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금, ‘두 번째 인생’의 첫 번째 시험대
“평생 벌어온 돈을 마지막에 한 번에 잃는다면, 그것이 진짜 은퇴일까?”
한국의 시니어 세대가 은퇴 후 맞닥뜨리는 가장 큰 함정은 ‘퇴직금 착각’이다.
평생의 노동 대가로 받은 퇴직금을 ‘여윳돈’이라 착각하는 순간, 인생 2막은 위기를 향해 달려간다.
국민연금공단의 2024년 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퇴직자의 평균 퇴직금은 약 1억 2천만 원 수준이다.
하지만 3년 내 그 돈의 절반 이상이 ‘소멸’된다고 한다. 대부분이 소규모 창업, 부동산 투자, 가족 지원 등으로 빠져나간다.
더 놀라운 점은 창업한 시니어의 72%가 3년 이내 폐업한다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준비 없이, 감정적으로, 그리고 과신해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퇴직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남은 인생의 ‘버팀목 자산’이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그 돈을 ‘기회의 씨앗’이 아니라 ‘잃어도 되는 돈’으로 착각한다.
문제는, 시니어 창업의 실패가 단순한 사업 손실이 아니라 은퇴 이후의 생존 위기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시니어 창업, ‘열정’보다 ‘데이터’가 말해준다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의 ‘고령층 경제활동 보고서(2024)’에 따르면,
60대 이상 창업자의 수는 최근 5년간 38%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시니어 폐업률은 70%를 넘는다.
퇴직 후 창업의 첫 동기는 ‘생활비 보충’(54%)이다.
하지만 창업의 진짜 동력은 절박함이 아니라 전문성과 지속 가능성에서 나온다.
많은 시니어 창업이 음식점, 커피숍, 소규모 숙박업 등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에 몰린다.
문제는 이 시장이 이미 과포화 상태라는 것이다.
서울 기준 자영업 생존율은 1년 차 62%, 3년 차 36%, 5년 차 25%에 불과하다.
즉, 10명 중 7명이 3년 안에 문을 닫는다.
여기에 디지털 전환 격차도 시니어 창업의 약점이다.
온라인 마케팅, 배달 플랫폼, SNS 브랜딩 같은 필수 역량이 부족해 경쟁력을 잃는다.
결국 “열정은 있지만, 구조를 모른다.”
이것이 시니어 창업의 가장 큰 비극이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지키는 창업’
금융 전문가들은 퇴직금을 “위험 감수 자금이 아닌 생활 보장 자금”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금융연구원의 김도현 연구위원은 “퇴직금의 70% 이상은 안정적 자산(예금, 연금, 채권 등)에 두고,
나머지 30% 이내에서 창업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창업 컨설턴트들은 시니어 창업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시장 검증’이라고 말한다.
좋아하는 일보다 수요가 있는 일, 감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사업성 분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커피 프랜차이즈 대신 지역 특화형 소규모 서비스업(시니어 돌봄, 지역 콘텐츠, 공예 교육 등)은
비교적 초기비용이 낮고 유지율이 높다.
최근 정부도 시니어 창업의 구조적 실패를 막기 위해
‘신중년 창업지원센터’, ‘중장년 기술창업 지원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원금보다 더 중요한 건 멘토링과 검증 시스템”이라 말한다.
즉,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 돈을 ‘지키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퇴직금을 사업자금으로 쓰기 전, 반드시 해야 할 세 가지
첫째, 자기자본 비율을 100%로 하지 말라.
퇴직금 전액을 창업에 쏟아붓는 것은 가장 위험한 선택이다.
사업은 언제나 변수가 많다.
전문가들은 “퇴직금의 20~30%만 창업 초기비용으로 쓰고,
나머지는 예비자금으로 분리해두라”고 조언한다.
둘째, 사업보다 ‘생활비 구조’를 먼저 설계하라.
많은 시니어 창업자가 사업 실패보다 더 빨리 무너지는 이유는 ‘현금흐름 부재’ 때문이다.
생활비와 사업비를 구분하지 못해, 손실이 커지면 가계까지 붕괴된다.
퇴직 후 최소 3년간의 생활비는 절대 건드리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셋째, 창업보다 ‘참여형 수익모델’을 고려하라.
예를 들어, 시니어 전문 프리랜서 플랫폼 참여, 공유오피스 내 교육 창업,
혹은 소규모 협동조합형 창업 등은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다.
요즘은 ‘나홀로 사장님’보다 ‘협업형 창업’이 생존율이 높다.
결국, 퇴직금은 도전의 자금이 아니라 ‘시간을 사는 자금’이다.
그 돈으로 급하게 시작하기보다, 6개월~1년은 시장을 공부하고,
실제 고객을 만나보고, 검증된 모델을 찾는 시간이 필요하다.
은퇴 이후, ‘돈을 버는 법’보다 ‘돈을 잃지 않는 법’을 배워라
한국 사회는 여전히 “퇴직 후엔 뭐라도 해야 한다”는 압박이 강하다.
그러나 무언가를 하는 것보다, 무언가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퇴직금은 ‘마지막 보상’이 아니라, ‘다음 삶의 생명선’이다.
진짜 성공한 시니어 창업자는 ‘성공한 사업가’가 아니라
‘망하지 않은 투자자’라는 말이 있다.
퇴직금은 인생 2막의 연료지만, 동시에 한 번뿐인 안전벨트다.
그것을 지키는 법을 아는 것이, 가장 현명한 창업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