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경북대 22명·부산대 8명·서울대 2명 탈락” 이제 대학문도 막는다
안녕! 나는 안녕맨이야. 오늘의 이슈는 “경북대 22명, 부산대 8명, 서울대 2명... 지난해 ‘학폭 탈락’ 대학 입시 현실”이야. 공부 잘해도, 스펙 좋아도… 학폭 한 번이면 대학 문턱조차 밟지 못하는 시대가 왔어.
첫째, 지난해 전국 대학에서 ‘학폭 이력’으로 입시 탈락한 학생이 총 84명이야. 그중 경북대가 22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대 8명, 서울대 2명 등 주요 국립대들도 예외가 아니었어. 대학들은 지원자 중 학교폭력 기록이 남아 있거나, 징계 사실을 숨긴 경우를 심사 단계에서 바로 제외시켰지. ‘학폭’이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도덕적 낙인’이 된 셈이야.
둘째, 이건 단순히 대학 입시 문제가 아니야. 교육부가 대학 자율에 맡기던 학폭 심사를 강화하면서, ‘성적보다 인성’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진 거야. 하지만 일각에서는 “미성년 시절의 실수를 평생 낙인찍는 건 가혹하다”는 반론도 나와. ‘교육의 기회’와 ‘피해자의 권리’가 충돌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야.
셋째, 앞으로의 방향이 문제야. 학폭 전력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점점 더 엄격해지고, 대학뿐 아니라 공공기관·기업 채용에서도 인성 검증이 강화되고 있지. 결국 학폭은 실수가 아니라 ‘평생 리스크’가 되는 시대가 온 거야.
오늘의 한 마디 촌평!
“사과는 용서의 시작일 뿐, 책임의 끝은 아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해? ‘학폭 가해자에게도 기회가 있어야 할까, 아니면 사회가 단호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