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2026년까지 ‘2030교실’ 110개 추가…수업 대전환 본격화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2026년 110개 내외의 ‘2030교실’을 추가로 선정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 변화를 통해 전남 수업 대전환에 주력한다고 밝혔다.


전남 ‘2030교실’은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격차 심화 등 전남이 직면한 2030년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남교육의 핵심 사업이다. 올해 유아 51개, 초등 43개, 중등 39개 등 총 133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공모를 통해 유아 30개, 초등 40개, 중등 40개 등 총 110개 내외를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전남교육청은 올해 운영 중인 133개 2030교실의 내실화를 꾀하는 동시에, 내년에는 현장 맞춤형 체계적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기본형, 맞춤형, 지속형으로 구분된 지원 체계를 유지하되 학교의 여건과 단계별 성장 수준에 따라 운영 형태를 다변화한다.


기본형은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시공간을 초월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이웃 학교, 국외 학교와 연결하고 언어의 장벽 없이 소통할 수 있는 수업을 지원한다. 맞춤형은 ‘미네르바교실’, ‘감수성교실’, ‘꼬마시인교실’처럼 교사의 교육 철학을 반영한 수업브랜드형 교실로, 학생들의 배움의 깊이와 다양성을 확장한다.


지속형은 올해 조성된 교실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 운영과 수업나눔, 연구회 활동을 이어가 교사 간 성장을 촉진하고 학교 현장에서 살아 있는 수업 변화를 만들어간다. 이를 위해 내년에는 각 학교의 여건과 수업 특성에 따라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맞춤형은 학교의 수업브랜드와 교실 상황, 학생 수를 반영해 예산을 지원하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주도형 수업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이와 함께 ‘2030수업교사’, ‘2030수업연구회’를 구성해 수업 연구와 수업 나눔이 확산되도록 지원하며, 국내외 교육기관과 공동수업을 운영하는 ‘2030수업교류’를 통해 교원의 글로컬 교육 역량을 높인다.


특히 전남 2030교실의 롤모델 역할을 하게 될 ‘2030교실 인증제’를 운영한다. 인증제는 우수 교실을 선정·인증해 교사의 지속적 수업 연구를 장려하고, 현장의 성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교사의 수업 철학이 교실 속에서 드러나도록 ‘수업브랜드 갖기’ 운동도 추진한다. 교사별로 자신만의 수업 브랜드를 만들고 이를 ‘수업 맛집 가이드 맵’으로 시각화해 학교마다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세워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전남교육청은 오는 10일 오후 3시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초등 2030교실 설명회’를 열어 2026학년도 2030교실 운영 계획과 신청 방법을 안내한다. 설명회는 운영 방향 안내와 사례 나눔, 신청 절차 및 질의 응답 순으로 진행되며, 관심 있는 교직원은 공문 및 포스터 QR코드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당일 행사는 유튜브 ‘전남교육1TV’를 통해 실시간 중계된다.


작성 2025.11.03 09:13 수정 2025.11.03 09: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출판교육문화 뉴스 / 등록기자: ipec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