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경계를 허문 – 테너 최원혁,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로 관객을 사로잡다

학문과 예술의 결합으로 완성된 새로운 성악의 패러다임


깊은 가을,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은 한 사람의 목소리로 가득 찼다. 


10월 31일 열린 테너 최원혁의 리사이틀 〈Sound of Baritenor〉는 한국 성악계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테너의 맑은 고음과 바리톤의 깊은 울림을 결합해, 인간의 목소리가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의 한계를 확장했다.


이번 무대는 단순한 공연이 아닌 그의 오랜 연구와 실천이 결실을 맺은 순간이었다. 테너 최원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후, 폴란드의 프리데리크 쇼팽 국립음악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논문은 성악 발성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찬사를 받으며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그가 탐구한 ‘바리톤 음역의 소리를 테너 음역으로 전환하는 기술’은 이번 공연에서 현실로 구현되었다.


리사이틀은 고전과 현대를 잇는 풍성한 레퍼토리로 구성되었다. 베르디의 「Aida」, 마스네의 「Werther」, 로시니의 「Il Barbiere di Siviglia」 등은 그에게 도전이자 실험이었다. 테너 최원혁은 화려한 기교를 넘어 인물의 감정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며, 청중에게 진정성 있는 해석을 전달했다. 


특히 「Celeste Aida」에서 보여준 강렬한 고음과 풍부한 중저음의 조화는 ‘한 사람의 목소리 안에 두 세계가 공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함께한 피아니스트 백원주는 그의 예술적 비전을 완벽히 이해한 동반자였다. 유럽에서의 오랜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최원혁의 음악적 흐름을 섬세하게 이끌었다. 두 사람의 호흡은 연주자와 성악가의 관계를 넘어 ‘하나의 예술’로 승화되었고, 관객들은 그 조화 속에서 음악의 진정한 감동을 느꼈다.


공연의 여운은 길게 남았다. 관객들은 “한 사람의 목소리에서 두 개의 세계를 들었다”, “지성과 감성이 만난 예술의 완성”이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실제로 이번 무대는 예술성과 실험정신, 그리고 인간적인 따뜻함을 모두 담아낸 ‘완성형 리사이틀’로 평가받고 있다.


테너 최원혁은 “음악은 감정의 언어이자 인간을 연결하는 다리”라고 말한다. 그에게 ‘노래’란 기술이 아닌, 자신과 세상을 잇는 진심의 표현이다. 그의 다음 무대는 단지 성악의 공연을 넘어, 예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담론이 될 것이다.


한 목소리로 두 세계를 품은 남자, 테너 최원혁. 그의 이름은 이제 단순한 성악가를 넘어, 한국 예술계가 자랑할 또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작성 2025.11.02 09:15 수정 2025.11.02 09:16

RSS피드 기사제공처 : 패트론타임스 / 등록기자: 진성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