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10월 31일(43주차)에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지수*가 0.24로 전주(0.02) 대비 증가함에 따라, 가을철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 물림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털진드기 지수: 털진드기 채집 개체수를 사용한 트랩 수로 나눈 값
털진드기 발생 감시는 가을철 쯔쯔가무시증 유행(10~11월)에 대비하여 매년 조사 중에 있으며, 올해는 질병관리청, 호남권질병대응센터, 보건환경연구원 (강원,전남,전북),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센터(8개)가 협력하여 8월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16주간) 매주 전국 19개 지점(붙임1 참고)에서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 | ![]() |
설치류 체액을 흡혈하는 털진드기 유충 | 활순털진드기 형광현미경 사진 |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되며,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 Eschar)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증상은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며, 최근 3년(’22~’24년)간 전체 환자의 73.2%가 가을철(10~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 2024년 9월부터 가피 형성 확인 추가 등 진단 신고 기준이 변경됨
국내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2024년도 감시 결과, 남부 지역에서는 활순털진드기, 중부 및 북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수염털진드기, 동양털진드기, 반도털진드기, 사륙털진드기, 조선방망이털진드기, 들꿩털진드기
또한 털진드기는 평균기온 20℃ 미만에서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0~15℃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이다가, 10℃ 미만으로 떨어질 때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5년 43주차에 평균기온 15.9℃로 떨어짐으로써 털진드기의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가을 단풍철 및 추수기를 맞아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야외활동 시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어, “쯔쯔가무시증은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이나 농작업 후 물린 자국(가피)이 관찰되거나, 10일 이내(잠복기)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① 풀밭에 오래 머무르지 않기 - 발목 이상 높이의 풀밭에 들어가지 말기 - 풀밭에서는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말기
② 야외활동 시 긴 옷, 목이 긴 양말, 장갑, 모자 등 착용하기 - 진드기 기피제를 신발, 양말, 바지 등에 적절한 주기로 사용하기
③ 야외활동 후 반드시 씻고 진드기 확인하기 - 목욕 또는 샤워하면서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관찰하기 -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확인하기 * 털진드기 유충의 크기는 0.3mm이하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움 -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