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서울 도심 내 주거 안정을 위해 상봉역, 용마산역, 창3동 주민센터 일대 3곳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새롭게 지정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총 2,148세대 규모의 공공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완철)는 10월 31일 서울 상봉역, 용마산역, 창3동 주민센터 인근 3개 구역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내년 상반기까지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복합지구는 ▲상봉역 일대 18,217㎡(781세대), ▲용마산역 인근 15,412㎡(584세대), ▲창3동 주민센터 주변 18,217㎡(781세대)로 구성된다. 모두 교통 접근성과 생활 인프라가 우수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국토부는 이번 지정이 도심 내 주택 수급을 늘리는 동시에, 주거비 부담으로 도심 생활이 어려운 서민·청년층을 위한 안정적인 주거 기반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도심복합사업은 주민 3분의 2 이상 또는 토지면적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받으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본 지구로 최종 확정된다.
정부는 지난 9월 7일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도심복합사업 제도 전반의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을 통한 건축물 높이 기준 완화, ▲환경영향평가·소방설계 간소화, ▲용적률 상향(법정상한의 최대 1.4배) 등이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인허가 절차 단축과 공급 속도 제고를 동시에 꾀한다는 방침이다.
김완철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이번 복합지구 지정은 주민들의 주거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도심 내 균형 있는 주거 공급 확대를 위한 신호탄”이라며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과 긴밀히 협력해 공급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지정으로 도심복합사업 지구는 총 49곳 중 26곳이 확정됐으며, 전체 공급 예정 물량은 약 4만1천세대에 달한다. 이는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기반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의 김진한기자 010-2742-3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