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인간관계] “SNS 시대의 인간관계, 진정성을 지키는 7가지 습관”

“팔로워보다 진정성...관계의 깊이를 결정짓는 핵심 가치”

“가식 없는 소통이 신뢰를 만든다...디지털 시대의 감정 연결법”

“끊임없는 비교 속에서 나다움을 지키는 심리 전략”

SNS는 인간을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연결시켰다. 손끝 하나로 세계의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시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진정한 관계’를 느끼는 사람은 점점 줄고 있다.


많은 이들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피드를 확인하고, 좋아요를 누르며, 댓글로 감정을 표현한다. 그러나 그 관계의 상당수는 얇고 불안정하다. 겉으로는 소통하지만, 내면은 고립되어 있다.

[사진: SNS 시대의 인간관계를 묘사하는 이미지, 챗gpt 생성]

이러한 현상 속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진정성’ 있는 관계 유지 능력이다. 디지털 환경 속에서도 자신답게 존재하고, 상대방의 진심을 존중하는 소통의 태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SNS에서 인간관계의 성공을 수치로 평가하는 경향은 이미 보편화되었다. 팔로워 수, 좋아요 개수, 조회수 등은 사회적 존재감을 상징하지만, 진정한 관계의 깊이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진심이 담긴 관계일수록 규모는 작지만 영향력은 크다. 누군가의 글에 진심 어린 댓글을 남기고, 그 사람의 일상에 진정한 관심을 보이는 태도가 관계의 신뢰를 만든다.


최수안 박사(심리상담)는 “진정성은 완벽함이 아니라 용기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려 애쓰기보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여주는 용기가 인간관계를 단단하게 만든다. 결국 ‘진짜 나’를 드러낼 때 관계는 비로소 깊어진다.


 

디지털 대화의 가장 큰 문제는 ‘감정의 왜곡’이다. 이모티콘이나 짧은 메시지는 감정을 단순화시켜 오해를 낳기 쉽다. 진정한 소통은 말의 수보다 감정의 진심이 중요하다.


가식적인 대화는 일시적인 친밀감을 줄 수 있지만, 곧 피로감을 초래한다. 반면, 때로는 불편하더라도 솔직한 대화가 오히려 신뢰를 쌓는다. SNS를 통한 관계에서도 ‘적당히 좋은 사람’이 되려 하기보다, 정직하고 따뜻한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진심이 담긴 소통은 사람의 마음에 오래 남는다. 단순한 인사보다 “오늘 많이 힘들었지?” 같은 공감의 언어가 관계를 유지시키는 힘이 된다.


 

SNS의 피드는 타인의 성공, 행복, 여유로 가득하다.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 이런 비교심리는 인간관계를 왜곡시키고, 때로는 질투와 불안을 낳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 전략은 ‘자기 중심 회복’이다. SNS는 ‘타인의 하이라이트’를 보여주는 공간임을 인식해야 한다. 남의 완벽한 순간과 자신의 일상을 비교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 최수안 박사(심리상담)는 하루 중 일정 시간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를 실천할 것을 권한다.
 

핸드폰을 내려놓고, 직접 사람을 만나거나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정서적 리셋의 효과를 준다. 결국 인간관계의 진정성은 ‘나를 잃지 않.


 

진짜 관계는 여전히 가능하다

SNS는 인간관계의 방식을 바꾸었지만, 관계의 본질을 바꾸지는 못했다. 진심, 신뢰, 공감이라는 오래된 가치가 여전히 관계의 중심에 있다. ‘좋아요’보다 ‘괜찮니?’ 한마디가 더 큰 힘을 발휘하고, ‘공유’보다 ‘공감’이 더 깊은 인연을 만든다.
 

디지털 시대의 성공적인 인간관계는 기술이 아니라 태도에서 비롯된다. 진정성을 잃지 않는다면, 온라인에서도 충분히 따뜻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결국, 진정한 관계란 연결의 양이 아니라 마음의 질이다.

 

 

 

 

 

 

작성 2025.10.30 08:50 수정 2025.10.30 08:53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서하나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