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학원 앞 전쟁터: ADHD 아들과의 실랑이 속에서 엄마가 배운 한 가지

“약을 안 먹을래” — 아이의 거부 속에 숨은 진짜 두려움

엄마의 스트레스, 죄책감이 아닌 생리적 반응이다

통제 대신 신뢰: 약보다 먼저 회복해야 할 관계

[놀이심리발달신문] 수학학원 앞 전쟁터: ADHD 아들과의 실랑이 속에서 엄마가 배운 한 가지  김주연 기자 

 

“약을 안 먹을래” — 아이의 거부 속에 숨은 진짜 두려움

 

아침 7시, 부엌 식탁 위에 놓인 조그만 약봉지를 보고 아들은 단호히 말했다. “나 약 안 먹을래. 그거 먹으면 내가 내가 아닌 것 같아.”

순간 엄마의 심장은 철렁 내려앉는다.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아들이 스스로 약 복용을 거부한 것이다. ‘공부가 잘 안 될 텐데’, ‘선생님이 뭐라고 하실까’ 하는 걱정이 몰려온다. 그러나 그 뒤에는 “내 아이가 약에 의존하게 될까 봐 두렵다”는 더 근본적인 불안이 숨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ADHD를 단순한 행동 문제나 학습 장애로 보지 않는다. 

 

그것은 신경발달적 특성이며, 각 개인의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라고 명시한다(WHO ICD-11, 2022). 그런데 한국의 부모들은 여전히 “조절이 안 된다면 약을 먹어야 한다”는 압박 속에 놓여 있다. 아이가 약을 거부하는 것은 단순한 반항이 아니라 ‘정체성의 위기’에 대한 표현일 수 있다. 아이는 ‘약을 먹는 나’와 ‘그렇지 않은 나’를 구분하며, 자신이 병으로 정의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부모가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약 한 알이 가족 간의 전쟁의 불씨가 된다.


 

세계 연구가 말하는 ADHD 약물치료의 균형점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는 ADHD 치료의 핵심을 이렇게 설명한다. “약물은 ADHD 증상을 조절하는 도구이지, 아이를 바꾸는 수단이 아니다.”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나 암페타민(Amphetamine) 계열 약물은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을 완화하지만, ‘기계적으로 복용할수록 효과가 보장되는 약’은 아니다.


2018년 The Lancet Psychiatry의 메타분석에 따르면, ADHD 약물의 장기 복용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부모-아동 관계의 질이 낮을 경우 약물의 효과도 감소했다. 즉, 환경적 요인과 정서적 안정이 약물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인 것이다. 세계적으로 ADHD 치료는 ‘Multimodal Approach’(통합적 접근)로 발전하고 있다.

 

약물치료(Medication)

행동치료(Behavioral Therapy)

부모교육(Parent Training)

학교 내 환경조정(Educational Support)

 

이 네 가지가 함께 작동해야 ADHD 아동이 장기적으로 자존감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의 부모들은 “약을 먹이느냐, 안 먹이느냐”의 이분법에 갇혀 있다. 실은 “약을 먹이되, 관계를 지키는 것”이 진짜 균형이다.

 


엄마의 스트레스, 죄책감이 아닌 생리적 반응이다

 

ADHD 아동의 부모는 일반 아동의 부모보다 **평균 40% 이상 높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코르티솔)**를 보인다(APA Journal, Family Process, 2020). 즉, “왜 이렇게 화가 나지?”, “왜 이렇게 지치지?”는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신체가 과부하 상태이기 때문이다. 아이가 수학학원 앞에서 버티거나, 교실 문턱을 넘지 않으려 할 때, 부모의 뇌는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 response)’을 일으킨다.


결국 엄마는 아이를 설득하려다 고함을 치고, 눈물이 나고, 다시 죄책감에 시달린다. 이때 필요한 것은 ‘인내심’이 아니라 ‘복구력(resilience)’이다. 미국 정신의학회(APA)는 ADHD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3단계 복구 전략을 제안한다.

 

Pause (멈춤): 감정이 폭발하기 직전, 단 10초라도 멈춰라.

Name (인식): “지금 나는 지쳤다”라고 감정을 이름 붙인다.

Repair (복구): 아이와의 대화가 깨졌다면, 억지 훈육보다 “다시 이야기하자”로 복구한다.

 

이 단순한 세 단계가 부모-아동 관계를 회복시키는 핵심이다.


 

통제 대신 신뢰: 약보다 먼저 회복해야 할 관계

 

ADHD 치료에서 가장 과소평가된 요소가 바로 ‘신뢰 관계’다. 아이에게 신뢰받는 부모일수록, 아이는 자율성을 잃지 않으면서 치료에 협조하게 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부모가 아이의 ‘약 복용 결정 과정’에 함께 참여하게 했을 때, 복용 순응률이 38% 상승하고, 장기 치료 지속률이 두 배로 높았다.


즉, “오늘 약 먹을까 말까?”라는 질문조차 아이에게 ‘결정권’을 주면, 그 자체가 치료다. 약을 강요하지 않고 선택의 일부로 제시하는 것, 그리고 “약이 널 바꾸는 게 아니라 도와주는 거야”라고 설명하는 것. 이것이 진짜 ‘치료적 대화’다. 아이는 약보다 신뢰를 먹고 자란다. 결국 엄마가 배운 한 가지는 이것이다.


이를 조절하려 하지 말고, 함께 살아내는 법을 배우는 것  그게 수학학원 앞 실랑이의 끝에서 얻은 가장 큰 배움이었다. ADHD 아이를 둔 부모가 매일 겪는 갈등은 약의 문제가 아니라 ‘사랑의 표현 방식’의 문제다. 어쩌면 ‘잘 키우는 법’을 배우기보다 ‘덜 두려워하는 법’을 배우는 게 먼저일지 모른다. 

 

심리학자 브레네 브라운(Brené Brown)은 이렇게 말했다. “완벽한 부모가 아니라, 회복하는 부모가 아이를 살린다.” 오늘도 약을 들고 망설이는 엄마에게 말해주고 싶다. 당신은 이미 충분히 잘하고 있다. 당신의 아이도, 그 자리에서 이미 자라고 있다.

작성 2025.10.31 15:14 수정 2025.10.31 15:1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놀이심리발달신문 / 등록기자: 김주연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