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나눔] 죽음이 슬픔인 사람

역대하 35장 20-27절

 

 

죽음이 슬픔인 사람

 

 

요시야 왕은 유다의 역사에서 빛나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그는 8세에 왕위에 올랐고하나님을 경외하며 율법을 새롭게 세운 개혁군주였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성전은 정화되었고백성은 오랜만에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사는 법을 배웠다그러나 역대하 35장 20~27절은 이 위대한 왕의 생애가 예기치 못한 비극으로 끝나는 장면을 기록한다하나님을 사랑한 자의 죽음이 왜 이렇게 갑작스럽고 슬펐을까그 이유는 믿음의 오해와 순종의 한계’ 속에 숨어 있다.

 

느고 왕은 애굽의 군주로앗수르를 돕기 위해 북쪽으로 향하던 길이었다그는 요시야에게 전쟁을 피하라고 전했다. “하나님이 나와 함께 계신다나와 맞서지 말라.” 놀랍게도 느고의 말 속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있었다하지만 요시야는 그것을 믿지 않았다.

그는 이방 왕의 입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신앙적으로 이해하면 당연한 반응처럼 보이지만바로 그 신념이 하나님의 뜻을 오해하게 한 순간이었다하나님은 때때로 예상치 못한 사람을 통해 말씀하신다그러나 요시야는 하나님을 향한 확신이 자기 확신으로 변한 것이다.

 

전쟁의 결과는 참혹했다요시야는 변장하고 나갔지만적의 화살이 그를 관통했다. “내가 중상을 입었다.” 그는 전차에서 내려 예루살렘으로 옮겨졌고그곳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죽음은 단순한 왕의 죽음이 아니었다백성 전체가 그를 위해 울었다선지자 예레미야마저도 그를 위해 애가를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그의 죽음은 한 나라의 신앙적 슬픔이자하나님께 충성했던 자의 마지막 순간을 향한 인간적 애도의 표현이었다. “죽음이 슬픔인 사람” — 요시야가 바로 그 사람이었다.

 

요시야의 죽음을 믿음의 실패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그는 여전히 하나님께 충성된 자였다다만 그 충성이 분별 없는 열심으로 변했을 때하나님은 그를 거두셨다성경은 그가 느고의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죽게 되었다고 기록하지만동시에 그의 삶 전체를 의로운 왕으로 평가한다.

이 역설은 신앙의 본질을 묻는다하나님의 뜻을 향한 열정이 때로는 자신의 뜻을 하나님의 뜻으로 착각하게 만든다요시야의 마지막 전쟁은 바로 그 오해의 대가였다.

 

요시야의 죽음은 단순한 비극이 아니다그것은 신앙의 본질을 비추는 거울이다하나님께 대한 순종은 단순한 열정이 아니라, ‘분별을 포함해야 한다느고의 입을 통해서도 하나님의 뜻이 전달될 수 있었음을 요시야는 깨닫지 못했다.

오늘날 신앙인에게 요시야의 마지막은 경고처럼 들린다하나님께 헌신하는 열심이 때로는 자기 신념에 묶이지 않도록말씀의 방향을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하나님은 때로 우리가 예상치 못한 통로로 말씀하신다그 음성을 분별하는 자만이 진정한 순종의 길을 걷는다.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0.30 08:57 수정 2025.10.30 08:57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