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목소리, 두 세계를 담아내다 – 테너 최원혁,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

 


10월 31일,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 붉게 물든 가을의 끝자락, 한 목소리가 천천히 공연장을 채웠다.. 테너 최원혁의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는 그의 음악적 여정을 응축한 무대였다. 


단순한 노래 이상의 ‘사유’가 느껴지는 이 공연은, 한 성악가가 자신의 예술세계를 관객 앞에 고스란히 펼친 자리였다. 바리톤과 테너라는 상반된 두 음역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다른 색깔을 하나의 목소리로 결합한 그의 시도는 이 공연에서 완성된 예술로 승화되었다. ‘소리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치열한 탐험 끝에 얻어진 결과물이었다. 


□ 연구로 시작된 무대 — 학문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다 

최원혁은 학문과 예술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보기 드문 성악가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그는 Uniwersytet Muzyczny Fryderyka Chopina w Warszawie (국립 폴란드 프리데리크 쇼팽 음악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특히 그의 박사논문 〈바리톤 음역의 소리를 테너 음역으로 전환할 수있는 가능성과 그 과정의 특성에 관한 자기 경험 기반 연구〉는 성악 발성 연구 분야에서 독창적인 시도로 평가받으며 우수 논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이 연구는 단순히 학문적 성취로만 끝나지 않았다. 스스로의 목소리를 실험 도구 삼아 치열한 탐구를 이어간 그는, ‘인간의 목소리는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며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열어 보였다. 이러한 배경 위에서 탄생한 〈Sound of Baritenor〉는 그의 작업이 단순히 이론이 아닌 실천적 결과물이라는 점을 다시금 증명해냈다. 


□ 바리톤의 온기와 테너의 빛 – 목소리가 이야기로 바뀌는 순간 

성악가로서 최원혁의 가장 빛나는 강점은 바리톤과 테너라는 두 음역을 자신의 목소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융합해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성악가는 한 음역을 선택하여 자신의 색채로 구축하는 데 반해, 그는 두 음역의 매력을 조화롭게 결합하며 본인만의 독창적인 소리를 만들어냈다. 


이는 단순한 기교나 테크닉을 넘어서, 인간의 목소리가 가진 본질적 가능성을 탐구한 과정 그 자체였다. 이번 리사이틀의 프로그램 역시 그의 이런 독특한 음악세계를 뚜렷이 드러냈다. 베르디의 〈Aida〉, 마스네의 〈Werther〉, 로시니의 〈Il Barbiere di Siviglia〉 등 테크닉과 해석이 모두 요구되는 곡들이 그의 목소리를 통해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그는 화려함보다는 작품 속 인물의 정서를 충실히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그 진중한 해석은 관객들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특히 베르디의 "Celeste Aida"에서는 테너 특유의 빛나는 고음과 바리톤적인 짙은 울림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낭만주의적 강렬한 표현력을 선보였다. 이어 마스네의 서정적이고 애달픈 곡 "Pourquoi me réveiller"에서는 깊은 내적 감정이 묻어나 관객들을 몰입하게 만들었다. 로시니의 작품에서는 그의 유연하고 경쾌한 기교가 빛을 발하며 무대를 생동감 있게 채웠다. 


□ 피아노와 노래의 대화 – 섬세함으로 그려낸 예술 그의 곁에는 피아니스트 백원주가 있었다. 유럽 무대에서 쌓아온 백원주의 풍부한 경험은 최원혁의 목소리와 완벽히 어울리며, 두 사람은 연주자와 성악가의 관계를 넘어 진정한 음악적 파트너십을 보여줬다. 


백원주는 단순히 노래를 뒷받침하는 반주자를 넘어 목소리와 피아노가 서로 대화하며 하나의 예술을 완성해가는 과정을 이끌었다. 섬세한 건반 터치와 감정의 흐름을 읽는 날카로운 감각은 최원혁의 노래에 생동감을 불어넣었으며, 두 사람이 이루어낸 조화는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안겼다. 


□ 무대는 끝났지만, 여운은 계속된다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는 한 성악가의 예술적 도전과 그 결실을 집약한 상징적인 무대였다. 무엇보다 기술적 과시보다는 진정성과 예술적 깊이를 통해 관객과 진심으로 소통하려는 모습이 돋보였다. 최원혁의 목소리는 단지 노래를 넘어 ‘이야기’가 되어 들렸다. 바리톤의 깊고 묵직한 울림과 테너의 찬란하고 투명한 소리가 한 목소리 안에서 어우러지는 그 순간, 관객들 역시 그의 음악 여정에 동참할 수 있었다. 


그는 앞으로도 리사이틀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한다. 이번 공연이 그 진정성과 가능성을 입증한 만큼, 그의 다음 무대는 더 큰 울림을 예고한다. ‘한 목소리로 두 세계를 담았다’는 표현이 부족하지 않을 만큼, 최원혁의 이번 무대는 이미, 한국 성악사에 또 하나의 새로운 발자취로 남았다. 요약 문구: 바리톤과 테너의 색채를 한 목소리에 담다. 


테너 최원혁의 리사이틀은 성악의 새발자취를 알리는 의미 깊은 무대였다. 그가 전한 울림은 단순한 음악이 아닌, 예술의 진정성 그 자체였다.












작성 2025.11.02 09:03 수정 2025.11.02 09:0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패트론타임스 / 등록기자: 진성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