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목소리로 예술의 경계를 넘다 – 테너 최원혁, ‘Sound of Baritenor’로 성악의 새로운 정의를 쓰다

학문과 감성이 빚어낸 완성도 높은 무대, 한국 성악계의 자부심으로 남다


지난 10월 31일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에서 열린 테너 최원혁의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는 단순한 음악회가 아니었다. 그것은 한 예술가가 자신과의 싸움 끝에 완성한 ‘예술적 진실’의 무대였다. 바리톤의 깊은 울림과 테너의 찬란한 고음이 한 목소리 안에서 교차하며, 관객은 인간의 목소리가 얼마나 다층적 감정을 담을 수 있는가를 실감했다.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사·석사를 거쳐 폴란드 프리데리크 쇼팽 국립음악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실력파다. 그의 박사논문 〈바리톤 음역의 소리를 테너 음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과정의 특성에 관한 자기 경험 기반 연구〉는 성악 발성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너 최원혁은 단지 연구로 그치지 않고 이를 실연(實演)으로 확장해, 소리의 한계를 실험하는 성악가로 자리 잡았다.


무대는 예술적 깊이와 감성의 절정이었다. 베르디의 「Celeste Aida」에서는 바리톤의 묵직한 공명과 테너의 고요한 빛이 조화를 이루었고, 마스네의 「Pourquoi me réveiller」에서는 절제된 서정미가 청중의 가슴을 울렸다. 이어 로시니의 작품에서는 경쾌한 기교와 리듬감으로 무대를 생동감 있게 물들였다. 그의 음성은 단지 ‘노래’가 아니라 ‘언어’를 넘어선 예술이었다.


함께한 피아니스트 백원주 역시 무대의 숨은 주역이었다. 섬세한 터치와 감정의 결을 읽는 예민한 감각으로, 테너 최원혁의 목소리와 완벽한 균형을 이루며 음악적 교감을 완성시켰다. 두 사람의 호흡은 마치 한 악기가 연주하는 듯 자연스러웠고, 청중들은 그 교감 속에서 ‘진정한 예술의 순간’을 경험했다.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는 기술을 넘어 ‘진정성’을 향한 그의 여정의 결과였다. 그는 공연 내내 자신을 과시하지 않았다. 대신 작품과 인물에 충실했고, 그것이 오히려 가장 강렬한 감동을 만들어냈다. 공연이 끝나자 관객들은 기립 박수로 화답했고, “이 시대 가장 진심으로 노래하는 성악가”라는 찬사가 쏟아졌다.


테너 최원혁은 공연 후 “음악은 인간의 본질을 드러내는 가장 순수한 언어”라고 말했다. 그의 다음 무대는 이미 한국 성악계의 기대를 넘어, 예술적 담론의 중심으로 향하고 있다. 학문과 감성, 이성적 분석과 예술적 직관이 만난 그의 리사이틀은 한국 성악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가 부족하지 않다.














작성 2025.11.02 09:13 수정 2025.11.02 09: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패트론타임스 / 등록기자: 진성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