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변화하는 건강관리 생태계
세계는 지금 '건강관리(Health Care)'에서 '건강생활(Health Lifestyle)'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병이 생기면 치료하는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질병이 생기기 전에 예방하고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흐름으로 바뀌고 있다.
예컨대, 미국의 헬스케어 기업 Cigna Healthcare가 발표한 2025년 헬스케어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소비자 경험(personalised experience), 조건별 케어(condition-specific care), 행동 건강(behavioral health)과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다. 기업들은 웨어러블 기기, 앱, 유전자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등을 통합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쪽으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건강한 개인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은 이 흐름 위에 자리잡는다.
한편 최근 논문에서는 식이(영양)가 단순히 칼로리나 매크로 영양소를 넘어서서 노화(aging)의 생물학적 지표에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가 제시되었다. 예컨대 텔로미어(telomere) 길이 및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가 장내미생물, 염증, 대사 상태와 연계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생활 습관 → 유전자/마이크로바이옴 → 텔로미어/후성유전학 → 노화지연"이라는 중개모델이 맞춤라이프스타일 산업의 과학적 기반이 된다.
글로벌 트렌드
디지털 건강트렌드 분석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 시장은 단순 원격진료나 웨어러블 기기 판매 수준을 넘어섰다. 특히 다음 세 가지 흐름이 두드러진다.
1. 개인화(Personalisation) +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
최근 연구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식단' 접근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전자, 대사형, 장내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 등 개인차가 식단 반응을 결정짓는 요소로 밝혀지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헬스 기술이 정밀영양과 결합하면서, 실시간 대사 피드백을 활용한 식단 조정이 가능하다는 논문이 나와 있다.
특히 글로벌 시장 규모에서도 맞춤영양 시장이 2025년 약 179억 달러로 추정되며 2034년 약 609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또, AI 기반 맞춤영양 시장 규모에서도 2025년 약 48.9억 달러에서 2034년 21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2. 디지털 플랫폼 + 실시간 데이터 피드백
스마트워치, 모바일 앱, AI 분석이 통합되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한다. 예컨대 걸음수, 수면 패턴, 심박변동 등이 변화하면 자동으로 식생활이나 운동 제안이 바뀌는 구조다. 산업 측면에서 보면, 라이프스타일 기업이 '앱 + 서비스 + 구독' 모델로 전환 중이다. 디지털 헬스에서 유전자검사·마이크로바이옴·웨어러블 데이터를 통합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개념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웰니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웰니스가 밀레니얼·Z세대에서 단발성 활동이 아닌 '일상의 맞춤 실천'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 헬스케어 × 웰니스 × 식문화의 융합
단순히 치료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일상·식단·마음챙김이 통합된 형태가 주목받는다. 특히 전통 식문화나 발효음식, 지역 식재료 등이 웰니스 시장에서 "문화적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발효식품, 장내미생물‐영양 인터페이스 연구가 활발하며, 예컨대 장내미생물 군집이 텔로미어 길이와 연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처럼 '식문화'가 단순한 맛이나 지역성 차원을 넘어 건강, 노화지연, 맞춤영양의 맥락에서 재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형 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
한국은 전통 식문화와 IT 인프라라는 두 가지 강점을 가진다. 이 두 축이 결합될 때 '한국형 개인맞춤 라이프스타일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전자 기반 맞춤식단 + 전통 발효식품 + 디지털 피드백 앱 모델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국내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디지털헬스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93.7억 달러(한화 약 12조 7천8백6십억원)였고 2033년 약 377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국내 정밀영양/디지털헬스 융합 연구들이 학술대회에서 활발히 다뤄지고 있으며, 예컨대 2025년 한국영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Big Data-Driven Technologies for Digital Health and Nutrition Innovation" 세션 등이 마련되어 있다.
산업 측면에서도 국내 기업들이 맞춤영양 솔루션 및 디지털 플랫폼과 제휴하고 있다. 예컨대 매일헬스뉴트리션은 글로벌 맞춤영양기업과 제휴해 국내 맞춤형 건강관리 제품 및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데이터·윤리·프라이버시: 유전자정보, 생활·식생활데이터 등이 수집·활용될 때 개인정보보호 및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의 문제가 제기된다.
산업·서비스 격차: 고부가가치 맞춤서비스는 비용이 높고,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가 낮은 인구층은 배제될 위험이 있다.
근거와 신뢰: 맞춤 라이프스타일 서비스가 실제 건강결과(예: 텔로미어 길이 변화, 노화속도 지연) 개선한다는 과학적 데이터를 통한 검증이 더욱 축적돼야 한다.
전략적 제언
건강한 개인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을 실질적 성장 궤도로 올리기 위해서는 다음 전략이 필요하다:
첫번째로 생태계 구축: 유전자·마이크로바이옴 분석기관, 디지털 건강플랫폼, 식문화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두번째로 브랜드화 및 스토리텔링: 한국형 맞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K-Wellness', 'K-HealFood' 같은 이름으로 글로벌화할 수 있다.
세번째로 정책·제도 지원: 정부는 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을 위한 규제완화, 연구개발 지원, 표준화 인증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네번째로 과학적 검증 강화: 기업과 연구기관이 생활습관 개입이 텔로미어 변화나 노화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장기적으로 추적 연구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논문처럼 식이가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를 조절할 수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선택의 시대, 라이프스타일의 주체는 나
디지털 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은 이제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개인의 건강관리 방식, 식생활, 운동, 마인드셋이 데이터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내 몸과 생활을 이해하고 선택하는 나 자신이다.
앞으로 선택은 세 가지다:
기술을 따라가기만 할 것인가?
기술을 내 삶의 방식에 맞게 응용할 것인가?
기술과 전통을 결합해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인가?
건강한 개인맞춤 라이프스타일 산업의 문은 이미 열렸다. 이제 남은 것은 누가 그 문을 가장 먼저 설계하고 열 것인가이다.
※ 참고자료: Cigna Healthcare 2025 헬스케어 트렌드 리포트, McKinsey & Company 웰니스 보고서, Nature Aging, IMARC Group 디지털헬스 시장 보고서, 한국영양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 외 국내외 연구논문
이채윤
(사)서울치유협회 회장.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 박사과정 수료.
텔로미어식단 연구가로서 발효, 치유식단, 고령친화 식생활 교육, K-푸드 기반 웰니스 산업모델을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