 때, 오직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이들만이 영원한 안식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지극히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원칙이다. "선한 자에게는 상을, 악한 자에게는 벌을." 이 원칙은 사회를 유지하는 근간이며, 개인에게는 끊임없는 도덕적 긴장감을 부여한다.

 

나는 중동의 한 시장에서 만난 독실한 무슬림 상인을 기억한다. 그는 매일의 수입을 정산하듯, 매일 밤 자신의 선행과 악행을 헤아렸다. "천국에 가고 싶지만, 나의 선행이 나의 죄악보다 무거울지는 오직 신만이 아신다." 그의 겸손함 속에는 자신의 행위로 구원을 '벌어야' 하는 자의 깊은 고뇌가 서려 있었다. 그는 자신의 장부가 적자가 아닐까 평생을 염려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전액 상환된 빚

 

기독교 신앙은 이 '도덕적 회계'의 전제 자체를 뒤집는다. 문제는 우리가 '흑자'를 내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이미 갚을 수 없는 '파산' 상태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로마서 3:10).

 

기독교는 이 파산한 영혼에게 전혀 다른 소식을 전한다. 그것은 '은혜', 즉 '자격 없는 자에게 베푸는 호의'이다.

 

비유하자면, 우리는 왕에게 천문학적인 빚을 져서 감옥에 갇힌 자와 같다. 매일 감옥을 청소하고 간수에게 친절을 베푸는 '선행'을 쌓는다 한들, 그 빚을 갚을 수는 없다. 그런데 왕의 아들이 나타나 그 엄청난 빚을 자신의 사비로 모두 갚아주고 우리의 차용증서를 찢어버렸다면 어떨까?

 

이것이 바로 십자가의 의미이다. 우리는 여전히 빚진 자였지만,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부채(죄)를 대신 짊어지고 값을 치르셨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하지 못하게 함이라"(에베소서 2:8-9)라고 선언한다. 구원은 우리의 장부 결산이 아니라, 전액 상환된 '영수증'을 선물로 받는 것이다.

 

행위는 어디에 서는가?

 

그렇다면 선한 행위는 무의미한가? 그렇지 않다. 두 신앙 모두 선행을 강력하게 권장하지만, 그 '동기'와 '목적'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도덕적 회계'의 관점에서 선행은 구원을 얻기 위한 조건이다. 장부를 흑자로 만들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이다.

 

반면, '은혜'의 관점에서 선행은 구원 받은 자의 감사이다. 빚을 탕감 받은 자가 더 이상 감옥에 갈까 두려워 선행을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을 해방시킨 왕의 아들을 사랑하기에, 그 사랑에 감격하여 자발적으로 선을 행하는 것이다. 야고보서가 말한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란, 빚을 탕감 받고도 여전히 빚진 자처럼 절망 속에 사는 것과 같다. 진정한 믿음은 반드시 감사의 행위로 드러나게 되어 있다.

 

두려움인가, 확신인가

 

과거에 나는 빚을 갚기 위해 매일 동전을 세는 사람처럼 살았다. 선행 하나에 안도하고, 죄 하나에 절망했다. 내 손에 들린 것은 불안한 '회계 장부'였다.

 

그러나 이제 나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찢어버리신 '차용증서'를 붙든다. 나의 구원은 내가 얼마나 선하게 살았느냐에 달린 것이 아니라, 그분이 나를 위해 모든 것을 지불하셨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 확신은 나태함이 아닌 더 깊은 헌신을 불러일으킨다. 두려움에서 비롯된 순종이 아니라, 사랑에서 우러나오는 자발적인 순종이다.

 

오늘 밤, 당신의 손에는 무엇이 들려 있는가? 빽빽하게 적힌 당신의 공로가 담긴 장부인가, 아니면 그리스도의 피로 이미 '완불' 도장이 찍힌 영수증인가?
 

작성 2025.10.29 23:50 수정 2025.10.29 23:50

RSS피드 기사제공처 : 중동 디스커버리 / 등록기자: 김요셉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