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한정찬] (시) 11월에 쓰는 시

[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시인 한정찬의 "11월에 쓰는 시"


 

토란(土卵)

  

지난달에

토란대 손질한

내 손이 참 고맙다.

 

이번 달에

토란 뿌리 캐

내 가슴이 벅차다.

 

눈 들면

봄 여름 가을 머문

토란의 흔적에서

지난 계절이 그립다.

 

이미 나물거리 되었다는

뿌듯한 토란대다.

이제 국거리 되겠다는

기대 찬 토란 뿌리다.

 

희생의 뿌듯함이

11월 햇살처럼 빛난다.

 

짧게 기운 햇살 아래

다정한 토란 이야기가

농장 가장자리까지

들려오고 있다.

 

그리움의 온기로

두 귀 쫑긋 세워

토란 이야기를

경청하고 하고 있다.


---------------------------------------- 

 

11월엔

  

좋은 것 보고

단풍 들었다고

크게 환호할 일 아니다.

 

보고 싶은 것

잘 봤다고

마냥 웃을 일 아니다.

 

수많은 단풍 아래

무수한 파란 잎들이

단풍에 물들지 못하고

추적추적 말라가고 있다.

 

좋은 일 맞이하면

그늘진 곳 가까이 다가

친구로 이웃으로

말보다 따뜻함을 나눌

다정함을 가져야 한다.

 

11월엔

떠나가는 낙엽을 보며

남은 초목처럼

고독을 준비해야 한다.

 

11월엔

희나리 파란 이파리에

한 모금 시 쓰고

가슴 아파해야 한다.

 

11월엔

불어오는 바람결에

영혼의 먼지 털고

그저 감사해야 한다.

  

---------------------------------------- 


경계에서

  

바닷바람 올라온 바닷가에

살갗에 부대끼는 오방기

펄럭이고 있는데

갈대는 고개 흔들며

온몸으로 부정하고 있다.

 

산바람 내려온 바닷가에

나뭇잎은 아래로 떨어져

흩날리고 있는데

억새는 고개 흔들며

온몸으로 부정하고 있다.

 

더 올라갈 수도 없고

더 내려갈 수도 없는

평행선의 기 싸움에

부정에 부정을 더한

긍정의 그 자리에

회오리바람이 일어났다.

 

겨울의 문턱에서

호들갑 싸움질하는

산바람 바닷바람에

맑은 술 한잔하자는

회오리바람 앞에

이마가 차갑다.

 

, 11월이다.

섬마을

담장 아래 다알리아꽃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 

 

11월의 노래

 

해지니 차갑습니다.

온몸이 춥습니다.

 

아궁이에 땐 군불에

저녁연기가 피어날 때

시냇물 소리를 더 가까이

끌어왔다 끌어가는

11월입니다.

 

깡말라 가는 들풀은

이미 풀이 아닙니다.

내 옷가지에 달라붙은

풀씨에서

11월의 집착을 봅니다.

 

한때 당신을 그리워한

그 생각에 젖어봅니다.

온 세상의 그리움이

마른 풀잎에 붙은

서리처럼 시려옵니다.

 

빈 산에 핀 억새꽃처럼

빈 강가에 핀 갈대꽃처럼

외롭고 시린 내 마음이

저문 날 영혼의 심지를 돋워

겸허한 종교로 돌아갑니다.

 

11월에는

기도가 약입니다.

기도하는 삶이 시간을 가꾸고

산하는 하얀 입김에

한껏 따뜻해집니다.

 

 ---------------------------------------- 


11

 

11,

그저 빈 지게를 지고 싶다.

그대 아침노을에 불타오른 가슴

열정의 향으로 남고 싶다.

 

한때는 사랑에 죽도록 빠져

넋 나간 내 영혼이

그대 화려한 단풍처럼

곱게 곱게 물들이고 싶다.

 

11,

창가에 스치는 시린 바람결이고 싶다.

그대 말씀의 향기가 퍼지고 스민

황국화로 피어 있고 싶다.

 

별 총총 돋은 어느 날 초저녁에

그대 모습의 또렷한 흔적이 서린

땡감 하나로 남고 싶다.

 

11,

지내 온 세월 결에 묻히고 싶다.

그대 모습이 더 빛나고 화려하게

온화한 한 결로 가고 싶다.

 

날마다 갈아입는 행복처럼 오늘도

그대 삶 앞에 좋은 일만 있기를

고맙게 축복하고 응원하고 싶다.

 


▲한정찬/한국공공정책신문 칼럼니스트 ⓒ한국공공정책신문

 

한정찬

()한국문인협회원, ()국제펜한국본부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원 외

시집 한 줄기 바람(1988)29, 시전집 2, 시선집 1, 소방안전칼럼집 1

농촌문학상, 옥로문학상, 충남펜문학상, 충남문학대상, 충청남도문화상 외



 

작성 2025.10.30 11:16 수정 2025.10.30 11:1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공공정책신문 / 등록기자: 김유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